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능정보사회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무용가의 사회참여 확대 방안 = Expansion of Dancers’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270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eek measures for the expansion of dancers’ social participation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fers to innovative changes in which cutting-edge Information and C...

      This study aims to seek measures for the expansion of dancers’ social participation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fers to innovative changes in which cutting-edg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ppear in convergence, such as AI, IoT, Cloud, Big Data and Mobile technologies. It refers to changes in the foundation of the industrial structure as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are enhanced to a high degree through the intellectualization of machines, productivity and efficiency, which is a revolution in which the industry and society become intellectualized as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embodied in the society. It is expected that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because of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would necessarily change jobs and characteristics of work together and cause overall changes in our lives. As machines perform works for Human in the society at large,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expand evenly, such as the enhancement of productivity and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whil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employment are expected, in which demands for simple repetitive jobs decrease, and demands for manpower in high value-added work increase due to automation. To look at the results of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trends reported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it is expected that many jobs will be replaced by machines, or the types of jobs will be changed. Although it is predicted that the probability of replacement by automation would be relatively lower in art-related jobs based on sensitivity,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dancers’ new roles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through close observation and agreement on social changes and to prepare responses to chang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edicted changes in the art market and jobs in the future society, converged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explored the tasks of practice required for the expansion of the field of d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무용가의 사회참여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4차 산업혁명은 경제·사회 전반에 인공 지능(AI),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Cloud), 빅데...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무용가의 사회참여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4차 산업혁명은 경제·사회 전반에 인공 지능(AI),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Cloud), 빅데이터(Big Data), 모바일(Mobile)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되어 나타나는 혁신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기계의 지능화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이 고도로 향상되어 산업구조의 근본이 변화되는 것을 말하며 지능정보기술이 제조업과 서비스, 사회에 체화됨으로써 산업과 사회가 지능화되는 혁명이라 할 수 있다.
      지능정보기술로 인한 산업구조 변화는 필연적으로 일자리와 업무 성격 등을 변화시키고 삶 전반에 총체적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계가 인간을 대신하여 일을 수행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근로시간 감소 등 경제·사회적 혜택이 고루 확대되는 반면, 자동화로 인해 단순 반복 업무의 일자리 수요가 감소하고 고부가가치 업무의 인력수요가 증가하는 고용 구조 변화가 예상된다. 최근 보고되는 국내외 미래 동향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지능정보기술 발달에 따라 많은 직업이 기계로 대체되거나 직업형태가 변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감성에 기초한 예술관련 직업은 자동화 대체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사회 변화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합의를 통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무용가의 새로운 역할을 정립하고, 변화에 대한 대응 마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능정보기술로 집약되는 미래사회의 예술시장과 일자리 변화를 조망하고, 무용영역의 확장을 위해 요구되는 실천과제를 탐색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영, "홀리스틱패러다임에 근거한 통합무용교육 모형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5 (25): 29-42, 2014

      2 클라우스 슈밥,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2016

      3 미래창조과학부,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2016

      4 김진하, "제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 15 : 45-58, 2016

      5 오호영, "제4차 산업혁명과 자격제도" 19 (19): 8-19, 2016

      6 "인공지능연구원"

      7 KBS 명견만리 제작팀, "명견만리 : 우리가 준비해야 할 미래의 기회를 말하다. 윤리, 기술, 중국, 교육 편" 인플루엔셜 2016

      8 윤석만, "두 얼굴의 애덤 스미스, AI 시대의 공감능력"

      9 "국민대학교"

      10 조희영, "[세르게이 브린 단독 인터뷰] 알파고 뛰어나도 자유의지 없어...인간의 승리"

      1 문영, "홀리스틱패러다임에 근거한 통합무용교육 모형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5 (25): 29-42, 2014

      2 클라우스 슈밥,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2016

      3 미래창조과학부,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2016

      4 김진하, "제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 15 : 45-58, 2016

      5 오호영, "제4차 산업혁명과 자격제도" 19 (19): 8-19, 2016

      6 "인공지능연구원"

      7 KBS 명견만리 제작팀, "명견만리 : 우리가 준비해야 할 미래의 기회를 말하다. 윤리, 기술, 중국, 교육 편" 인플루엔셜 2016

      8 윤석만, "두 얼굴의 애덤 스미스, AI 시대의 공감능력"

      9 "국민대학교"

      10 조희영, "[세르게이 브린 단독 인터뷰] 알파고 뛰어나도 자유의지 없어...인간의 승리"

      11 오재환, "[4차 산업혁명과 문화예술의 변화] 공연예술의 기술 융합적 작품 실현 여건과 창의적 인재 양성 문화예술교육 강화 필요" 164 : 26-35, 2017

      12 University of Oxford, "The future of employment: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sation?"

      13 World Economic Forum,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016

      14 "SYNC Dreams’ project"

      15 "Performing Arts project"

      16 "NVIDIA"

      17 Boston Consulting Group, "Man and Machine in Industry 4.0"

      18 "Magenta project"

      19 "LuminAI project"

      20 Luka Crnkovic-Friis, "Generative Choreography using Deep Learning" 272-277, 2016

      21 Mckinesy & Company, "Four Fundamentals of Workplace Automation"

      22 John Maynard Keynes, "Essays in Persuasion" Harcourt Brace 1931

      23 Leon A. Gatys, "A Neural Algorithm of Artistic Style"

      24 손병호,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주요 과학기술 혁신 정책과제" KISTEP 2017

      25 한국고용정보원, "2017 한국직업전망" 2016

      26 미래창조과학부, "2016 기술영향평가 보고서(가상・증강현실 기술)" 2017

      27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지식공감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4-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 무용과학회지 -> 한국무용과학회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8 1.151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