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역량과 문제해결능력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3년 9월 부 12월 1일까지 졸업학년 간호대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역량과 문제해결능력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3년 9월 부 12월 1일까지 졸업학년 간호대학...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역량과 문제해결능력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3년 9월 부 12월 1일까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통계 분석은 SPSS 23.0 버전을 사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임상추론역량의 평균은 3.65±0.59, 문제해결능력은 3.80±0.44이었으며, 임상추론역량은 문제해결능력 하위영역과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687, p<.01). 본 연구결과는 졸업학년의 임상추론역량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 reasoning compenten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 in Graduation Year. The study data collection were selected from September 11 to December 1, 2023, for 123 Nursing C...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 reasoning compenten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 in Graduation Year. The study data collection were selected from September 11 to December 1, 2023, for 123 Nursing College Student in Graduation Year and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version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mean score of the clinical reasoning compentency was 3.65±0.59 and th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3.80±0.44.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in th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subdomains(r=.687, p<.01).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methods that improve the clinical reasoning compent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graduates.
국내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장애인거주시설 장애인체육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Q방법론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 프로그램 효과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