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역량과 문제해결능력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 in Graduation Ye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63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역량과 문제해결능력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3년 9월 부 12월 1일까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통계 분석은 SPSS 23.0 버전을 사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임상추론역량의 평균은 3.65±0.59, 문제해결능력은 3.80±0.44이었으며, 임상추론역량은 문제해결능력 하위영역과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687, p<.01). 본 연구결과는 졸업학년의 임상추론역량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역량과 문제해결능력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3년 9월 부 12월 1일까지 졸업학년 간호대학...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역량과 문제해결능력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3년 9월 부 12월 1일까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통계 분석은 SPSS 23.0 버전을 사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임상추론역량의 평균은 3.65±0.59, 문제해결능력은 3.80±0.44이었으며, 임상추론역량은 문제해결능력 하위영역과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687, p<.01). 본 연구결과는 졸업학년의 임상추론역량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 reasoning compenten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 in Graduation Year. The study data collection were selected from September 11 to December 1, 2023, for 123 Nursing College Student in Graduation Year and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version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mean score of the clinical reasoning compentency was 3.65±0.59 and th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3.80±0.44.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in th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subdomains(r=.687, p<.01).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methods that improve the clinical reasoning compent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graduate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 reasoning compenten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 in Graduation Year. The study data collection were selected from September 11 to December 1, 2023, for 123 Nursing C...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 reasoning compenten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 in Graduation Year. The study data collection were selected from September 11 to December 1, 2023, for 123 Nursing College Student in Graduation Year and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version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mean score of the clinical reasoning compentency was 3.65±0.59 and th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3.80±0.44.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in th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subdomains(r=.687, p<.01).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methods that improve the clinical reasoning compent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graduat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