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에게 제공된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중재 연구의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자료 및 교육 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66301
2024
Korean
간호사 ; 간호대학생 ; 의료관련감염 ; 개인보호구 ; 교육 ; 주제범위 문헌고찰 ; Nurses ; Students nursing ; Cross infection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Education ; Scoping review
KCI등재
학술저널
121-131(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에게 제공된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중재 연구의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자료 및 교육 프...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에게 제공된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중재 연구의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자료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국내 데이터베이스 RISS, KISS, DBpia를 통해 2024년 5월 1일 검색일 이전에 출판된 모든 문헌을 검색하였으며, 최종 12편의 문헌을 선정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에게 제공된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프로그램은 1) 시뮬레이션 교육, 2) 동영상 및 실습 교육, 3) 비대면 교육으로 분류되었다.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로는 지식, 수행자신감, 자기효능감, 수행도, 태도, 인식도 등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감염병 및 신종감염병 상황에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개인보호구 착・탈의에 대한 좀 더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중재 연구의 반복 및 확대를 제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evidences through scoping review of educational intervention studies for donning and doffing PPE to preven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provided to nurses and student nurses in Korea. Through the search eng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evidences through scoping review of educational intervention studies for donning and doffing PPE to preven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provided to nurses and student nurses in Korea. Through the search engines RISS, KISS, and DBpia, 12 articles were chosen by searching through theses and journals which were published before May 1, 2024.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relevant studies were 12, and the education programs provided to donning and doffing PPE to prevent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were classified into 1) simulation based education, 2) video and practice based education, and 3) non-contact education. Knowledge, performance confidence, self-efficacy, performance, attitude, and awareness were confirmed as effects of the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necessity to develop more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for donning and doffing PPE that can preven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in infectious disease and emerging infectious disease situations, and repeatedly conduct research on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donning and doffing PPE.
장애인거주시설 장애인체육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Q방법론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 프로그램 효과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