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A scoping review on education on donning and doff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o preven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63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에게 제공된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중재 연구의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자료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국내 데이터베이스 RISS, KISS, DBpia를 통해 2024년 5월 1일 검색일 이전에 출판된 모든 문헌을 검색하였으며, 최종 12편의 문헌을 선정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에게 제공된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프로그램은 1) 시뮬레이션 교육, 2) 동영상 및 실습 교육, 3) 비대면 교육으로 분류되었다.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로는 지식, 수행자신감, 자기효능감, 수행도, 태도, 인식도 등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감염병 및 신종감염병 상황에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개인보호구 착・탈의에 대한 좀 더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중재 연구의 반복 및 확대를 제언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에게 제공된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중재 연구의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자료 및 교육 프...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에게 제공된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중재 연구의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자료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국내 데이터베이스 RISS, KISS, DBpia를 통해 2024년 5월 1일 검색일 이전에 출판된 모든 문헌을 검색하였으며, 최종 12편의 문헌을 선정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에게 제공된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프로그램은 1) 시뮬레이션 교육, 2) 동영상 및 실습 교육, 3) 비대면 교육으로 분류되었다.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로는 지식, 수행자신감, 자기효능감, 수행도, 태도, 인식도 등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감염병 및 신종감염병 상황에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개인보호구 착・탈의에 대한 좀 더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중재 연구의 반복 및 확대를 제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evidences through scoping review of educational intervention studies for donning and doffing PPE to preven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provided to nurses and student nurses in Korea. Through the search engines RISS, KISS, and DBpia, 12 articles were chosen by searching through theses and journals which were published before May 1, 2024.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relevant studies were 12, and the education programs provided to donning and doffing PPE to prevent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were classified into 1) simulation based education, 2) video and practice based education, and 3) non-contact education. Knowledge, performance confidence, self-efficacy, performance, attitude, and awareness were confirmed as effects of the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necessity to develop more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for donning and doffing PPE that can preven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in infectious disease and emerging infectious disease situations, and repeatedly conduct research on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donning and doffing PP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evidences through scoping review of educational intervention studies for donning and doffing PPE to preven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provided to nurses and student nurses in Korea. Through the search eng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evidences through scoping review of educational intervention studies for donning and doffing PPE to preven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provided to nurses and student nurses in Korea. Through the search engines RISS, KISS, and DBpia, 12 articles were chosen by searching through theses and journals which were published before May 1, 2024.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relevant studies were 12, and the education programs provided to donning and doffing PPE to prevent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were classified into 1) simulation based education, 2) video and practice based education, and 3) non-contact education. Knowledge, performance confidence, self-efficacy, performance, attitude, and awareness were confirmed as effects of the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necessity to develop more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for donning and doffing PPE that can preven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in infectious disease and emerging infectious disease situations, and repeatedly conduct research on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donning and doffing PP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