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적 장애인들의 사회참여변화와 그 영향요인들을 살피고자 한다. 특히 이러한 변화양상이 중고령 층과 청장년층에서 서로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분석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66300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3-261(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적 장애인들의 사회참여변화와 그 영향요인들을 살피고자 한다. 특히 이러한 변화양상이 중고령 층과 청장년층에서 서로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분석을 ...
본 연구는 지적 장애인들의 사회참여변화와 그 영향요인들을 살피고자 한다. 특히 이러한 변화양상이 중고령 층과 청장년층에서 서로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분석을 위해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제2 차 웨이브(제1-6차년) 자료로부터 19세 이상 지적장애인 총 343명을 추출하였다. 이들은 청장년층 (19-34세 197명), 중고령층(35세 이상 146명)으로 구성되었다.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두 연령층간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잠재성장모형분석을 통해 두 집단에서 사회참여 변화여부와 그 요인은 무엇이고 서로 어떻게 다른지를 점검하 였다. 기술통계에서 중고령 지적장애인은 청장년 지적장애인에 비해 중학교 이하의 저학력과 미취업 비중이 높 았고,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않았다. 도움필요 수준 및 차별경험등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무조건부 모형 분석에 따르면 중고령 지적장애인과 청장년 지적장애인 모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 참여 수준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중고령 지적장애인은 청장년 지적장애인에 비해 사회참여 수준의 초기값 이 낮았으며, 변화율은 더 컸다. 조건부 모형 분석 결과, 중고령 지적장애인의 장애인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은 교육년수, 취업여부, 도움의 필요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청장년 지적장애인의 사회참여 영향요인으 로는 차별경험이 부각되었다. 중고령 지적장애인의 사회참여 증진을 위해 전 생애주기 발달장애 정책 및 낮활 동 지원 전략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10주간의 드론축구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인의 지각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멀티미디어 동화를 활용한 과제수행이 지적장애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발달장애아동 및 청소년의 자기결정권 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