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우렁각시〉설화의 일부 특징을 관음영험담적 시각으로 조명하여 논의를 전개한 것이다.〈우렁각시〉설화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방편으로 중국과 일본의 유사 유화들과 대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08028
2017
Korean
우렁각시 ; 관음신앙 ; 영험담 ; 변화신 ; 밀교 ; WooreongGaksi ; Avalokitesvara ; Miracle story ; Transformed bodies ; Esoteric Buddhism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3-78(3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우렁각시〉설화의 일부 특징을 관음영험담적 시각으로 조명하여 논의를 전개한 것이다.〈우렁각시〉설화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방편으로 중국과 일본의 유사 유화들과 대조...
본 논문은 〈우렁각시〉설화의 일부 특징을 관음영험담적 시각으로 조명하여 논의를 전개한 것이다.〈우렁각시〉설화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방편으로 중국과 일본의 유사 유화들과 대조해 보았는데, 이를 통해 몇 가지 독특한 삽화와 유형적 특성을 포착해낼 수 있었다.
중심화소인 ‘우렁이’는 우렁이의 생태적 · 형태적 이미지와 더불어 불교의 우주적 · 철학적 상징이 형상화된 것이다. 따라서 〈우렁각시〉의 우렁이는 중생의 소리를 듣고 이에 호응하는 관음의 상징물이자 여러 변화신(變化身)으로 나타나 중생구제(衆生救濟)를 실현하는 관음의 응신(應身)이라 볼 수 있다. 총각의 노래와 이에 화답하는 우렁이의 답가는 반려를 희구하는 발원의 소리이자 중생의 소리를 듣고 이에 호응하는 관음의 목소리다. 소거 (消去)되어 있는 우렁이의 외피(外皮)는 우렁각시의 몸에서 비치는 서기(瑞氣)와 연동되어 우렁각시가 우렁이의 본성을 지닌 이류가 아닌 관음 영험의 결과인 것으로 수용해 볼 수 있다.〈우렁각시〉의 유형적 특징 중 하나인〈단순-결합형〉은 모든 중생(衆生)의 기원을 성취시켜준다는 관음영험담의 한 유형에,〈복합-이별형〉은 현세구복(現世求複) 차원의 구제(救濟)를 초월하여 불교적 깨달음에 이르는 심화된 의미구현 체계를 보여주는 관음영험담의 한 형태라 할 수 있다.
논의를 통해〈우렁각시〉설화의 일부 특징이 관음영험담적 상징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는 설화의 전파 · 전승과 함께 당시 신앙되었던 밀교(密敎) 적 관음신앙의 영향을 받아 변개된 형적이라 추정해볼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ory threw light on some characteristics of 〈WooreongGaksi〉 tale from view of Avalokitesvara miracle story and developed discussion. As a way to grasp characteristics of 〈WooreongGaksi〉 tale, the author contrasted with similar tales of Ch...
The story threw light on some characteristics of 〈WooreongGaksi〉 tale from view of Avalokitesvara miracle story and developed discussion. As a way to grasp characteristics of 〈WooreongGaksi〉 tale, the author contrasted with similar tales of China and Japan. In this way, the study could catch several unique illustrations and feature in type.
‘Pond snail’ which is a central story unit is cosmic and philosophical symbol related to Buddhism, in addition to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image of the snail. Accordingly, snail of 〈WooreongGaksi〉 is a symbol of Avalokitesvara who responds to voice of all the living beings and can be seen as Response body of Avalokitesvara who realizes salvation of all the beings by manifesting herself as Transformed bodies. The song of the bachelor and song of snail responding to his song are voice of prayer and also voice of Avalokitesvara responding to voice of all the beings. The outer skin of snail that has been eliminated is connected with auspicious sign reflected from body of WooreongGaksi and then, moved. So it can be understood that WooreongGaksi is a result of miracle made by Avalokitesvara, not different kind with nature of snail. 〈Simple-combination style〉 which is one of characteristics in type of 〈WooreongGaksi〉 is one style of Avalokitesvara miracle story that wishes of all the living beings are achieved. 〈Complex-separation style〉 is one form of Avalokitesvara miracle story showing deepened system of realization of meaning that leads to Buddhist enlightenment beyond salvation in the dimension of seeking good fortune in this world.
Through the discussion, it was found that the very Korean characteristics of 〈WooreongGaksi〉 tale are connected to symbol of Avalokitesvara miracle story. This can be presumed as traces changed by influences of esoteric Avalokitesvara faith which was believed at the time along with spreading and passing down of tal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인학, "한중일 설화비교연구" 민속원 1999
2 손진태, "한국민족설화의 연구" 일조각 1990
3 "한국구비문학대계"
4 박경희, "한국 우렁각시 설화의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5 네이버 지식백과, "티베트 법라"
6 소재영, "이류교구고" 국어국문학회 42ㆍ43 : 1969
7 김영지, "습유기" 한국학술정보 2007
8 김헌선, "불교 관음설화의 여성성과 중세적 성격 연구;『삼국유사』 소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9 : 1999
9 송화섭, "변산반도의 관음신앙" 역사문화학회 5 (5): 67-116, 2002
10 김현룡, "나중미부설화 형성고" 국어국문학회 1972
1 최인학, "한중일 설화비교연구" 민속원 1999
2 손진태, "한국민족설화의 연구" 일조각 1990
3 "한국구비문학대계"
4 박경희, "한국 우렁각시 설화의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5 네이버 지식백과, "티베트 법라"
6 소재영, "이류교구고" 국어국문학회 42ㆍ43 : 1969
7 김영지, "습유기" 한국학술정보 2007
8 김헌선, "불교 관음설화의 여성성과 중세적 성격 연구;『삼국유사』 소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9 : 1999
9 송화섭, "변산반도의 관음신앙" 역사문화학회 5 (5): 67-116, 2002
10 김현룡, "나중미부설화 형성고" 국어국문학회 1972
11 조병활, "광배, 『불교신문』2039호"
12 최정선, "관음설화의 여성화 전략과 형상화의 의미" 인간학연구소 (10) : 117-147, 2006
13 오대혁, "관음설화의 상상력과 소설발생의 문제 : 羅麗時代觀音說話의 형성과 전개" 16 : 2000
14 김용덕, "觀音菩薩信仰의 說話化樣相과 意味硏究" 한국언어문화학회 (30) : 21-48, 2006
15 関敬吾, "日本昔話大成 2" 角川書店 1978
16 稲田浩二, "日本昔話事典" 弘文堂 1994
17 伊藤清司, "日․中昔話の比較" 三弥井書店 1993
18 김무조, "新羅觀音說話의 神秘的體驗Ⅱ ; 十一面․千手觀音을 中心으로" 한국문학회 11 : 1990
19 인권환, "新羅觀音說話의 樣相과 意味"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6 : 1989
20 川田順造, "口頭傳乘論(上)" 平凡社 2001
21 直江広治, "中国の民俗学" 岩崎美術社 1967
22 J. ジルパース, "イメージの博物誌7ㆍ螺旋の神秘人類の夢と恐怖" 平凡社 1978
23 "やさしい仏教入門ㆍ螺髮, Flying Deity Tobifudo"
24 유증선, "<조개색시> 구혼민담 소고" 민속학회 5 : 1972
25 이성희, "<잉어색시>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28 : 2001
26 이수자, "<우렁색시>형 설화의 연구;변이양상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한국어문학연구소 7 : 1984
27 송현호, "<우렁색시> 설화의 현대적 변용 양상 연구" 아주대학교 2007
28 진은진, "<우렁색시> 설화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5
29 정상진, "<나중미부>설화의 전승양상과 비극성" 한국문학회 33 : 2-61, 2003
일본 대어기(大漁旗)와 마이와이(万祝), 그리고 양자의 상관관계 연구
현대구전설화(MPN) 자료의 전승 양상과 분류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