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based Living Service Usage Leve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much of the daily life of Korean society is changing to mobile base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mobile devices. Therefore, this paper supposes that elderly people who have relatively low ability to use mobile devic...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much of the daily life of Korean society is changing to mobile base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mobile devices. Therefore, this paper supposes that elderly people who have relatively low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and their ability are likely to have an impa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is paper assumes that their usage level of mobile-based living services(transportation, purchasing, finance, administration, and living welfare information) that provide convenience in daily life might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wo factors. For comparative analysis, we also analyzed the general public under 54 years of age to examine these effects are unique trends in the elderly. In order to analyze our research hypotheses, this paper used the raw data of <2018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As a result, the elderly'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it also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ir usage level of mobile-based living services. Also, each service usage leve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However, the level of service usage has just a partial mediating effect not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e policy implication to enhance the elderly'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and their usage level of mobile-based serv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우리 사회가 모바일기기의 보편화로 인해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이 모바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상대적으로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저조하다고 논의되는 장...

      이 논문은 우리 사회가 모바일기기의 보편화로 인해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이 모바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상대적으로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저조하다고 논의되는 장노년층들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이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일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이 관계에 있어 일상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교통, 구매, 금융, 행정, 생활복지정보) 이용수준이 두 요인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영향이 장노년층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경향인지 확인하기 위해 만 54세이하의 일반국민을 대상으로도 동일한 모형으로 분석하여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원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은 이들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반국민에 비해서도 그 영향력이 다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 수준은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각각의 서비스 이용수준은 모두 장노년층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만54세 이하의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한 모형에 있어서도 유사한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다만, 장노년층의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은 모바일기기 이용능력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 있어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은 직접적으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부분적으로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에 반해 만54세 이하의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못하여, 모바일기반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의 매개효과는 젊은 연령층에는 존재하지 않는 장노년층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경향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논문은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의 함양과 이들의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활용수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성진, "한국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학회 58 (58): 5-36, 2010

      2 강현옥, "직업활동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4) : 89-109, 2009

      3 조택희, "지역주민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연구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91-601, 2017

      4 김은정,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세대통합형 지원정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195-219, 2007

      5 최예나, "정보격차가 인터넷기반 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저소득층(기초생활보장수급자)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235-257, 2015

      6 김이수, "정보격차가 인터넷 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네트워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22 (22): 259-283, 2015

      7 정준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개인의 모바일 인터넷 활용 수준 영향요인 연구" 한국정책학회 26 (26): 151-177, 2017

      8 조주은, "정보 격차의 확대재생산: 노인의 스마트폰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8 (48): 211-242, 2014

      9 김미옥, "장애노인의 특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21 : 73-97, 2003

      10 전동일,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장애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7) : 1-16, 2012

      1 강성진, "한국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학회 58 (58): 5-36, 2010

      2 강현옥, "직업활동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4) : 89-109, 2009

      3 조택희, "지역주민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연구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91-601, 2017

      4 김은정,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세대통합형 지원정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195-219, 2007

      5 최예나, "정보격차가 인터넷기반 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저소득층(기초생활보장수급자)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235-257, 2015

      6 김이수, "정보격차가 인터넷 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네트워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22 (22): 259-283, 2015

      7 정준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개인의 모바일 인터넷 활용 수준 영향요인 연구" 한국정책학회 26 (26): 151-177, 2017

      8 조주은, "정보 격차의 확대재생산: 노인의 스마트폰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8 (48): 211-242, 2014

      9 김미옥, "장애노인의 특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21 : 73-97, 2003

      10 전동일,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장애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7) : 1-16, 2012

      11 유승희, "장애 발생 시기가 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428-448, 2016

      12 김희섭, "장노년층의 정보화교육 유용성과 삶의 만족감 관계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6 (46): 113-129, 2015

      13 김영대, "장노년층 정보화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디지털 역량과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5 (55): 229-259, 2017

      14 리해근, "일상생활요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80-292, 2012

      15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150-187, 2011

      16 곽인숙, "예비노인과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9 (49): 107-120, 2011

      17 백준봉, "스마트혁명, 세상을 바꾸다" KT 경제경영연구소 17-20, 2012

      18 금희조,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 참여: 소셜 미디어 효과에 대한 스마트폰 이용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4 (54): 348-371, 2010

      19 강월석, "스마트폰 정보 활용과 이용성과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3 (33): 199-214, 2013

      20 정희정,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전자정부의 발전수준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0 (50): 155-188, 2016

      21 성욱준, "스마트시대의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25 (25): 53-75, 2014

      22 신혜원,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정보격차 유형과 해소방안에 대한 규범적 검토" 미국헌법학회 25 (25): 171-203, 2014

      23 이주실, "스마트기기 시대 인터넷 활용이 정보소외계층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24 (24): 431-455, 2015

      24 최한용, "스마트 격차와 정보 격차의 생태계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5 (15): 299-313, 2014

      25 강현모, "소셜커머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과학회 38 (38): 117-139, 2013

      26 황용석,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격차 연구 : 세대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198-225, 2012

      27 소광섭, "도농복합도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8) : 7-30, 2007

      28 송경재, "다문화가족의 정보격차와 선제적 정책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이론학회 (48) : 135-163, 2015

      29 양정빈,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한국노년학회 30 (30): 1239-1261, 2010

      30 이신숙, "농어촌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11 (11): 23-60, 2011

      31 김학주, "노후 소득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준거집단의 상대소득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9 (39): 169-188, 2019

      32 황현정, "노인집단내 정보격차와 그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 가구구성형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4 (24): 359-386, 2017

      33 정세희, "노인일자리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인행정학회 14 (14): 59-79, 2014

      34 조봉란, "노인의 지역사회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35 석재은, "노인의 이동성 지원과 지하철 무료이용제도 개선방안" 한국노인복지학회 (69) : 291-321, 2015

      36 김명용,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72 (72): 343-370, 2017

      37 김명용,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배우자관계 만족도, 자녀관계 만족도 및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19-228, 2018

      38 김미영, "노인의 스마트폰 사용과 건강정보활용" 질적연구학회 14 (14): 13-22, 2013

      39 정영숙, "노인의 소비생활 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 및 예비노인집단을 중심으로" 10 (10): 43-59, 1999

      40 박순미,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특성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47) : 137-160, 2010

      41 모진아, "노인의 생활 만족도 영향 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517-526, 2018

      42 박성복,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주관적 영향요인" 한국정부학회 24 (24): 983-1010, 2012

      43 이수현, "노인의 교통 관련 이동성과성공적 노화와의 관계" 2017 (2017): 473-475, 2017

      44 이규은, "노인의 건강상태, 여가 만족 및 외로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 19 (19): 483-492, 2012

      45 곽미정, "노인복지관의 정보화 교육만족도가 노인의 정보활용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486-495, 2017

      46 임효석, "노인들의 정보활용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0

      47 전대성, "노년층의 정보화 역량유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389-409, 2015

      48 백기훈, "노년층의 스마트 정보격차 요인 및 해소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42 (42): 1207-1221, 2015

      49 오지안, "노년층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심리적 안녕감과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관리학회 32 (32): 319-344, 2018

      50 김판수, "고령층의 정보 활용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25-47, 2014

      51 서명교, "고령층 정보화 수준이 노인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부산의 일부지역 노인들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52 장혜란, "고령운전자의 이동성(Mobility)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251-271, 2009

      53 손연기, "고령사회를 대비한 정보격차해소 정책방안 고찰" 25 (25): 32-43, 2008

      54 이홍재, "결혼이민자의 모바일 정보격차가 한국 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 2차 정보격차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8 (28): 223-248, 2019

      55 김효정, "결혼이민자 여성소비자의 디지털정보격차지수 결정 요인: 연령별 차이 연구" 대한가정학회 56 (56): 217-232, 2018

      56 Kim, M. Y, "formation technology and welfare:The digital divide and welfare of older people in Korea" University of Warwick 2005

      57 Zheng, R, "Understanding older adults’perceptions of Internet use: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41 : 504-518, 2015

      58 Millward, P, "The ‘grey digital divide’: Perception, exclusion and barriers of access to the Internet for older people" 8 (8): 2003

      59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1986

      60 Hargittai, E, "Second-level digital divide: Differences in people's online skills" 7 (7): 2002

      61 Selwyn, N, "Reconsidering political and popular understandings of the digital divide" 6 (6): 341-362, 2004

      62 Oppenheim, C,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an overview, An Inclusive Society: Strategies for Tackling Poverty"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1998

      63 Berg, A. I, "Life satisfaction in late life: Markers and predictors of level and change among 80+ year olds" 2008

      64 Kim, M. Y, "IT and welfare:A conceptual framework of information welfare of older adults" 29 : 105-124, 2013

      65 Jones, S, "Generations online in 2009"

      66 Loges, W. E, "Exploring the digital divide: Internet connectedness and age" 28 (28): 536-562, 2001

      67 Norris, P, "Digital divide: Civic engagement, information poverty, and the Internet worldw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68 Van Dijk, J. A, "Digital divide research, achievements and shortcomings" 34 (34): 221-235, 2006

      69 Zillien, N, "Digital distinction: Status‐specific types of internet usage" 90 (90): 274-291, 2009

      70 Howard, P. E, "Days and nights on the Internet: The impact of a diffusing technology" 45 (45): 383-404, 2001

      71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9

      7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2019

      7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10-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graduate of governance ->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5 0.645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