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노인요양시설 거주공간의 디자인 현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Living Space Design of Nursing Ho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753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performed mailed survey on the space design of 208 nursing homes. The results of thisstudy are as followed. Frist, the scale was quota 51∼100, building area above 1,000㎡, floor areaunder 1,000∼2,000㎡. Second, the building was one, two, or t...

      We performed mailed survey on the space design of 208 nursing homes. The results of thisstudy are as followed. Frist, the scale was quota 51∼100, building area above 1,000㎡, floor areaunder 1,000∼2,000㎡. Second, the building was one, two, or three-story building, shape ‘ㄱ’, withnurses' station. Third, bedroom had sliding doors, lever handle, Ondol(Korean floor), white coloredfluorescent bulb. Fourth, bathroom beside bedroom has shower chair and emergency call bell.
      Generally nursing homes met the standards of law, however the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needto concern more. The government need to provide the basic living space design guidelines ofelderly and future-oriented nursing ho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거주공간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30인 이상 노인요양시설 208개소를 우편 설문조사 하였다. 첫째, 규모는 입소 정원 51∼100명, 건축면적 1,000㎡ 이...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거주공간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30인 이상 노인요양시설 208개소를 우편 설문조사 하였다. 첫째, 규모는 입소 정원 51∼100명, 건축면적 1,000㎡ 이상, 연면적 1,000∼2,000㎡ 미만이 가장 많았다. 둘째, 시설은 지상 1∼3층, 건물형태 ㄱ자형, 의료 및 간호사실을 가장 많이 설치하였다. 셋째, 침실은 미닫이문, 손잡이는 레버형, 난방장치는 온돌, 백색 형광등이가장 많았다. 넷째, 침실에 부속된 화장실은 대부분 이동식 샤워용 의자, 비상 호출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대체로 노인복지법적 기준은 지켰지만,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노인요양시설 공간디자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여주, "치매노인 전문요양시설 거주공간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4 (14): 70-78, 2005

      2 Roberta L. Null, "유니버설디자인" 태림문화사 15-17, 1999

      3 이완건, "노인요양시설의 건축현황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 (19): 242-250, 2010

      4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제22조"

      5 이민아, "노인 전문요양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소재 5개 시설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3 (13): 62-69, 2004

      1 정여주, "치매노인 전문요양시설 거주공간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4 (14): 70-78, 2005

      2 Roberta L. Null, "유니버설디자인" 태림문화사 15-17, 1999

      3 이완건, "노인요양시설의 건축현황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 (19): 242-250, 2010

      4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제22조"

      5 이민아, "노인 전문요양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소재 5개 시설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3 (13): 62-69,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