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사소통 공간으로서 유아 참여적 벽면 전시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탐색 = Exploring the educational value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ory wall display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s a communication 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31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ory wall display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s a communication space Methods To this end, the literature was reviewed, on exhibition discours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ory wall display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s a communication space Methods To this end, the literature was reviewed, on exhibition discourse in the field of art, which has made a systematic discourse on wall display of art works to emphasiz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and the discourse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see classroom walls as a communication space. The review shows that the discourse of wall display attempted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of space, time, relationship, and authority. Based on this content, the study explores the specific educational value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ory wall display as a communication space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Results As a result, the wall display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can be a place where various stories are mixed by breaking the boundaries of space, where the current interest and learning of young children continue through breaking the boundaries of time, and where children communicate through referencing reciprocally by breaking the boundaries of relationships; then, this become a public space where children's participation is activated through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of authority.
      Conclusions The result implies that the children’ participatory wall display can become a forum for public discussion within the classroom, suggest a new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s classroom space, and help practicing the children-and-play-centered curriculum emphasized by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의사소통 공간으로서 유아 참여가 강조되는 벽면 전시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소통과 참여를 지향하는 벽면 전시에 관한 체계적인 담론이...

      목적 본 연구는 의사소통 공간으로서 유아 참여가 강조되는 벽면 전시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소통과 참여를 지향하는 벽면 전시에 관한 체계적인 담론이 형성된 미술 분야의 전시 담론과 의사소통의 공간으로서교실 내 벽면 전시를 바라보는 교육 분야의 담론을 통해 소통과 참여를 강조하는 벽면 전시의 다양한 시도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내용을 바탕으로 의사소통 공간으로서의 벽면 전시는 공간, 시간, 관계, 권위의 경계 허물기를 시도했음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유아교실 내 의사소통의 장으로서 유아 참여적 벽면 전시가 갖는 구체적인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자 한다.
      결과 그 결과, 유아 교실 내 벽면 전시의 가치 및 방향은 공간의 경계 허물기를 통한 다양한 이야기가 혼재하는 곳, 시간의 경계 허물기를 통한 현재의 흥미와 배움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곳, 관계의 경계 허물기를 통한 상호참조를 통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공간, 권위의 경계 허물기를 통한 유아의 참여가 활성화되는 대중적인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유아 참여적 교실 내 벽면 전시가 유아 교실 내 공론의 장이 될 수 있으며, 유아 교실 공간에 관한 새로운 이해를제시하며,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놀이 중심의 교육과정 실천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명숙, "활동지 개발을 위한 전시의 교육학적 해석원리" 17 : 9-36, 2017

      2 김대욱, "환경장학을 통한 보육교사의 교실 내 벽면과 역할놀이영역 활용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145-168, 2017

      3 박일호, "환경미술의 의미와 전망 : 생태학과 미술" 현대미술학회 6 : 67-93, 2002

      4 김은정, "학습자 중심 전시기획활동 사례연구- 미술비평역량 및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미술교육학회 27 (27): 73-112, 2013

      5 Dahlberg, G., "포스트모던 유아교육: 새로운 이해와 실천을 열어가기-평가의 언어-" 창지사 2013

      6 Barthes, R., "텍스트의 즐거움" 동문선 2002

      7 안인기, "태백 상장동 마을벽화로 본 공공미술의 역할"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4 (14): 81-95, 2013

      8 김영국, "참여전시(interactive exhibition)의사례를 통해 본 현대 뮤지엄의 역할과 기능" 4 : 33-61, 2004

      9 Wallach, A., "전시의 담론" 눈빛 2002

      10 Grunenberg, C., "전시의 담론" 눈빛 55-76, 2002

      1 오명숙, "활동지 개발을 위한 전시의 교육학적 해석원리" 17 : 9-36, 2017

      2 김대욱, "환경장학을 통한 보육교사의 교실 내 벽면과 역할놀이영역 활용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145-168, 2017

      3 박일호, "환경미술의 의미와 전망 : 생태학과 미술" 현대미술학회 6 : 67-93, 2002

      4 김은정, "학습자 중심 전시기획활동 사례연구- 미술비평역량 및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미술교육학회 27 (27): 73-112, 2013

      5 Dahlberg, G., "포스트모던 유아교육: 새로운 이해와 실천을 열어가기-평가의 언어-" 창지사 2013

      6 Barthes, R., "텍스트의 즐거움" 동문선 2002

      7 안인기, "태백 상장동 마을벽화로 본 공공미술의 역할"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4 (14): 81-95, 2013

      8 김영국, "참여전시(interactive exhibition)의사례를 통해 본 현대 뮤지엄의 역할과 기능" 4 : 33-61, 2004

      9 Wallach, A., "전시의 담론" 눈빛 2002

      10 Grunenberg, C., "전시의 담론" 눈빛 55-76, 2002

      11 Bennette, T., "전시의 담론" 눈빛 159-195, 2002

      12 Adorno, T. W., "전시의 담론" 눈빛 19-36, 1967

      13 윤연지, "전시의 담론" 눈빛 2002

      14 Krauss, R. E., "전시의 담론" 눈빛 93-102, 2002

      15 이상신, "작은학교 무학년제 교과 융합형 협동학습 수업실행 연구 - ‘창작 인형극 대본’ 활용 ‘행복성장평가’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77-1306, 2020

      16 Habermas, J., "의사소통행위이론2: 기능주의적 이성 비판을 위하여" 나남출판 1981

      17 김민승, "유치원 실내환경에 관한 연구 : 서울시내 아파트단지 현황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1984

      18 강진주 ; 고은경, "유아의 참여권 신장을 위한 교육적 접근으로써 기록화의 가능성: 기록화에서 유아의 참여 역할에 관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51-774, 2018

      19 장지나, "유아들이 주도하는 전시 경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교 2020

      20 강진주, "유아들의 디지털 사진 기록하기와 재방문에 관한 경험"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53-82, 2015

      21 서지영, "유아교육기관의 전시 실태와 교사의 인식"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22 임부연 ; 최영명 ; 류미향, "유아 미술작품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3 (23): 149-174, 2009

      23 고도재, "어린이 디자인 체험전시관의 공간구성 및 전시연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24 김정미, "시대변화에 따른 미술관의 전시변화에 대한 연구 : 서울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0

      25 나선엽 ; 안금희, "수집과 전시행위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참여적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51 : 109-146, 2017

      26 이종숙 ; 박현옥, "미술관 전시공간에서 작품특성에 따른 벽의 배치 및 구성에 관한 연구" 건설환경연구소 8 (8): 136-145, 2013

      27 강석태, "미술 전시에 참여한 창작자와 감상자의상호작용 경험의 의미" 교육연구소 24 (24): 659-678, 2018

      28 김도기 ; 김지선 ; 문영진 ; 김제현 ; 권순형 ; 문영빛, "미래학교의 개념 및 공간 설계의 방향 탐색" 교육연구원 35 (35): 119-146, 2019

      29 조혜인 ; 공순구,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이론을 적용한 유아교육시설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3 (13): 135-148, 2015

      30 권순관, "디지털체험전시관의 체험전시유형에 따른 전시연출 분석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0 (10): 489-498, 2010

      31 이소현, "디지털 시대의 참여적 박물관 구현을 위한박물관 모바일 러닝 모형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교 2017

      32 신자은, "대중 참여를 통한 박물관 전시의 공동제작: 가능성과 과제에 대한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6 (16): 187-206, 2018

      33 교육부, "놀이를 지원하는 교사의 역할" 교육부 2020

      34 구가령 ; 임부연, "놀이 공간으로써 유아교실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6 (16): 111-133, 2020

      35 강진주, "기록화 과정에서 실행연구자로서 유아교사의 역할" 인문과학연구소 39 : 373-404, 2015

      36 Project Zero & Reggio Children, "기록작업을 통한 학습의 가시화: 개인과 집단 학습자로서의 어린이" 양서원 2005

      37 김은수 ; 변순용, "교실 공간의 인간학적·도덕교육적 의미 탐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6) : 153-169, 2015

      38 이혜진, "관람객 반응을 고려한 참여미술 전시에 대한 제안" 한국예술교육학회 17 (17): 275-292, 2019

      39 권미원, "공적 발언으로서의 미술"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 : 176-205, 2009

      40 Dewey, J., "공공성과 그 문제들" 한국문화사 2014

      41 김원기 ; 기영미, "공공미술프로젝트를 통한 사회참여와 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 ‘나비의 꿈’ 스토리텔링 벽화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109-121, 2015

      42 김태준, "공공미술의 공공성에 대한 의미지평 재구성: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중심으로" 한국공공사회학회 5 (5): 5-28, 2015

      43 기영미, "공공미술에서의 집단적 참여와 소통의 의미 - 크리스토의 공공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한국조형교육학회 (38) : 31-53, 2010

      44 황동열 ; 류희진,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이 지역사회 애착도 및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종로구 이화동 벽화마을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18 (18): 109-127, 2015

      45 박성연, "공공미술 연계 교육프로그램과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살기 좋은 공동체’ 벽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 16 (16): 21-35, 2018

      46 노현숙, "공공디자인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분석을 통한 디자인 교육 프로세스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47 이진희, "‘함께-하는’ 유아평가 : 경계를 넘나들며 대화 이어가기" 창지사 2020

      48 Consalvo, A. L., "Writing on the walls : Supporting 21st century thinking in the material classroom" 60 : 54-65, 2016

      49 Jones, E., "What goes up on the classroom walls-and why?" 49 (49): 38-40, 1994

      50 Cullingford, C., "Wall displays-children’s reactions" 6 (6): 12-14, 1978

      51 Fisher, A. V., "Visual environment, attention allocation, and learning in young children : when too much of a good thing may be bad" 25 (25): 1362-1370, 2014

      52 Sparrman, A., "Visual documentation as a normalizing practice : A new discourse of visibility in preschool" 7 (7): 248-261, 2010

      53 James, M., "Unlocking assessment : Understanding for reflection and application" Routledge 20-35, 2008

      54 Leander, K., "The situated production of identity artifacts in classroom interaction" 37 : 198-250, 2002

      55 Barrett, P., "The impact of classroom design on pupils’ learning : Final results of a holistic, multi-level analysis" 89 : 118-133, 2015

      56 Forman, G., "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 Ablex 239-260, 1998

      57 Malaguzzi, L., "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 Ablex 49-97, 1998

      58 Moran, M. J., "Progettazione and documentation as sociocultural activities : Changing communities of practices" 46 (46): 81-90, 2007

      59 Kramer, H., "MoMA reopened : The museum of modern art in the postmodern era" 2 (2): 1-44, 1984

      60 Rinaldi, C., "In dialogue with Reggio Emilia : Listening, researching and learning" Routledge 2006

      61 Cain, A., "How the White Cube Came to Dominate the Art World"

      62 Maxwell, L. E., "Environmental personalizatio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esteem" 28 : 143-153, 2008

      63 Creekmore, W. N., "Effective use of classroom walls" 22 (22): 341-348, 1987

      64 Tarr, P., "Consider the walls" 59 (59): 88-92, 2004

      65 Hanley, M., "Classroom displays-attraction or distraction? Evidence of impact on attention and learning from children with and without autism" 53 (53): 1265-1275, 2017

      66 Wingate, K. O., "Choosing the right word walls for your classroom" 69 (69): 52-57, 2014

      67 Given, H., "Changing school culture : Using documentation to support collaborative inquiry" 49 : 36-46, 2010

      68 Guardino, C. A., "Changing behaviors by changing the classroom environment" 42 (42): 8-13, 2011

      69 Kathy, H., "A cross-cultural collaboration : Using visual culture for the creation of a socially relevant mural in Mexico" 63 (63): 68-75, 2010

      70 염주선,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이용한 관람객 참여형전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교 2019

      71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3

      72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2019

      73 박상명, "'학생 친화적 교실꾸미기'를 위한 미술과 수업지도 방안 :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