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뇌병변 장애인의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개인건강기록(e-PHR) 필수 항목 개발 = Development of Essential Items for Personal Health Record(e-PHR) for Integrated Healthcare Service for People with Brain Les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88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rvey the essential items of personal health record(PHR) for the integrated healthcare service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and importance priority were identified. For this, we analyzed previous literature and delphi survey,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ere conducted this study on 60 people(disability, guardians, field experts and professors). In the Delphi survey, reliability and content validity ratio were investigated, an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items were derived through an expert group using the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As a result, for the composition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personal health records of persons with brain lesions, 6 high-order factors and 62 low-level factors were compared in pairs. For details of each item, “Health Record”10 details, “Management, Notification” 5, “Information Provision” 7, “Linkage Scope” 7, “Rehabilitation Area” 10, “Policy System” 7, “efficiency and level of help” was composed of 16 question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ctivating personal health records and establishing a system for people with brain lesions.
      번역하기

      This study survey the essential items of personal health record(PHR) for the integrated healthcare service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and importance priority were identified. For this, we analyzed previous literature and delphi survey, analytic hier...

      This study survey the essential items of personal health record(PHR) for the integrated healthcare service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and importance priority were identified. For this, we analyzed previous literature and delphi survey,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ere conducted this study on 60 people(disability, guardians, field experts and professors). In the Delphi survey, reliability and content validity ratio were investigated, an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items were derived through an expert group using the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As a result, for the composition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personal health records of persons with brain lesions, 6 high-order factors and 62 low-level factors were compared in pairs. For details of each item, “Health Record”10 details, “Management, Notification” 5, “Information Provision” 7, “Linkage Scope” 7, “Rehabilitation Area” 10, “Policy System” 7, “efficiency and level of help” was composed of 16 question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ctivating personal health records and establishing a system for people with brain les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인의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개인건강기록(e-PHR) 필수 항목을 조사하고 항목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델파이조사 및 계층분석(AHP)을 장애인, 보호자, 현장전문가, 교수를 중심으로 60명에게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는 신뢰도와 내용타당도비율을 알아보았으며, 계층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항목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전문가 집단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뇌병변 장애인의 개인건강기록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구성은 6개의 상위요인과 62개의 하위요인을 쌍대비교하였다. 항목별 세부 내용은 “건강기록”의 세부 항목 10개, “관리, 알림” 5개, “정보 제공” 7개, “연계 범위” 7개, “재활 분야” 10개, “정책ㆍ제도” 7개, “효율성 및 도움 정도” 16개 문항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뇌병변 장애인의 개인건강기록 활성화 및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인의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개인건강기록(e-PHR) 필수 항목을 조사하고 항목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델파이조사 및 계층분석(...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인의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개인건강기록(e-PHR) 필수 항목을 조사하고 항목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델파이조사 및 계층분석(AHP)을 장애인, 보호자, 현장전문가, 교수를 중심으로 60명에게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는 신뢰도와 내용타당도비율을 알아보았으며, 계층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항목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전문가 집단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뇌병변 장애인의 개인건강기록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구성은 6개의 상위요인과 62개의 하위요인을 쌍대비교하였다. 항목별 세부 내용은 “건강기록”의 세부 항목 10개, “관리, 알림” 5개, “정보 제공” 7개, “연계 범위” 7개, “재활 분야” 10개, “정책ㆍ제도” 7개, “효율성 및 도움 정도” 16개 문항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뇌병변 장애인의 개인건강기록 활성화 및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문종훈 ; 박인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자가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515-523, 2017

      2 김재화, "특수체육론" 대경북스 165-, 2017

      3 배성환 ; 장연식 ; 백지영, "커뮤니티케어 제도 내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접근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제안 : 작업과 활동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5 (15): 325-335, 2021

      4 국립재활원, "지역사회 중심 재활서비스 모형(안)개발" 국립재활원 2010

      5 최복천 ; 김유리, "중증 뇌병변장애 아동의 건강·의료 실태 및 지원요구에 대한 부모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11-136, 2015

      6 고길곤 ; 하혜영, "정책학 연구에서 AHP 분석기법의 적용과 활용" 한국정책학회 17 (17): 287-315, 2008

      7 김진호, "재활의학" 군자출판사 2004

      8 김예순, "재활의료기관의 뇌졸중 환자 건강관리 프로그램 모형개발" 이화여자대학교 2015

      9 권선진, "장애인의 보건의료, 건강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63 : 21-33, 2018

      10 신은경, "장애인의 기능과 장애, 환경요인에 관한 ICF 활용방안 - 일본의 생활기능장애건강분류(ICF)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23 (23): 151-175, 2013

      1 문종훈 ; 박인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자가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515-523, 2017

      2 김재화, "특수체육론" 대경북스 165-, 2017

      3 배성환 ; 장연식 ; 백지영, "커뮤니티케어 제도 내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접근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제안 : 작업과 활동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5 (15): 325-335, 2021

      4 국립재활원, "지역사회 중심 재활서비스 모형(안)개발" 국립재활원 2010

      5 최복천 ; 김유리, "중증 뇌병변장애 아동의 건강·의료 실태 및 지원요구에 대한 부모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11-136, 2015

      6 고길곤 ; 하혜영, "정책학 연구에서 AHP 분석기법의 적용과 활용" 한국정책학회 17 (17): 287-315, 2008

      7 김진호, "재활의학" 군자출판사 2004

      8 김예순, "재활의료기관의 뇌졸중 환자 건강관리 프로그램 모형개발" 이화여자대학교 2015

      9 권선진, "장애인의 보건의료, 건강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63 : 21-33, 2018

      10 신은경, "장애인의 기능과 장애, 환경요인에 관한 ICF 활용방안 - 일본의 생활기능장애건강분류(ICF)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23 (23): 151-175, 2013

      11 박혜정 ; 장인순, "장애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인 고혈압 환자 대상 전화상담 고혈압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7 (37): 659-673, 2020

      12 이해인 ; 박정선 ; 최수향 ; 김희지 ; 김재형 ; 유준성 ; 신용일,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사업의 인식도와 중요도 연구: 보건소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지원 활성화를 중심으로"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2 (12): 25-35, 2020

      13 신수용 ; 정천기, "의료정보의 향후전망: 병원 주도의 개인건강기록 구축" 대한의사협회 52 (52): 1115-1121, 2009

      14 서슬기, "의료기관의 수익성과 모바일 기반Personal Health Record 서비스 도입과의 관계" 심사평가연구소 2 (2): 57-64, 2022

      15 김재학 ; 김규민 ; 이현실, "아급성기 뇌병변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 인식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운동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 28 (28): 161-177, 2020

      16 삼정KPMG 경제연구원, "스마트 헬스케어의 현재와 미래" 삼정KPMG 29-, 2018

      17 정은진 ; 김주창 ; 정호일 ; 유현 ; 정경용, "스마트 헬스를 위한 마이닝 기반의 정신 건강과 혈압 관리 서비스" 한국융합학회 8 (8): 13-18, 2017

      18 김정은 ; 이선영 ; PIAOMEIHUA, "소비자건강정보학의 연구주제 및 경향" 대한의료정보학회 13 (13): 311-320, 2007

      19 오승연, "소비자 중심 건강관리를 위한 디지털 건강정보 이용" 보험연구원 (18) : 10-13, 2018

      20 김현우 ; 김대원, "성인 뇌성마비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1) : 193-212, 2013

      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활밀착형 ICT 융합서비스 추진 동향및 발전방향" 27 (27): 21-28, 2012

      22 문준호 ; 김동수, "분산 원장 기반의 개인 주도적 건강 데이터 관리 프레임워크 설계" 한국전자거래학회 24 (24): 73-86, 2019

      23 정혜정, "보건의료의 정보화와 정보보호관리 체계" 19 (19): 125-133, 2009

      24 백은혜 ; 임성원 ; 김한결 ; 이현실, "보건대학생과 의과대학생 간의 개인건강기록(PHR) 인식 비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373-382, 2012

      25 호승희, "보건관리자를 위한장애인 맞춤형 건강관리 웹 어플리케이션 구현" 1 : 928-931, 2019

      26 이용정, "모바일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s: PHR)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이 소비자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관리학회 33 (33): 7-26, 2016

      27 이기호, "마이데이터 정책 추진 현황 및 보건복지 분야의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1 : 52-58, 2021

      28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라이프케어산업 정책 수요 도츨 및 통계기반 구축"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8

      29 김정원, "두부 손상 환자 가족의 우울에 대하여" 22 (22): 357-360, 1983

      30 박해운, "대학병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한 뇌졸중 노인환자들의 퇴원 양상" 1 (1): 24-30, 2007

      31 송연이 ; 이강숙 ; 조현영 ; 이빛나, "대상자 중심의 만성질환 자가관리 프로그램: 고혈압, 당뇨병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1 (31): 93-106, 2014

      32 김지예 ; 강지완 ; 김하림 ; 고주연 ; 김혜경 ; 김유리 ; 고광석 ; 이민수,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모바일 헬스 애플리케이션의 개인맞춤형 콘텐츠 개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5 (35): 25-40, 2018

      33 김이순, "뇌졸중환자의 희망"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6

      34 박원경,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Hemiplegia)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8

      35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구소, "뇌졸중 환자의 급성기 의료이용 분석을 통한 효율적 재활이용 근거 생성 연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구소 2015

      36 최성희, "뇌졸중 노인의 재활의욕을 높이기 위한 사회사업적 연구"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1

      37 김미희, "노년기 중도 뇌병변장애인의 지역사회복귀 과정" 연세대학교 2018

      38 Saaty, T. L., "네트워크 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2005

      39 윤주성, "고령자의 응급상황알림과 건강 기록 시스템 개발" 53-55, 2016

      40 하미연, "건강 행동 기록이 헬스케어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의 건강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2018 (2018): 444-448, 2018

      41 국립재활원, "개인유래건강데이터(Person-Generated Health Data) 기반의 장애인 웰니스케어 시스템 개발 및 현장적용 연구" 국립재활원 2020

      42 허영, "개인건강기록(PHR)서비스 기술 및 산업 동향" 1-28, 2013

      4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개인건강기록(PHR) 국가별 PHR 활용동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12, 2020

      44 이명규 ; 황희정, "개인건강기록 서비스에서 보안취약성 및 위협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5 (15): 163-171, 2015

      45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Disability Report" WHO 2012

      46 Lee, G., "Which users should be the focus of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s? Analysis of user characteristics influencing usage of a tethered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 22 (22): 419-428, 2016

      47 Lee, H. E., "What motivates users to continue using diet and fitness apps? Application of the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32 (32): 1445-1453, 2017

      48 Bakken S, "Toward vocabulary domain specifications for health level 7-coded data elements" 7 (7): 333-342, 2000

      49 Dejong, G., "The organization and financing ofhealth services forpersons with disabilities" 80 (80): 261-301, 2002

      50 Willett, J. G., "The effects of disability onset age, disability onset type and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on depression" ETD collection for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2004

      51 Lord, S. E., "The effect of environment and task on gait parameters after stroke : a randomized comparison of measurement conditions" 87 (87): 967-973, 2006

      52 Bloom, D. E., "The Economic Burden of Chronic Diseases : Estimates and Projections for China, Japan, and South Korea" 17 : 100163-, 2020

      53 Burchardt, "The Dynamics of being disabled" Centre for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London School of Economics 2000

      54 Saaty, T. 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s allocation" McGraw 1980

      55 Jerrgensen, H. S., "Stroke recurrence: Predictors, severity, and prognosis. The copenhagen stroke study" 48 (48): 891-895, 1997

      56 Gillen, G., "Storke rehabilitation" Mosby 2004

      57 Kim, M. I., "Personal health records : evaluation of functionality and utility" 9 (9): 171-180, 2002

      58 HIMSS, "Personal Health Records Definition and Position Statement"

      59 Mumma, C. M., "Perceived losses following stroke" 11 (11): 19-24, 1986

      60 안윤애, "PHR 개발을 위한 병원 데이터에 관한 연구" 1 (1): 93-99, 2013

      61 Shumway-Cook, A., "Motor control: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62 Disability World, "Mental issu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63 Reti, S. R., "Improving personal health records for patient-centered care" 17 (17): 192-195, 2010

      64 한국정보화진흥원, "ICT 기반 헬스케어 시버스의 사회적 영향과 대응방향" 11 : 11-, 2015

      65 Naess, 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young adults with ischemic stroke on long-term follow-up" 37 (37): 1232-1236, 2006

      66 Adler, M., "Gazing into the oracle: the Delphi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social policy and public health" Kingsley 252-, 1996

      67 Cullinan, J., "Estimating the extra cost of liv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20 (20): 582-599, 2011

      68 Jae-Hak Kim, "Effect of COVID-19 stress on physical function performance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45 (45): 79-85, 2022

      69 李聖雄, "Delphi技術豫測技法의 有用性에 관한 연구" 全北大學校 大學院 1987

      70 Kelly, J. O.,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walking ability in subacute stroke patients" 84 : 1780-1785, 2003

      71 김건, "AHP를 활용한 호텔기업 직원의 핵심역량 평가 개발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72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

      73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4차 산업혁명 대정부 권고안"

      74 이희주, "4차 산업 혁명시대의 의료 환경 변화와 웰니스의 전망" 한국웰니스학회 12 (12): 215-223, 2017

      75 한국장애인개발원, "2021 장애인통계연보"

      76 보건복지부,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77 통계청, "2020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

      7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인터넷이용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79 보건복지부,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