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손가정 실태에 대한 공법적 검토-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 = Public law review on the actual condition of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488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손가정의 형성원인은 가족기능약화, 가족해체 등 복합적이고 다양하다. 특히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상황에서 이혼율의 증가추세는 조손가정을 증가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라 볼 수 있다. ...

      조손가정의 형성원인은 가족기능약화, 가족해체 등 복합적이고 다양하다. 특히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상황에서 이혼율의 증가추세는 조손가정을 증가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라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조손가정만을 위한 지원체계가 없어 조부모와 손자녀의 다양한 욕구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조부모에 대한 지원이 최소한에 그치고 있어 경제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양육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정신건강상태와 양육태도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조손가정만을 위한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노인과 아동기관과의 연계와 함께 체계적인 통합성을 지향하는 지원홍보, 가족기능강화 및 가족재결합 등 포괄적인 복지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변화하는 사회구조로 인해 새롭게 등장한 가족형태의 조손가정 실태와 지원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을 진단하고 제공되는 지원정책서비스의 한계점과 지원방안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asons for the formation of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are complex and diverse, including family weakening and family dismantling. Especially in the changing socio-economic situation, the increasing trend of the divorce rate is the bigge...

      The reasons for the formation of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are complex and diverse, including family weakening and family dismantling. Especially in the changing socio-economic situation, the increasing trend of the divorce rate is the biggest cause to increase the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In Korea, there is no support system for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at present, so various needs of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are not reflected. In addition, support for grandparents is at a minimum, not only economic difficulties but also negative mental health and parenting attitudes due to parenting stress. Therefore, comprehensive welfare services such as support promotion, family function reinforcement, and family reunification should be needed in order to establish legal grounds only for grandparents and to link the elderly with child institutions and systematically integrate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newly emerged family – type grandparents and support policies due to the changing social structure, and suggest the limitations and support measures of the support policy services provi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검토 Ⅲ. 조손가정의 실태 Ⅳ. 조손가정의 문제점 및 지원방안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Ⅱ. 이론적 검토 Ⅲ. 조손가정의 실태 Ⅳ. 조손가정의 문제점 및 지원방안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정선, "행정법특강" 박영사 25-, 2010

      2 김동희, "행정법요론" 박영사 13-, 2010

      3 신봉기, "행정법개론" 삼영사 299-334, 2016

      4 박균성, "행정법강의" 박영사 332-340, 2018

      5 김철용, "행정법" 박영사 316-317, 2011

      6 국가법령정보센터, "한부모가족지원법(시행 2018.7.17.)"

      7 김혜영, "조손가족지원방안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8 윤혜미, "조손가족의 삶:쟁점과 지원방안"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259-288, 2012

      9 이창식, "조손가족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간의 관계-3세대가족 청소년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151-172, 2009

      10 서홍란,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과 사회서비스 욕구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267-296, 2009

      1 홍정선, "행정법특강" 박영사 25-, 2010

      2 김동희, "행정법요론" 박영사 13-, 2010

      3 신봉기, "행정법개론" 삼영사 299-334, 2016

      4 박균성, "행정법강의" 박영사 332-340, 2018

      5 김철용, "행정법" 박영사 316-317, 2011

      6 국가법령정보센터, "한부모가족지원법(시행 2018.7.17.)"

      7 김혜영, "조손가족지원방안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8 윤혜미, "조손가족의 삶:쟁점과 지원방안"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259-288, 2012

      9 이창식, "조손가족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간의 관계-3세대가족 청소년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151-172, 2009

      10 서홍란,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과 사회서비스 욕구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267-296, 2009

      11 한경혜, "조손가족 조모가 경험하는 손자녀 양육의 보상과 비용" 한국노년학회 28 (28): 1147-1164, 2008

      12 여성가족부, "조손가족 실태조사"

      13 최해경, "조손가족 손자녀의 학교적응과 관련 요인 연구" 18 : 163-183, 2007

      14 박수선, "조손가족 기능강화를 위한 사례관리 실천 과정 기초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31 (31): 41-57, 2013

      15 박충선, "조손가정의 형성원인과 양육경험에 따른 조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5 (15): 105-125, 2010

      16 이미영, "조손가정의 형성과정 및 생활실태" 17 (17): 203-228, 2007

      17 이화영, "조손가정의 현황과 과제" 92-103, 2011

      18 장승옥, "조손가정의 문제점과 지원방안 ," 29 (29): 351-373, 2010

      19 김혜선, "조손가정 아동의 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4

      20 염동훈, "조손가정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07

      21 염영옥, "조손가정 돌봄에 대한 사회복지적 자원체계로의 탐색적인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4 : 703-707, 2007

      22 서현, "조부모-손자녀 가정 유아의 생활에 관한 연구 -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6) : 1-30, 2009

      23 김미혜,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4 (24): 153-170, 2004

      24 최해경, "저소득층 조손가정 여성노인의 우울감과 관련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207-222, 2002

      25 김미영, "저소득 조손가족의 가족생활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26 김희수, "저소득 가정 아동의 비행행동에 대한 환경적 요인들의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27 석종현, "일반행정법" 삼영사 423-, 2015

      28 "익산시 민·관 정보공유시스템 가동" 익산시청

      29 국가법령정보센터, "아동복지법(시행 2019.1.15.)"

      30 한경혜, "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사회적 배제 경험과 적응"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6) : 87-122, 2009

      31 박경애, "사회적 지지가 조손가족 조부모의손자녀 돌봄보상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2 (12): 25-45, 2007

      32 "복지통합관리 민·관 제멋대로…서비스 누락 및 중복 , 광주드림"

      33 "도움이 필요한 조손가정, 좀 더 세심하게 살피겠습니다!" 보건복지부

      34 손용진, "농촌지역 조손가정의 실태와 조부모 양육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7 (7): 121-128, 2015

      35 박충선, "농촌여성노인가구의 손자녀 양육실태와 정책과제"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03

      36 박옥임, "농촌 조손가족의 손자녀 연구 : 3세대가족과의 비교"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37 정일선, "농촌 조손가정의 형성과 여성노인의 적응 : 경상북도 농촌지역 조손가정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38 배옥현, "경상북도 조손가정 실태와 지원방안"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11

      39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 "가정위탁보호 현황보고서" 2016

      40 통계청,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2인 이상)"

      41 김희연 외, "Ⅰ·Ⅲ세대 가정 지원 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1

      42 Fuller-Thomson, E., "American Induan/Alaska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 Finding from the census2000 supplementary survey" 50 (50): 131-139,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9 0.68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