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주관적 웰빙 개념 중 긍정적인 심리적 기능을 강조하는 유데모니아에 주목하여 아동의 놀이 환경 및 놀 권리 요인이 유데모니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19736
2020
-
300
KCI등재
학술저널
45-65(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주관적 웰빙 개념 중 긍정적인 심리적 기능을 강조하는 유데모니아에 주목하여 아동의 놀이 환경 및 놀 권리 요인이 유데모니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주관적 웰빙 개념 중 긍정적인 심리적 기능을 강조하는 유데모니아에 주목하여 아동의 놀이 환경 및 놀 권리 요인이 유데모니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주관적 웰빙과 놀이 및 놀 권리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부산지역 초등학교 재학중인 4∼6학년 아동 중 표본으로 선출된 1,6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1,544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평균차이검정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의 유데모니아 수준은 성별과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연구모형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놀이 친구 접근성, 지역사회 놀이 환경, 부모님과 교사의 놀 권리 인정, 아동의 놀 권리 인식은 아동의 유데모니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놀이 환경과 놀 권리 인식은 아동의 유데모니아의 중요한 영향요인이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아동의 유데모니아 증진을 위한 제언과 후속 연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play environment and the right to play on children’s eudaimonia which is good psychological functioning aspect of the subjective well-being. Metho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play environment and the right to play on children’s eudaimonia which is good psychological functioning aspect of the subjective well-being. Methods: A research model was specified based o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s on children’s play, the right to play,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population of the study is fourth to sixth graders enrolled in elementary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area.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30 student samples, and data from 1,544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school grade in children’s eudaimonia.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availability of playmates, positive evaluation of their community play environment, both parental and school teachers’ high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 to play, and children’s own perception of the right to play had significantly increased children’s eudaimonic well-being. Conclusions: Children’s play environment and right to play are significant factors in children’s eudaimonia.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 and further research on children’s eudaimonia.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여대생의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과 정서적 섭식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게임 중재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인지능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ROCF 그리기 접목 인지행동적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ROCF 그리기 수행과 주요 증상 및 문제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터치스크린 과제수행에서 나타나는 영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