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조대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 장용영(壯勇營) 하급 군사(軍士)의 군복(軍服) 고증 = Features of the Military Uniforms of the Low- Ranking Soldier Belonging to Jangyongyoung in the King Jeongjo Period Seojangdaeyajo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581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ojangdaeyajodo is a drawing of Jangyongyoung’s military night training on February 12 (lunar leap month), 1795. Focusing on the Seojangdaeyajodo , the positions and roles of the low-ranking soldier belonging to Jangyongyoung , and the composition ...

      Seojangdaeyajodo is a drawing of Jangyongyoung’s military night training on February 12 (lunar leap month),
      1795. Focusing on the Seojangdaeyajodo , the positions and roles of the low-ranking soldier belonging to
      Jangyongyoung , an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ilitary uniforms for each role were examined. The
      results ascertained by the historical research on the military uniforms are as follows.
      Deungronggun, noeja, sunryeongsu and daegisu who were placed in front of the king’s Seojangdae were the
      low-ranking soldiers belonging to Jangyongyoung . The soldiers who escorted the king around Seojangdae were lowranking
      soldiers belonging to Jangyongyoung .
      The military uniform of the deungronggun was consisted of a jeolrip, a black heopsu, red gweja, indigo jeondae,
      white haengjeon and black shoes. The low-ranking soldier's heopsu suggested that it could also be a sochangui . He
      carried a sword and a red lantern.
      Noeja were divided into a sinjeonsu and a jujangsu. The military uniform of the noeja was consisted of a
      Jujeolrip , a black heopsu , red gweja , indigo jeondae , white haengjeon , and black shoes.
      Sunryeongsu were divided into a sinsigisu and a younggisu . The military uniform of the sunryeongsu was consisted of a
      jeongeon, a black heopsu, red gweja, indigo jeondae white haengjeon and black shoes. He carried a sword and a red lantern.
      The military uniform of the daegisu was consisted of a jeongeon, a black heopsu, blue gweja, indigo jeondae,
      white haengjeon and black shoes. He carried a sword and a flag.
      The soldiers surrounding Seojangdae and the seongjeonggun defending the fortress were the Chogun. The
      military uniform of the chogun was consisted of a jeolrip, a black heopsu, houi, indigo jeondae, white haengjeon and
      straw shoes. Houi was applying the five directional colors: the east is blue, the west is white, the south is red, and the
      north is black. He carried a sword and a gun.
      It was presented as an illustration of costumes that could produce contents by reflecting on these historical results.
      The basic principle of the illustration was to present the standards for 3D content production or actual production.
      Samples of form, color, and material according to the times and status were presented. The front, the side, and the
      back of each costume and the feature were presented, and the colors were presented in RGB and CMY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795년 윤2월 12일 정조가 친림하여 행한 장용영 외영의 군사 훈련을 그린 <서장대야조도>를 중심으로 장용영 하급 군사들의 위치와 역할, 역할별 군복의 구성과 특징을 고찰하였으며 결...

      1795년 윤2월 12일 정조가 친림하여 행한 장용영 외영의 군사 훈련을 그린 <서장대야조도>를 중심으로 장용영
      하급 군사들의 위치와 역할, 역할별 군복의 구성과 특징을 고찰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장대야조도>에서 정조가 자리한 서장대 앞에 2열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등롱군·뇌자·순령수·대기수와, 서장
      대를 둘러싸고 정조를 호위한 군사들은 모두 장용영 소속 하급 군사들이었다.
      정조 앞에 배치된[御前前排] 등롱군의 군복은 전립, 흑색 협수, 홍색 괘자,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흑혜로 고증
      하였다. 하급 군사들의 협수는 기존 학계에 알려진 관직자들의 무가 있는 협수와는 달리 소창의형 협수일 가능성을 제
      시하였다. 등롱군은 칼을 차고 손에는 홍사촉롱을 들었다.
      뇌자는 신전수와 주장수가 있었다. 왕 앞에 배치된 뇌자의 군복은 주전립, 흑색 협수, 홍색 괘자,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흑혜로 고증하였다. 뇌자는 칼을 차고 신전기 또는 주장을 들었다.
      왕 앞에 배치된 순령수는 순시기수와 영기수가 있었다. 순령수의 군복은 전건, 흑색 협수, 홍색 괘자,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흑혜로 고증하였다. 순령수는 칼을 차고 홍순시기 또는 홍령기를 들었다.
      왕 앞에 배치된 대기수의 군복은 전건, 흑색 협수, 청색 괘자,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흑혜로 고증하였다. 왕 앞
      에 배치되는 다른 군사들과 달리 대기수는 정조대에 와서야 왕 앞에 배치됨으로써 괘자의 색상이 청색인 점이 달랐다.
      대기수는 칼을 차고 대기치를 들었다.
      서장대를 둘러싼 군사들은 전초군과 좌초군이었고, 성곽을 방어하는 군사들은 좌·우·전·후 초군으로 보았다. 초군
      의 군복은 전립, 흑색 협수, 호의,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짚신으로 고증하였다. 호의는 방위에 따른 색을 사용하였
      기에 좌초군은 청색, 우초군은 백색, 전초군은 홍색, 후초군은 흑색이었다. 초군이 소지하는 무기는 조총과 칼이었다.
      성정군들은 조총과 칼 외에도 훈련 상황에 따라 횃불이나 등이 달린 기창을 들기도 하였다.
      이상의 고증 결과를 반영한 시각화의 기본 원칙은 3D 콘텐츠 제작뿐만 아니라 실물 제작까지 가능하도록 시대와
      신분에 적합한 형태·색상·재질 기준을 제안하였다. 역할별 복식 착장도에 무기와 군기(軍器)를 갖춘 앞·옆·뒤 모습으로
      표현하고 색상을 RGB와 CMYK로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육군박물관, "활 이야기" 92-, 2015

      2 "화성원행반차도(華城園幸班次圖)"

      3 "화성부성조도(華城府城操圖)"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한국고전종합DB"

      6 국립민속박물관, "한국 복식 2천년" 117-, 1995

      7 "평안감사향연도(平安監司饗宴圖)"

      8 이주영, "통신사 수행 마상재(馬上才)의 공연 복식" 한복문화학회 21 (21): 51-63, 2018

      9 박가영, "조선후기 피갑(皮甲)의 구조와 특징" 한국복식학회 69 (69): 136-158, 2019

      10 박가영, "조선후기 전건(戰巾)의 착용과 제작" 한복문화학회 21 (21): 69-82, 2018

      1 육군박물관, "활 이야기" 92-, 2015

      2 "화성원행반차도(華城園幸班次圖)"

      3 "화성부성조도(華城府城操圖)"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한국고전종합DB"

      6 국립민속박물관, "한국 복식 2천년" 117-, 1995

      7 "평안감사향연도(平安監司饗宴圖)"

      8 이주영, "통신사 수행 마상재(馬上才)의 공연 복식" 한복문화학회 21 (21): 51-63, 2018

      9 박가영, "조선후기 피갑(皮甲)의 구조와 특징" 한국복식학회 69 (69): 136-158, 2019

      10 박가영, "조선후기 전건(戰巾)의 착용과 제작" 한복문화학회 21 (21): 69-82, 2018

      11 "조선시대 법령자료"

      12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궁중행사도 Ⅲ" 51-198, 2012

      13 박가영, "조선시대 군사 유삼(油衫)의 종류와 운용 체계" 한국복식학회 64 (64): 143-155, 2014

      14 박가영, "조선시대 갑주 유물의 감정을 위한 현황파악과 시대구분" 한국복식학회 58 (58): 166-177, 2008

      15 박가영, "조선 후기 면갑(綿甲) 유물 분석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 한국복식학회 63 (63): 158-167, 2013

      16 염정하, "조선 중·후기 訓鍊都監의 군사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63 (63): 171-187, 2013

      17 김준혁, "조선 정조대 장용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18 국립고궁박물관, "조선 왕실의 군사력의 상징, 군사의례" 108-109, 2020

      19 "정조실록(正祖實錄)"

      20 박가영, "정조시대의 군사복식과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 한복문화학회 7 (7): 129-143, 2004

      21 김준혁, "정조시대 壯勇營外營의 兵農一致 군제개혁 구상과 屯田經營" 한국사연구회 (168) : 95-129, 2015

      22 수원화성박물관, "정조대왕의 수원행차도" 30-136, 2016

      23 이은주, "정조대왕의 수원행차도" 수원화성박물관 329-, 2016

      24 수원화성박물관, "정조대왕과 수원화성" 223-, 2016

      25 박범, "정조대 壯勇營 內營 營舍의 증설 과정과 의미" 서울학연구소 (68) : 1-33, 2017

      26 이은주, "정조대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의관직자 복식 고증" 국립문화재연구소 54 (54): 78-97, 2021

      27 김준혁, "정조가 만든 조선의 최강 군대, 장용영" 더봄 337-339, 2018

      28 민길홍, "정조, 8일간의 수원 행차" 수원화성박물관 291-, 2015

      29 박범, "정조 중반 장용영의 군영화 과정" 수선사학회 (70) : 125-159, 2019

      30 "장용영대절목(壯勇營大節目)"

      31 박범, "장용영 내영의 향색제조 역할과 재정확보 과정" 한국역사연구회 (102) : 151-188, 2016

      32 염정하, "장서각 소장 군영 자료로 본 조선 후기 삼군영의 군사 복식 보급" 한국학중앙연구원 (42) : 38-65, 2019

      33 "일성록(日省錄)"

      34 "영조실록(英祖實錄)"

      35 안동대학교 박물관, "안동 정상동 일선 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보고서" 322-, 2000

      36 "순시색중기(巡視色重記)"

      37 "속대전(續大典)"

      38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

      39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

      40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② - 복식·자수편" 185-, 2006

      41 "매일경제"

      42 "만기요람(萬機要覽)"

      43 "디지털 장서각"

      44 "동장대시열도(東將臺試閱圖)"

      45 국립문화재연구소,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224-503, 2017

      46 국립문화재연구소,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518-586, 2013

      47 "대전통편(大典通編)"

      48 "대기수색중기(大旗手色重記)"

      49 경기문화재단, "국역증보판 화성성역의궤 (상)" 13-15, 2005

      50 "국립중앙박물관"

      51 "국립민속박물관"

      52 "국립고궁박물관"

      53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韓國服飾 19" 144-, 2001

      54 이은주, "英祖代 大射禮儀 참여자의 복식 유형 고증" 한국복식학회 57 (57): 100-114, 2007

      55 忠北大學校 博物館, "洪禹協 墓 出土 17世紀 服飾 論攷" 147-, 1993

      56 김준혁, "正祖의 훈련대장 具善復제거와 壯勇大將임명" 역사실학회 (44) : 157-185, 2011

      57 박범, "正祖代 壯勇營의 軍制와 財政 運營"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58 수원시, "壯勇營古事 譯註" 34-118, 2004

      59 방범석, "壯勇營 편제와 재정 운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60 수원화성박물관, "園幸乙卯整理儀軌 譯註" 97-630, 2015

      61 이왕무, "『本營圖形』을 통한 조선후기 장용영의 모습" 한국학중앙연구원 (21) : 5-38, 2009

      62 곽낙현, "『壯勇營大節目』의 구성과 자료적 가치 검토" 동양고전학회 (81) : 207-233, 2020

      63 "Google Arts & Culture"

      64 이경희, "1829년 <명정전진찬도>의 산선시위(繖扇侍衛) 복식 유형" 한복문화학회 19 (19): 123-142, 2016

      65 이주영, "1811년 신미통신사행(辛未通信使行)의 통신사선 운항요원 복식" 한복문화학회 19 (19): 115-128, 2016

      66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22-23, 2006

      67 이은주, "1795년 정조의 화성 城操와<서장대 야조도> 비교 분석" 한국고전번역원 56 : 413-459, 2020

      68 "(순조기축)진찬의궤(進饌儀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