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어와 한국어의 명사연결구성 ― 헤드라인에 나타난 ‘주체’와 ‘사건’에 대하여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65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어의 명사연결구성을 한국어의 경우와 비교함으로써 압축적인 텍스트가 보이는 형식적 특성과 의의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4월 17일부터 5월 12일까...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어의 명사연결구성을 한국어의 경우와 비교함으로써 압축적인 텍스트가 보이는 형식적 특성과 의의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4월 17일부터 5월 12일까지 4주간 일본의 2개 일간지와 한국의 2개 일간지에 실린 북한 관련 보도의 헤드라인을 관찰하여 기사의 핵심 정보인 ‘주체’와 ‘사건’이 어떤 형식으로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명사연결구성이란 명사 또는 명사구 성분이 선상으로 배열되어 전체가 하나의 합성어와도 같이 기능하는 형식을 말한다. 이와 같은 형식은 헤드라인에서 특히 다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매일 수많은 주체 또는 사건의 정보를 언어화해야 하는 신문의 경우, 특정 사건에 의미를 부여하는 새로운 형식을 간편하게 만들기에 형태적으로 명사 범주가 유용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어와 한국어 모두 술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생략한 불완전한 술부를 활용하여 헤드라인의 경제성을 확보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반면, 한국어 헤드라인의 연결구성이 조사 사용을 배제하고 키워드를 나열하여 형태적으로 합성어에 가까운 구성을 선호하는데 비해, 일본어의 경우는 어와 구의 중간적인 성격을 보이는 구성, 즉 통사적 요소가 포함된 탈경계적 형식이 빈번히 관찰된다. 일본어의 경우 통사적인 요소를 합성어 구성에 포함시키는 예가 한국어에 비해 용인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차이는 탈경계적 언어 현상의 가속화라는 경향이 두 언어 간에 다른 방식으로 진전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현대 사회의 정보량 폭증이라는 공통된 상황 하에서 독자의 시선을 끌고자 하는 의도 등 언어 외적 요인으로 촉발되는 현상이 일한 두 언어에서 서로 다른 방식과 속도로 나타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noun sequences, by investigating the linguistic formation of two types of information, an “entity,” and an “event,” which are the most significant elements in news contents. A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noun sequences, by investigating the linguistic formation of two types of information, an “entity,” and an “event,” which are the most significant elements in news contents. A survey of the headlines of news articles discussing North Korea in four daily newspapers (4/17~5/12) revealed that both languages make use of extensive noun sequences, which are concise nominal structures mainly consisting of simple keywords. The frequent use of noun sequences in the headlines of both languages could be driven by the morphological utility of nouns for establishing new communal forms to refer to some specific shared ideas about the myriads of entities or events that become prominent on a daily basis. The two languages, however, show some contrasting tendencies in noun sequences: Japanese headlines include more examples of intermediate structures compared with Korean ones, which make use of more compound-like structures and fewer particles. By “intermediate structures,” I refer to pseudo-compounds with some components being formed at syntactic level. This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nguages can be attributed to the differing rates at which the languages have come to accept the creation of new forms that cross structural boundaries. In the context of increasing levels of information overload in the modern world, extra-linguistic factors, such as the need to enhance the saliency of a headline to attract readers' attention, may accelerate this progression toward pithy nominal forms and cross-boundary struct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배경과 선행연구
      • 3. 분석 자료와 전제
      • 4. 연결구성의 양상과 형식
      • 1. 머리말
      • 2. 배경과 선행연구
      • 3. 분석 자료와 전제
      • 4. 연결구성의 양상과 형식
      • 4.1 ‘주체’ 구성의 양상과 형식
      • 4.2. ‘사건’ 구성의 양상과 형식
      • 5. 관찰 결과의 분석과 시론
      • 5.1 헤드라인의 명사연결구성과 유용성에 대하여
      • 5.2. 명사연결구성과 탈경계적 현상에 대하여
      • 6. 맺음말
      • 참고문헌(Reference)
      • <요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野口崇子, "「見出し」の文法―解読の手引きと諸問題" 早稲田大学日本語教 育センター 30分 : 94-124, 2002

      2 김해연, "합성명사의 형성과 번역의 언어적 동기" 담화·인지언어학회 16 (16): 1-23, 2009

      3 김인자, "합성명사의 텍스트 압축 기능에 대한 화용적 고찰한국어, 독일어 일간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회 2 : 109-137, 1994

      4 김창섭, "한국어 형태론 연구" 태학사 2008

      5 장은경, "인터넷 신문 헤드라인(headline)의 표현 형식" 한민족문화학회 (34) : 139-164, 2010

      6 고주환, "인터넷 신문 표제어 제시 유형 연구-경성기사와 연성기사의 구분을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39 (39): 27-42, 2014

      7 김광해, "의미론 연구의 새 방향" 박이정 1998

      8 김혜정, "신문 표제어의 텍스트양상 연구-명사 조어와 생략현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5 : 53-78, 2002

      9 김홍범, "신문 기사 제목에 쓰인 상징어의 분석" 29 : 53-70, 2001

      10 조혜민, "상징어의 사용과 의미: 신문 기사 제목 코퍼스에 기초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40 : 191-218, 2013

      1 野口崇子, "「見出し」の文法―解読の手引きと諸問題" 早稲田大学日本語教 育センター 30分 : 94-124, 2002

      2 김해연, "합성명사의 형성과 번역의 언어적 동기" 담화·인지언어학회 16 (16): 1-23, 2009

      3 김인자, "합성명사의 텍스트 압축 기능에 대한 화용적 고찰한국어, 독일어 일간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회 2 : 109-137, 1994

      4 김창섭, "한국어 형태론 연구" 태학사 2008

      5 장은경, "인터넷 신문 헤드라인(headline)의 표현 형식" 한민족문화학회 (34) : 139-164, 2010

      6 고주환, "인터넷 신문 표제어 제시 유형 연구-경성기사와 연성기사의 구분을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39 (39): 27-42, 2014

      7 김광해, "의미론 연구의 새 방향" 박이정 1998

      8 김혜정, "신문 표제어의 텍스트양상 연구-명사 조어와 생략현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5 : 53-78, 2002

      9 김홍범, "신문 기사 제목에 쓰인 상징어의 분석" 29 : 53-70, 2001

      10 조혜민, "상징어의 사용과 의미: 신문 기사 제목 코퍼스에 기초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40 : 191-218, 2013

      11 목정수, "상징부사(의성,의태어)의 서술성과 기능동사" 12 : 89-118, 2000

      12 오민석, "문장형 단어형성요소의 형성과 특성 - 용언 어간과 종결어미 결합형을 대상으로 -" 민족문화연구소 (48) : 239-264, 2011

      13 백승익, "매스미디어가 텍스트와 신조어에 미치는 영향: 매개적 분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39 (39): 67-108, 2014

      14 島村礼子, "語と句と名付け機能 日本語の「形容詞+名詞」形を中心に" 開拓社 2014

      15 林四朗, "臨時一語の構造" 131 : 15-26, 1982

      16 石井正彦, "現代日本語の複合語形成論" ひつじ書房 2007

      17 尹盛熙, "日本語の翻訳字幕における省略・縮約の実現-韓国語との対照分析" 社会言語科学会 18 (18): 19-36, 2016

      18 新屋映子, "日本語の名詞志向性の研究" ひつじ書房 2014

      19 윤성희, "新聞見出しにおける日韓の省略と縮約 ― 形式的違いを中心に ―" 한국일본학회 (104) : 33-50, 2015

      20 塚本秀樹, "形態論と統語論の相互作用" ひつじ書房 2012

      21 井上優, "名詞述語の動詞性・形容詞性に関する覚え書日本語と韓国語の場合, 筑波大学東西 言語文化の類型論特別プロジェクト平成 10 年度 (II) 研究報告書" 筑波大学 455-470, 1998

      22 生越直樹, "シリーズ言語科学4 対照言語学" 東京大学出版社 75-98, 2002

      23 Shibatni, M., "The Languages of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24 Haspelmath, M., "The Indeterminacy of Word Segmentation and the Nature of Morphology and Syntax" 45 (45): 31-80, 2011

      25 Adams, V., "Complex Words in English" Routledge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Japanolog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4 0.725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