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정의윤리에 기반을 둔 정의공동체, 배려윤리에 기반을 둔 배려공동체, 다차원적 사고에 기반을 둔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장점과 한계점을 분석하고, 이 한계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정의윤리에 기반을 둔 정의공동체, 배려윤리에 기반을 둔 배려공동체, 다차원적 사고에 기반을 둔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장점과 한계점을 분석하고, 이 한계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이 연구는 정의윤리에 기반을 둔 정의공동체, 배려윤리에 기반을 둔 배려공동체, 다차원적 사고에 기반을 둔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장점과 한계점을 분석하고, 이 한계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학교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대안적 접근방법으로서 자아초월심리학이 활용될 수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탐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Kohlberg의 정의윤리에 이론적 토대를 둔 정의공동체와 Noddings의 배려윤리에 이론적 토대를 둔 배려공동체의 인성교육에 있어서의 장점과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둘째, 실제로 도덕적 상황은 배려와 정의간의 조화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논증하고, 그러나 기존의 통합적 접근방법인 Lickona식의 단순 결합방법과 Lipman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접근법은 정의와 배려의 통합에 한계가 있고 개인의 내면성과 고차원적 정신성 함양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셋째, 지금까지의 인성교육 접근방법들이 지닌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 접근법으로서 자아초월심리학이 주장하는 의식발달과정에 이론적 토대를 두고 자아초월지향 공동체를 형성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자아초월심리학에 토대를 둔 자아초월지향 공동체의 형성과 교육활동은 개인적 차원과 대인관계에서의 의식발달뿐 아니라 자연환경과 세계, 영적 존재에까지 의식발달을 확장시킬 수 있고,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창조적․승법적․발전적 통합을 지원할 수 있으며, 비판적 토론과 형식적 대화, 일상적 대화와 이야기의 활용, 교사의 모범 등의 인성교육의 방법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면서도 더 다양하고 구체적인 인성교육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theoretical argue that consciousness development proces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can use as new approach in humanism education in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first, I claim that has limitation as well a...
This paper aims to theoretical argue that consciousness development proces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can use as new approach in humanism education in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first, I claim that has limitation as well as has strengths that justice community based on Kohlberg's ethics of justice and care community based on Noddings's ethics of care in humanism education in school. Ethics of justice has a merit in developing intellectual aspects of morality such as moral judgment while neglecting the affective or acting aspects. Ethics of care, on other hand, has a merit in developing affective or acting aspects whereas it has weakness in developing the ability of fair judgment in moral situations. Second, thereby characterize ethics of justice and care respectively and explicate the limits of each ethics, then I assert to explore ways to integrate the two ethics for humanism education in school. Lickona's additive combination approach has limitation as appropriate approaches to integrative moral education. And Lipman's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can't develop individual immanent and high dimensional spirituality. Third, I assert that consciousness development proces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can use as new approach in humanism education in school. Humanism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transpersonal community based on transpersonal psychology can that individual consciousness expand till immanent, relational expansion, nature and whole world, spirituality. And it can support creative integration of ethics of justice and ethics of care in humanism education. Also, it can provide humanism education's method containing critical discussion and formal conversation, story use and ordinary conversation, contemplation and immortal conversation, teacher as a mode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Vitale, J., "호오포노포노의 비밀" 눈과 마음 2008
2 박효정, "한국사회의 도덕성 지표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1
3 문용린, "학교폭력의 예방. 그 이해의 관점" 12 : 3-11, 2005
4 정미경,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도덕과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38 (38): 143-164, 2007
5 박효정,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 대책에 대한 효과 평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3 (33): 145-167, 2006
6 조용환, "학교 구성원의 삶과 문화: 교사와 학생, 그들은 행복한가?" 33 (33): 77-91, 1995
7 김세균, "통합적 학문연구와 통섭의 기본 방향: 해석학적 비판과학으로의 학문 통합을 위하여" 41 : 194-210, 2009
8 박영만, "통합교육과정과 전인교육" 학지사 2003
9 조성민,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도덕과 토론-논술 연계지도" 10 : 1-14, 2008
10 양미진, "초등학생의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배려증진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05-232, 2009
1 Vitale, J., "호오포노포노의 비밀" 눈과 마음 2008
2 박효정, "한국사회의 도덕성 지표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1
3 문용린, "학교폭력의 예방. 그 이해의 관점" 12 : 3-11, 2005
4 정미경,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도덕과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38 (38): 143-164, 2007
5 박효정,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 대책에 대한 효과 평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3 (33): 145-167, 2006
6 조용환, "학교 구성원의 삶과 문화: 교사와 학생, 그들은 행복한가?" 33 (33): 77-91, 1995
7 김세균, "통합적 학문연구와 통섭의 기본 방향: 해석학적 비판과학으로의 학문 통합을 위하여" 41 : 194-210, 2009
8 박영만, "통합교육과정과 전인교육" 학지사 2003
9 조성민,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도덕과 토론-논술 연계지도" 10 : 1-14, 2008
10 양미진, "초등학생의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배려증진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05-232, 2009
11 이연수, "초등학생용 배려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도덕지능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91-116, 2012
12 이연수, "초등학생용 배려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4) : 127-152, 2010
13 이영재, "초개인심리학에서 주장하는 의식의 초월에 관한 연구" 17 : 1-19, 1988
14 명재신, "청소년의 배려와 관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2012
15 박진환, "철학적 탐구공동체방법을 통한 인격 교육" 한국윤리학회 53 (53): 2-50, 2003
16 이춘희,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유아의 배려적 사고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225-242, 2008
17 Babin, P., "종교 커뮤니케이션의 새 시대" 분도출판사 1993
18 조성민, "정의윤리와 배려윤리 교육의 통합적 접근" 14 : 15-36, 2010
19 Lickona, T., "인격교육론" 백의 1998
20 김치성, "인간성에 기초한 순환적 영성교육론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2
21 박영균, "이념적 통섭을 통한 학문적 통섭의 모색" 59 : 287-317, 2009
22 Wilber, K., "의식의 스펙트럼" 범양사 2006
23 용홍출, "의식의 과정 및 상담심리학적 패러다임: 초월심리학을 중심으로" 7 (7): 27-42, 2004
24 Sprod, T., "윤리탐구공동체 교육론" 철학과 현실사 2006
25 심광현, "유비쿼터스 시대의 지식생산과 문화정치" 문화과학사 2009
26 정보주, "어린이 철학에 기초한 도덕교육" 7 : 125-152, 2001
27 Wilber, K., "아이 투 아이: 감각의 눈, 이성의 눈, 관조의 눈" 대원출판 2004
28 최애숙, "아동상담을 위한 초월심리적 접근방법" 22 (22): 83-104, 2001
29 Cox, H., "신의 혁명과 인간의 책임" 현대사상사 1974
30 이봉건, "상담 및 심리치료에 대한 의식 심리학의 시사점" 13 (13): 21-30, 1989
31 이미식, "배려의 윤리(Ethic of Care)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인성교육의 측면에서" 한국열린교육학회 11 (11): 109-129, 2003
32 이연수, "배려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135-160, 2011
33 박종효, "또래 공격행동 및 피해행동에 대한 이해: 선행요인 탐색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8 (18): 19-36, 2005
34 박선영, "듀이 이론을 통해 파악한 립맨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특징" 한독교육학회 14 (14): 25-48, 2009
35 조성민, "도덕판단의 준거와 정당화 과정" 8 : 2-28, 2007
36 추병완, "도덕교육의 이해" 형성출판사 2004
37 Gilligan, C., "다른 목소리로" 동녘 1997
38 추병완, "나딩스의 도덕교육론" 21 : 99-124, 2003
39 Lipman, M., "고차적 사고력교육" 인간사랑 2005
40 Palmer, P.,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한국기독학생회 출판부 2006
41 강문석, "‘합리성’과 ‘진정성’의 윤리학적 긴장 - 나딩스의 배려윤리와 헤어의 대응논리를 중심으로 -" 한국윤리교육학회 16 (16): 167-190, 2008
42 Vaughan, F., "Transpersonal psychotherapy: Context, content and process, In Beyond ego" Tarcher, Inc 182-189, 1980
43 Phenix, P., "Transcendence and curriculum, In Curriculum theorizing: The reconceptualists" McCutchan Publishing Co 1971
44 Welwood, J., "Toward a psychology of awakening" Shambhala Publications 1982
45 Cam, P., "Thinking together: Philosophical inquiry for the classroom" Hale & Iremonger 1995
46 Lipman, M., "Thinking in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47 Conti, S. P., "The spiritual teachers: A study of holistic education & holistic perspective"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002
48 Sharp, A. M., "The other dimension of caring thinking" 12 (12): 9-15, 2004
49 Schleifer, M., "The impact of philosophical discussions on moral autonomy, judgment, empathy and the recognition of emotion in five year olds" 16 (16): 4-12, 2003
50 Jo, S., "The effect of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on korean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1999
51 Noddings, M., "The challenge to care in schools: An alternative approach to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92
52 Wilber, K., "The Atman project" the Theosophical Publication House 1980
53 Goldstein, L. S., "Teaching with love: A femin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eter Lang 1997
54 Splitter, L. J., "Teaching for better thinking: The classroom community of inquiry"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1995
55 Reimer, J., "Promoting moral growth" Waveland Pr. Inc 1979
56 Lipman, M., "Philosophy in the classroom" Temple University Press 1980
57 Hare, R. M., "Objectives prescriptions" Clarendon Press 1999
58 문정애, "Noddings의 배려윤리와 그 교육적 의의" 경북대학교 2009
59 김수동, "Noddings의 도덕교육론에 나타난 배려의 요소와 그 실천양식" 한국교육철학회 (21) : 2002
60 이명신, "Nel Noddings의 배려교육론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61 Pang, V. O., "Multicultural education: A caring-centered, reflective approach" McGraw-Hill 2005
62 Hare, R. M., "Moral thinking" Clarendon Press 1981
63 Kohlberg, L., "Moral stage and moralization: The cognitive developmental approach, In Moral development and behavior: Theory research and social issues" Holt, Rinehart and Winston 31-53, 1976
64 Sichel, B. A., "Moral education: character, community and ideals" Temple University Press 1988
65 Saunders, K. W., "Logical thinking and multiple classification in kindergarten students" 2 (2): 39-45, 1980
66 Dewey, J., "How we think"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10
67 Hare, R. M., "Freedom an reas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3
68 Furrow, D., "Ethics: Key concepts in philosophy" Continuum 2005
69 Arnold, M. B., "Emotion and personal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0
70 Noddings, M., "Educating moral people: A caring alternative to character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2002
71 Bredekamp, 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NAEYC 1997
72 Dewey, J., "Democracy and education" The Free Press 1916
73 Hofstede, G.,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McGraw- Hill 1991
74 Noddings, M., "Conversation as moral education" 23 (23): 118-223, 1994
75 Noddings, M., "Caring: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 moral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76 Lipman, M., "Caring as thinking" 15 (15): 1-13, 1995
77 Wiedemann, F. F., "Between two worlds: The riddle of wholeness" Theosophical Publishing House 1986
78 Boylan, M., "Basic ethics" Prentice Hall 2002
79 법무부, "2013 출입국ㆍ외국인정책통계연보"
생물에 작용하는 비생물 환경을 담은 생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생태소양에 미치는 효과
스포츠스태킹 활동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공격성 및 주의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2-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 ![]() |
2017-02-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홀리스틱교육연구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6-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 |
2007-06-2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 |
2007-06-1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실천학회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Research In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2 | 1.12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6 | 1.21 | 1.342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