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용을 활용한 금연광고의 효과 - 보건복지부 금연공익광고(뇌의 고통, 폐의 고통 편) - = The Effect of Antismoking Advertisement Using Dance - Public Antismoking Advertisement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The Cerebral Pain, The Pulmonary Pai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175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how public antismoking advertisement (The cerebral pain, The pulmonary pain) using dance changes awareness of antismoking is improved and how curiosity about dance, image of dance and nonsmoking in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For the foregoing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May 1 through 27, 2016 targeting 200 general public who did not major dance. Of 200 sheets of questionnaires collected, this study used 158 sheets for actual analysis excluding data lacking in reliability of contents through inspection. For data collected, this study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20.0 statistics program. Study results are First, antismoking advertisement using dance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of antismoking. Second, curiosity about dance was aroused through antismoking advertisement using dance. Third, the image of dance was improved through antismoking advertisement using dance. Fourth, antismoking advertisement using da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nonsmoking intention.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how public antismoking advertisement (The cerebral pain, The pulmonary pain) using dance changes awareness of antismoking is improved and how curiosity about dance, image of dance and nonsmoki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how public antismoking advertisement (The cerebral pain, The pulmonary pain) using dance changes awareness of antismoking is improved and how curiosity about dance, image of dance and nonsmoking in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For the foregoing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May 1 through 27, 2016 targeting 200 general public who did not major dance. Of 200 sheets of questionnaires collected, this study used 158 sheets for actual analysis excluding data lacking in reliability of contents through inspection. For data collected, this study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20.0 statistics program. Study results are First, antismoking advertisement using dance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of antismoking. Second, curiosity about dance was aroused through antismoking advertisement using dance. Third, the image of dance was improved through antismoking advertisement using dance. Fourth, antismoking advertisement using da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nonsmoking inten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미, "한층 세진 금연광고, 흡연율에 영향 미칠까?: 담배를 폐암·후두암으로 표현, 공포감 극대화... 현실감 떨어진다는 지적도"

      2 박현, "보건복지부 금연광고"

      3 조미연, "무용을 매체로 한 TV광고 사례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0

      4 이부영, "무용동작 이미지효과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심리 : TV광고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5 김찬년, "메시지 유형과 수용자 특성에 따른 공익광고의 효과 연구 : 환경주제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6 김동욱, "담배회사의 메시지 유형별 금연광고가 광고효과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7 김정탁, "기호의 광고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8 김시연, "금연광고에서 메시지 프레이밍이 수용자의 광고태도, 금연의도, 금연권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9 조경원, "금연광고가 대학생들의 금연인식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 7 (7): 205-216, 2013

      10 김미강, "금연 단계에 따른 금연공익광고 메시지 효과 : 메시지 유형과 메시지 소구 유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2

      11 이두희, "광고론: 통합적 광고" 박영사 2002

      12 김성훈, "감정적 반응이 공익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6 (16): 163-181, 2005

      13 Warner, K. E., "The effect of the anti-smoking campaign on cigarette consumption" 67 : 645-650, 1977

      14 장연지, "TV광고에서 나타난 무용 활용의 유형과 움직임 이미지의 효과 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5

      15 이수윤, "TV광고에 활용된 무용움직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16 박지영, "TV광고에 사용된 무용이 기업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7 이경민, "TV광고에 사용된 무용이 기업이미지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18 박아영, "TV광고에 나타난 무용 이미지의 기호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19 오주연, "TV 광고 춤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gender image)연구" 무용역사기록학회 19 : 29-45, 2010

      20 Bagozzi, R. P.,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emotions and empathy guide prosocial behavior" 58 (58): 56-70, 1994

      21 보건복지부, "OECE Health Data 2014" 경성문화사 2014

      22 Popham W J, "Effectiveness of the California 1990-1991. tobacco education media campaign" 10 (10): 319-345, 1994

      23 Popham W J, "Do Anti-Smoking Campaign Help Smokers quit?" 108 (108): 510-513, 1993

      24 Schuster, C. P., "Comparison of cigarette and alcohol advertising controversies" 16 (16): 26-33,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4-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 무용과학회지 -> 한국무용과학회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8 1.151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