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어권별 기본어휘 선정의 방법론적 비교 연구 -선정 자료, 기준, 방법을 중심으로- = A Methodological Comparative Study of Basic Word Selection across Languages -Focusing on Selection Materials, Criteria, and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11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develop a Korean word list by compar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n the issues to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word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areas.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issues such as the period of the corpus, the ratio of written and spoken corpus, the amount and representativeness of the word, scope of the word, method of word selection, lexical unit, and its presen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021 Korean Basic Word Selection and Word Grading Study, GSL&NGSL, Français Fondamental, 漢語水平詞彙與漢字等級大綱, and日本語教育のための基本語彙調査. Throughout this analytical study, we revealed the differences in methods and contents of word selection between countries, as well a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at contribute to these differences.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reexamine the use of Korean words, to build a corpus of more than 100 million words, to use both written and spoken corpus, to select words with higher text coverage than the current one in an eclectic way, to select word family as the lexical unit, to provide supplementary explanations for semantic information, and to provide specific selection procedures when developing Korean word list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develop a Korean word list by compar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n the issues to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word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areas.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iss...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develop a Korean word list by compar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n the issues to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word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areas.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issues such as the period of the corpus, the ratio of written and spoken corpus, the amount and representativeness of the word, scope of the word, method of word selection, lexical unit, and its presen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021 Korean Basic Word Selection and Word Grading Study, GSL&NGSL, Français Fondamental, 漢語水平詞彙與漢字等級大綱, and日本語教育のための基本語彙調査. Throughout this analytical study, we revealed the differences in methods and contents of word selection between countries, as well a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at contribute to these differences.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reexamine the use of Korean words, to build a corpus of more than 100 million words, to use both written and spoken corpus, to select words with higher text coverage than the current one in an eclectic way, to select word family as the lexical unit, to provide supplementary explanations for semantic information, and to provide specific selection procedures when developing Korean word lis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의주 ; 강현화, "한국어교육용 어휘 선정 쟁점 연구 -선행 연구 검토 및 전문가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9 (19): 119-155, 2023

      2 강현화, "한국어 어휘 교육론" 한글파크 2021

      3 한영균, "한국어 어휘 교육·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계량적 분석의 한 방향" 한국어문학회 (94) : 119-146, 2006

      4 김한샘, "한국어 어휘 계량 연구의 성과" 한민족문화학회 (41) : 39-74, 2012

      5 한송화,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 4단계" 국립국어원 2015

      6 강현화,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 3단계" 국립국어원 2014

      7 김영민 ; 백이연, "한⋅중⋅일 기본 형용사 대조 분석 -초급 어휘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소 (47) : 47-70, 2015

      8 김선혜 ; 한승규, "학습자 사전에서의 고유명사 표제어 선정의 문제" 한국사전학회 (17) : 43-72, 2011

      9 신명선,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의 내용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37-264, 2006

      10 한문희, "프랑스어에서 구어와 문어의 차이" 상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1 : 1-12, 2008

      1 여의주 ; 강현화, "한국어교육용 어휘 선정 쟁점 연구 -선행 연구 검토 및 전문가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9 (19): 119-155, 2023

      2 강현화, "한국어 어휘 교육론" 한글파크 2021

      3 한영균, "한국어 어휘 교육·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계량적 분석의 한 방향" 한국어문학회 (94) : 119-146, 2006

      4 김한샘, "한국어 어휘 계량 연구의 성과" 한민족문화학회 (41) : 39-74, 2012

      5 한송화,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 4단계" 국립국어원 2015

      6 강현화,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 3단계" 국립국어원 2014

      7 김영민 ; 백이연, "한⋅중⋅일 기본 형용사 대조 분석 -초급 어휘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소 (47) : 47-70, 2015

      8 김선혜 ; 한승규, "학습자 사전에서의 고유명사 표제어 선정의 문제" 한국사전학회 (17) : 43-72, 2011

      9 신명선,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의 내용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37-264, 2006

      10 한문희, "프랑스어에서 구어와 문어의 차이" 상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1 : 1-12, 2008

      11 김현철 ; 조은경, "중국학계의 중국어 기본어휘 선정 현황과 활용방안 연구" 중국어문학연구회 (60) : 259-280, 2010

      12 조은숙, "중국어 표현어휘 교육을 위한 한․중 어휘대조: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과 ≪漢語水平詞彙與漢字等級大綱≫을 대상으로" 언어정보연구소 40 : 239-267, 2020

      13 정윤철, "중국어 어휘요목의 설계 기준에 관한 고찰" 한국중문학회 (51) : 185-207, 2013

      14 구본관, "어휘 교육론" 사회평론 2017

      15 안경화, "신문 수업용 어휘 목록의 작성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143-161, 2006

      16 Le Francais Fondamental, "기본 프랑스어-초급-" 프랑스어교육공동연구회 2020

      17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2단계)" 국립국어원 2011

      18 한혜진 ; 강승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어휘의 길잡이말 분석- 길잡이말의 어절 단위 구성 분포 및 길잡이말에 사용된 어휘의 등급 비교 -" 언어정보연구원 54 : 65-94, 2021

      19 이삼형, "국어 기초 어휘 선정 및 어휘 등급화를 위한 기초 연구" 국립국어원 2017

      20 이삼형 ; 김시정 ; 김정선, "국어 기본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현황과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56) : 61-91, 2017

      21 김한샘, "교육용 어휘 선정을 위한 단어족 분석 연구" 한말연구학회 (29) : 71-95, 2011

      22 서상규, "교육용 기본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국립국어원 2009

      23 양명희, "고급 한국어 어휘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반교어문학회 (29) : 141-162, 2010

      24 國家對外漢語教學領導小組辦公室, "漢語水平詞彙與漢字等級大綱" 北京語言文化大學出版社 1992

      25 国立国語研究所, "日本語教育のための基本語彙調査" 秀英出版 1984

      26 김양진, "『현대 한국어 단어족 사전』 구축을 위한 시안" 우리어문학회 (69) : 247-282, 2021

      27 김윤주, "『한국어 교육과정』 어휘 목록 분석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54) : 459-490, 2016

      28 곽재용, "‘한국어 교육과정’ 부록에 제시된 어휘 목록 분석" 배달말학회 (51) : 305-328, 2012

      29 Hu, M., "Unknown vocabulary dens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13 (13): 403-430, 2000

      30 Thorndike, "The teacher's word book of 30,000 words" Columbia University 1944

      31 Cobb T., "The Nuclear Word Family List: A List of the Most Frequent Family Members, Including Base and Affixed Words" 71 (71): 834-871, 2021

      32 Webb, "The Lemma Dilemma: How Should Words be Operationalized in Research and Pedagogy?" 43 (43): 941-949, 2021

      33 Kwary, D. A., "Selecting and Creating a Word List for English Language Teaching" 17 (17): 60-72, 2017

      34 Laufer, B., "Lemmas, Flemmas, Word Families, and Common Sense" 43 (43): 965-968, 2021

      35 Nation, P.,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36 Stoeckel T., "Is the Lemma More Appropriate than the Flemma as a Word Counting Unit?" 41 (41): 601-606, 2020

      37 Dang, T. N. Y., "Evaluating lists of high frequency vocabulary" 167 : 132-158, 2016

      38 West M., "A General Service List of English Words" Longman, Green & Co 19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