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교육에서의 후회 표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5857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 국어국문학과 , 2008. 2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495.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Expressions of Regret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형태사항

        iv, 10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재욱.
        참고문헌: p. 96-101

      • 소장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and let the foreign language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to use suitable expressions of regret in each situations, by classifying the expressions of regret in Korean, and considering the features of indicating. For this reason, the expressions and concepts of regret will be arranged, and will also see features in morphologyㆍsyntactics and semanticsㆍpragmatics. Furthermore, the study will investigate when those expressions are used and search them in discoursing situations for effective learning for the learners.
      Generally regret is 'Negative feelings of sorriness or frustrating when people think the present life could be much better, if the past was different from now'. This study begins a discussion by regarding a compound formation, which has meaning function expressing 'regret', as 'expressions of regret'. If a formation of a subordinate clause and the main clause, auxiliary verb, etc. have meaning functions, they are also seen as 'expressions of regret'.
      The expressions of regret can be divided into three kinds of types.
      First, by using an assumed expression like '-eossdeoramyeon' '-eossderado' on a subordinate clause and using supposed expression like '-eosseultende', '-eosseulgul' on the main clause, the whole sentence can have a meaning of 'regret'. Second, the expression of '-(eu)lgul', which means that if the choice made in the past was known that it was not better than another choice, it would not be chosen, is another expression of 'regret'. In front of '-(eu)lgul', an assumed subordinate clause can be existed. Finally, '-eosseya hada', which means that it regrets not having kept essential conditions in the past, is the other expression of 'regret'.
      On the first chapter, it has examined a goal and scope of the research. It has examined how much the those expressions are used in the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by making the 'expression' of 'regret' as 'expressions of regret'.
      The second chapter has defined the concept of those expressions and has examined their kinds. Also, it has examined how the regretting expressions are describ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 books. Every textbook presents different degrees of difficult and orders. Some text books don't instruct the differences of the meanings and some don't deal with a few expressions of 'regret'. To arrange orders of presenting grammar by degrees of difficult way and approaching spirally including introduction way, practiceㆍapplication, etc are needed to be presented.
      In the third chapter has examined formalㆍsyntactic characters of regretting expressions. The expressions of regret are characterized that they unite with '-eoss-' at the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 words of a main clause, this shows the opposition against the past truth and past conditions. On the subordinate clause, '-eoss-' can be united or not, in case of expressing the past suppositions, it unites with '-eoss-' and in case of expressing possibility of those days, it doesn't unite with it. As formalㆍsyntactic characters, a combining relation with auxiliary words, a combining relation with subjects, a combining relation with the mood and the tense and a combining relation with negative expressions have been examined.
      The fourth chapter has examined meaning characters of expressions of regret. When an assumption is expressed, the expression of '-(eu)myun' and '-eodo' are often used, the expression of '-eodo' has shown more inconvenience than the expression of '-(eu)myun'. The expression '-eossdeondeul' has not been used much by speakers, so if it wants to be instructed, it may be better to be presented on the latter of high grade. On the contrary that '-eosseoya hassda' can be used to express 'regret' about the thing that can be done or cannot be done, '-(eu)lgul' can only be used to regret the thing that can be done with self intention. By which is regretted, a subordinate clause and the main clause can be omitted, and a premise of the reason why it is regretted can be omitted in the situation of conversation.
      The fifth chapter has analyzed that which meanings the regretting expressions have in the discourseㆍpractical situation. The regretting expressions have been shown by conversation, they are mainly shown in the close relationships and they have functioned a lot including expressing the feeling of sorriness and regret. For example, '-eosseodo', '-eosseultende' used to express 'criticism' and '-eosseuya hada' used to express 'excuse'.
      This study has dealt with characters between each regretting expression in detail, however, it couldn't accomplish the study by quantitative analysis, so it is hard to know which expression is used the most. Also, it has limits that it couldn't discuss an educational method about instruction of regretting expressions.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it has arranged the use of regretting expressions by studying meaning functions in terms of conversationㆍpractice with formalㆍsyntactic characters of regretting express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and let the foreign language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to use suitable expressions of regret in each situations, by classifying the expressions of regret in Korean, and considering the features of indicat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and let the foreign language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to use suitable expressions of regret in each situations, by classifying the expressions of regret in Korean, and considering the features of indicating. For this reason, the expressions and concepts of regret will be arranged, and will also see features in morphologyㆍsyntactics and semanticsㆍpragmatics. Furthermore, the study will investigate when those expressions are used and search them in discoursing situations for effective learning for the learners.
      Generally regret is 'Negative feelings of sorriness or frustrating when people think the present life could be much better, if the past was different from now'. This study begins a discussion by regarding a compound formation, which has meaning function expressing 'regret', as 'expressions of regret'. If a formation of a subordinate clause and the main clause, auxiliary verb, etc. have meaning functions, they are also seen as 'expressions of regret'.
      The expressions of regret can be divided into three kinds of types.
      First, by using an assumed expression like '-eossdeoramyeon' '-eossderado' on a subordinate clause and using supposed expression like '-eosseultende', '-eosseulgul' on the main clause, the whole sentence can have a meaning of 'regret'. Second, the expression of '-(eu)lgul', which means that if the choice made in the past was known that it was not better than another choice, it would not be chosen, is another expression of 'regret'. In front of '-(eu)lgul', an assumed subordinate clause can be existed. Finally, '-eosseya hada', which means that it regrets not having kept essential conditions in the past, is the other expression of 'regret'.
      On the first chapter, it has examined a goal and scope of the research. It has examined how much the those expressions are used in the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by making the 'expression' of 'regret' as 'expressions of regret'.
      The second chapter has defined the concept of those expressions and has examined their kinds. Also, it has examined how the regretting expressions are describ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 books. Every textbook presents different degrees of difficult and orders. Some text books don't instruct the differences of the meanings and some don't deal with a few expressions of 'regret'. To arrange orders of presenting grammar by degrees of difficult way and approaching spirally including introduction way, practiceㆍapplication, etc are needed to be presented.
      In the third chapter has examined formalㆍsyntactic characters of regretting expressions. The expressions of regret are characterized that they unite with '-eoss-' at the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 words of a main clause, this shows the opposition against the past truth and past conditions. On the subordinate clause, '-eoss-' can be united or not, in case of expressing the past suppositions, it unites with '-eoss-' and in case of expressing possibility of those days, it doesn't unite with it. As formalㆍsyntactic characters, a combining relation with auxiliary words, a combining relation with subjects, a combining relation with the mood and the tense and a combining relation with negative expressions have been examined.
      The fourth chapter has examined meaning characters of expressions of regret. When an assumption is expressed, the expression of '-(eu)myun' and '-eodo' are often used, the expression of '-eodo' has shown more inconvenience than the expression of '-(eu)myun'. The expression '-eossdeondeul' has not been used much by speakers, so if it wants to be instructed, it may be better to be presented on the latter of high grade. On the contrary that '-eosseoya hassda' can be used to express 'regret' about the thing that can be done or cannot be done, '-(eu)lgul' can only be used to regret the thing that can be done with self intention. By which is regretted, a subordinate clause and the main clause can be omitted, and a premise of the reason why it is regretted can be omitted in the situation of conversation.
      The fifth chapter has analyzed that which meanings the regretting expressions have in the discourseㆍpractical situation. The regretting expressions have been shown by conversation, they are mainly shown in the close relationships and they have functioned a lot including expressing the feeling of sorriness and regret. For example, '-eosseodo', '-eosseultende' used to express 'criticism' and '-eosseuya hada' used to express 'excuse'.
      This study has dealt with characters between each regretting expression in detail, however, it couldn't accomplish the study by quantitative analysis, so it is hard to know which expression is used the most. Also, it has limits that it couldn't discuss an educational method about instruction of regretting expressions.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it has arranged the use of regretting expressions by studying meaning functions in terms of conversationㆍpractice with formalㆍsyntactic characters of regretting express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어에서 후회를 나타내는 표현을 유형화하고, 각 표현의 특징을 고찰하여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어 학습자들이 상황에 맞는 후회 표현을 사용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후회 표현의 개념과 종류를 정리하고 형태ㆍ통사적인 특성과 의미ㆍ화용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 후회 표현들이 언제 쓰이는지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끔 실제 담화 상황에서 나타난 표현들을 살펴 보았다.
      후회는 ‘과거가 다르게 바뀌었다면 현재 더 나은 상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할 때 겪는 아쉬움이나 안타까움 등의 부정적인 감정’이다. 본고에서는 후회를 나타내는 의미 기능을 갖는 복합 구성을 ‘후회 표현’으로 보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선ㆍ후행절 구성, 복합종결어미, 보조 용언 구성 등도 ‘후회’의 의미기능을 갖는다면 ‘후회 표현’으로 보았다.
      후회 표현은 그 유형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선행절과 후행절을 이용하여 선행절에는 ‘-었더라면’, ‘-었더라도’와 같은 가정의 표현을, 후행절에는 ‘-었을텐데’나 ‘-었을걸’과 같은 추측 표현을 이용하여 전체 문장의 의미가 후회의 의미를 나타내는 유형이 있다. 둘째, 과거에 했던 선택보다 하지 않았던 다른 선택이 나은 줄 알았더라면 그 당시에 다른 선택을 할 것이라며 후회를 나타내는 ‘-(으)ㄹ걸’이 있다. ‘-(으)ㄹ걸’ 앞에는 가정을 나타내는 선행절이 올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과거에 필수적으로 했어야만 하는 조건을 지키지 못한 데에 대한 후회를 ‘-었어야 하다’로 나타내는 유형이 있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함께 연구 범위를 살펴보았다. ‘후회’를 나타내는 ‘표현’만을 ‘후회 표현’으로 삼아, 한국어교육에서 후회 표현이 얼마나 연구되었는지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후회 표현의 개념을 정립하고 종류를 살펴보았다. 또한 후회 표현이 한국어교재에서 어떻게 기술되고 있는지 보았다. 한국어 교재마다 제시하는 문법의 난이도와 순서가 달랐는데 의미 차이에 대한 교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교재도 있었고 몇몇의 후회 표현을 다루지 않기도 했다. 난이도에 따른 문법 제시 순서를 정하는 것과 도입방법, 연습ㆍ활용 등의 나선형적인 방법의 제시가 요구된다.
      제3장에서는 후회 표현들의 형태ㆍ통사론적인 특성을 살핀다. 후회 표현은 선행절의 조건 연결어미에 ‘-었-’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 있었는데 이는 과거의 사실의 반대와 과거의 조건을 나타낸 것이었다. 후행절에는 ‘-었-’이 결합할 수도 있고 결합하지 않을 수도 있었는데 과거의 추측을 나타낼 때에는 ‘-었-’과 결합하였고 당시의 가능성을 나타낼 때에는 사용하지 않았다. 형태ㆍ통사적 특성으로 선행용언과의 결합과 주어와의 결합, 서법 및 시제와의 결합, 부정표현과의 결합을 보았다.
      4장에서는 후회 표현의 의미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가정을 나타낼 때는 ‘-(으)면’ 계열과 ‘-어도’ 계열이 자주 사용되는데 ‘-(으)면’ 계열보다 ‘-어도’ 계열이 더 아쉬움을 나타내었다. ‘-었던들’은 요즘 화자들이 많이 사용하지 않으므로 교수한다면 고급단계 후반에 제시하면 좋을 것이라 했다. ‘-었어야 했다’가 할 수 있었던 일과 할 수 없었던 일의 후회에 모두 쓰이는 반면, ‘-(으)ㄹ걸’은 자신의 의지로 할 수 있었던 일만을 후회할 때 쓰였다. 선ㆍ후행절은 어떤 것을 후회하느냐에 따라 생략이 가능했는데 후회를 하는 이유의 전제는 담화 상황에서 생략이 가능하였다.
      5장에서는 후회 표현들이 담화ㆍ화용적 상황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후회 표현은 대화를 통해 나타났는데, 주로 친밀한 관계에서 나타났고 아쉬움과 후회의 감정을 표출하는 동시에 많은 기능을 하였다. 일례로 ‘-었어도 -었을텐데’는 ‘비난’ 등을 나타내기도 했으며 ‘-었어야 하다’는 ‘변명’을 나타내기도 했다.
      본고에서는 후회 표현들 간의 특징을 세밀하게 다루었으나 양적 분석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해 어떠한 표현이 가장 많이 쓰이는지 알 수 없었고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후회 표현을 어떻게 교수하면 좋을지에 대한 교육 방안에 대하여서는 논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후회 표현의 형태ㆍ통사적인 특징과 함께 담화ㆍ화용상에서의 의미 기능을 고찰하여 후회 표현들 간의 쓰임을 정리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한국어에서 후회를 나타내는 표현을 유형화하고, 각 표현의 특징을 고찰하여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어 학습자들이 상황에 맞는 후회 표현을 사용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은 한국어에서 후회를 나타내는 표현을 유형화하고, 각 표현의 특징을 고찰하여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어 학습자들이 상황에 맞는 후회 표현을 사용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후회 표현의 개념과 종류를 정리하고 형태ㆍ통사적인 특성과 의미ㆍ화용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 후회 표현들이 언제 쓰이는지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끔 실제 담화 상황에서 나타난 표현들을 살펴 보았다.
      후회는 ‘과거가 다르게 바뀌었다면 현재 더 나은 상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할 때 겪는 아쉬움이나 안타까움 등의 부정적인 감정’이다. 본고에서는 후회를 나타내는 의미 기능을 갖는 복합 구성을 ‘후회 표현’으로 보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선ㆍ후행절 구성, 복합종결어미, 보조 용언 구성 등도 ‘후회’의 의미기능을 갖는다면 ‘후회 표현’으로 보았다.
      후회 표현은 그 유형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선행절과 후행절을 이용하여 선행절에는 ‘-었더라면’, ‘-었더라도’와 같은 가정의 표현을, 후행절에는 ‘-었을텐데’나 ‘-었을걸’과 같은 추측 표현을 이용하여 전체 문장의 의미가 후회의 의미를 나타내는 유형이 있다. 둘째, 과거에 했던 선택보다 하지 않았던 다른 선택이 나은 줄 알았더라면 그 당시에 다른 선택을 할 것이라며 후회를 나타내는 ‘-(으)ㄹ걸’이 있다. ‘-(으)ㄹ걸’ 앞에는 가정을 나타내는 선행절이 올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과거에 필수적으로 했어야만 하는 조건을 지키지 못한 데에 대한 후회를 ‘-었어야 하다’로 나타내는 유형이 있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함께 연구 범위를 살펴보았다. ‘후회’를 나타내는 ‘표현’만을 ‘후회 표현’으로 삼아, 한국어교육에서 후회 표현이 얼마나 연구되었는지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후회 표현의 개념을 정립하고 종류를 살펴보았다. 또한 후회 표현이 한국어교재에서 어떻게 기술되고 있는지 보았다. 한국어 교재마다 제시하는 문법의 난이도와 순서가 달랐는데 의미 차이에 대한 교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교재도 있었고 몇몇의 후회 표현을 다루지 않기도 했다. 난이도에 따른 문법 제시 순서를 정하는 것과 도입방법, 연습ㆍ활용 등의 나선형적인 방법의 제시가 요구된다.
      제3장에서는 후회 표현들의 형태ㆍ통사론적인 특성을 살핀다. 후회 표현은 선행절의 조건 연결어미에 ‘-었-’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 있었는데 이는 과거의 사실의 반대와 과거의 조건을 나타낸 것이었다. 후행절에는 ‘-었-’이 결합할 수도 있고 결합하지 않을 수도 있었는데 과거의 추측을 나타낼 때에는 ‘-었-’과 결합하였고 당시의 가능성을 나타낼 때에는 사용하지 않았다. 형태ㆍ통사적 특성으로 선행용언과의 결합과 주어와의 결합, 서법 및 시제와의 결합, 부정표현과의 결합을 보았다.
      4장에서는 후회 표현의 의미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가정을 나타낼 때는 ‘-(으)면’ 계열과 ‘-어도’ 계열이 자주 사용되는데 ‘-(으)면’ 계열보다 ‘-어도’ 계열이 더 아쉬움을 나타내었다. ‘-었던들’은 요즘 화자들이 많이 사용하지 않으므로 교수한다면 고급단계 후반에 제시하면 좋을 것이라 했다. ‘-었어야 했다’가 할 수 있었던 일과 할 수 없었던 일의 후회에 모두 쓰이는 반면, ‘-(으)ㄹ걸’은 자신의 의지로 할 수 있었던 일만을 후회할 때 쓰였다. 선ㆍ후행절은 어떤 것을 후회하느냐에 따라 생략이 가능했는데 후회를 하는 이유의 전제는 담화 상황에서 생략이 가능하였다.
      5장에서는 후회 표현들이 담화ㆍ화용적 상황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후회 표현은 대화를 통해 나타났는데, 주로 친밀한 관계에서 나타났고 아쉬움과 후회의 감정을 표출하는 동시에 많은 기능을 하였다. 일례로 ‘-었어도 -었을텐데’는 ‘비난’ 등을 나타내기도 했으며 ‘-었어야 하다’는 ‘변명’을 나타내기도 했다.
      본고에서는 후회 표현들 간의 특징을 세밀하게 다루었으나 양적 분석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해 어떠한 표현이 가장 많이 쓰이는지 알 수 없었고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후회 표현을 어떻게 교수하면 좋을지에 대한 교육 방안에 대하여서는 논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후회 표현의 형태ㆍ통사적인 특징과 함께 담화ㆍ화용상에서의 의미 기능을 고찰하여 후회 표현들 간의 쓰임을 정리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 1.1. 연구 목적 = 1
      • 1.2. 연구의 범위와 연구 문제 = 3
      • 1.3. 선행연구 검토 = 7
      • 1.3.1. ‘-었더라면 -었을텐데’류의 선행연구 검토 = 7
      • 1. 서론 = 1
      • 1.1. 연구 목적 = 1
      • 1.2. 연구의 범위와 연구 문제 = 3
      • 1.3. 선행연구 검토 = 7
      • 1.3.1. ‘-었더라면 -었을텐데’류의 선행연구 검토 = 7
      • 1.3.2. ‘-(으)ㄹ걸’의 선행연구 검토 = 11
      • 1.3.3. ‘-었어야 하다’의 선행연구 검토 = 14
      • 2. 후회 표현 기술을 위한 기본 논의 = 17
      • 2.1. 후회 표현의 개념 = 17
      • 2.2. 후회 표현의 종류 = 19
      • 2.3. 한국어교재에 나타난 후회 표현 분석 = 23
      • 3. 후회 표현의 형태ㆍ통사적 특성 = 34
      • 3.1. 조건문 선행절에서의 제약 = 34
      • 3.1.1. 선행절에 올 수 있는 조건 표현 연결 어미 = 36
      • 3.1.2. 선행절에 올 수 없는 조건 표현 연결 어미 = 37
      • 3.2. 후행절의 문장 형태 = 38
      • 3.2.1. ‘-었-’과의 결합 유무 = 39
      • 3.2.2. 복합종결어미의 사용 = 40
      • 3.3. 선ㆍ후행절의 문장 형태 제약 = 43
      • 3.3.1. 선행용언과의 결합 관계 = 44
      • 3.3.2. 주어와의 관계 = 47
      • 3.3.3. 서법과의 관계 = 51
      • 3.3.4. 시제와의 관계 = 54
      • 3.3.5. 부정표현과의 관계 = 56
      • 4. 한국어 후회 표현의 의미적 특성 = 61
      • 4.1. 선행절의 의미적 특성 = 61
      • 4.1.1. 과거 사실의 가정 = 62
      • 4.1.2. 과거의 조건 = 66
      • 4.2. 후행절의 양태적 의미 = 67
      • 4.2.1. 과거 사실의 추측 = 67
      • 4.2.2. 과거의 가능성 = 69
      • 4.3. 선ㆍ후행절의 의미 영향 관계 = 72
      • 4.3.1. 선행절의 생략 = 72
      • 4.3.2. 후행절의 생략 = 73
      • 5. 후회 표현의 담화ㆍ화용적 특성 = 76
      • 5.1. ‘-었더라면 -었을텐데’류의 담화ㆍ화용적 특성 = 77
      • 5.2. ‘-(으)ㄹ걸’의 담화ㆍ화용적 특성 = 83
      • 5.3. ‘-었어야 하다’의 담화ㆍ화용적 특성 = 87
      • 6. 결론 = 93
      • 참고문헌 = 96
      • ABSTRACT = 1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