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속 군자의 유형과 경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00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속 군자형 인물에 대한 유형성 연구는 실제의 유형성과 함께 작품들 간의 상호 영향관계, 시대적 동질성 등을 포괄하여 유형성의 경계를 확장하고 있다. 이는 군자형...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속 군자형 인물에 대한 유형성 연구는 실제의 유형성과 함께 작품들 간의 상호 영향관계, 시대적 동질성 등을 포괄하여 유형성의 경계를 확장하고 있다. 이는 군자형 인물의 유형성이 상호텍트스성을 바탕으로 형성됨을 의미한다. 군자 담론이라는 문화적 기억이 텍스트에 수용되고, 이러한 문화적 기억이 상호텍스트들 사이에서 변형되고 재생산되면서 실제의 유형성과 함께 그 경계들을 형성하는 것이며, 연구사적 유형성은 이러한 실제 유형성과 경계를 포괄하여 파악하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 유형성으로 파악할 수 있는 군자형 인물의 성격은 또다시 권위적인 서술자의 발화와 사건과 행위를 통한 실제 형상화에 따른 차이를 보여준다. 즉 실제 유형성으로 파악되는 성격은 오히려 권위적인 서술자의 발화에 따른 것이고, 실제 형상화는 상이한 양상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는 군자 담론 자체가 상대적인 성향이 강하여 개념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고, 군자라는 인물 유형 자체가 이상과 현실, 유교적 이념과 소설적 흥미의 경계 속에서 형상화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군자의 유형은 상호텍스트적 관계에 따라 더욱 모호해지고 흐릿해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웅의 유형과 함께 상대적인 관계의 한 축을 담당하였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of the gunja in the three-generation stories of Korean full-length novels expands the gunja typology by including the actual typology, the of the works, and the of the times. Thus, the gunja type is formed based on intertextuality: is accep...

      This study of the gunja in the three-generation stories of Korean full-length novels expands the gunja typology by including the actual typology, the of the works, and the of the times. Thus, the gunja type is formed based on intertextuality: is accepted in texts and forms its boundaries along with actual tangibility in intertextual relations. In addition, “type study” aims to grasp the type of gunja by encompassing actual tangibility and boundary.
      However, the personality of the gunja type shows another difference reflecting the speech of an authoritative speaker and characterization through events and actions. In other words, the personality of the gunja type is conveyed by the speech of an authoritative speaker and is different from the real personality of the character, because gunja discourse is strongly relative and the concept is not clear. In other words, the type of gunja is embodied in the boundary between the ideal and reality, between Confucian ideology and interest. The concept of the gunja type is ambiguous depending on the intertextual relationship, but nevertheless, along with the type of hero, an axis of the relative relationshi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군자형 인물의 연구사적 유형성과 실제 유형성
      • Ⅲ. 군자 유형의 상대성과 경계성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군자형 인물의 연구사적 유형성과 실제 유형성
      • Ⅲ. 군자 유형의 상대성과 경계성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석, "현씨양웅쌍린기" 경인문화사 2006

      2 "현씨양웅쌍린기"

      3 이상택, "한국고전소설의 이론 Ⅱ" 새문사 2003

      4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5 임치균, "조선조 대장편소설 연구" 태학사 1996

      6 송성욱, "조선시대 대하소설의 서사문법과 창작의식" 태학사 2003

      7 강우규, "인공지능을 활용한 <소현성록> 연작의 감정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149-174, 2018

      8 박영욱,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 데리다&들뢰즈" 김영사 2009

      9 박영욱, "유효공선행록 의 형상화 방식과 작가의식 재론" 서울대국어국문학과 20 : 1995

      10 금장태, "유교의 실천론적 체계- “중용, 성, 균평”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대 종교학연구회 22 : 2003

      1 이윤석, "현씨양웅쌍린기" 경인문화사 2006

      2 "현씨양웅쌍린기"

      3 이상택, "한국고전소설의 이론 Ⅱ" 새문사 2003

      4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5 임치균, "조선조 대장편소설 연구" 태학사 1996

      6 송성욱, "조선시대 대하소설의 서사문법과 창작의식" 태학사 2003

      7 강우규, "인공지능을 활용한 <소현성록> 연작의 감정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149-174, 2018

      8 박영욱,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 데리다&들뢰즈" 김영사 2009

      9 박영욱, "유효공선행록 의 형상화 방식과 작가의식 재론" 서울대국어국문학과 20 : 1995

      10 금장태, "유교의 실천론적 체계- “중용, 성, 균평”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대 종교학연구회 22 : 2003

      11 최길용, "연작형 고소설 연구" 전북대 1989

      12 김문희, "송대(宋代) 곽황후 폐위 사건과 국문장편소설의 소설화 방향 -<소현성록>, <현몽쌍룡기>, <조씨삼대록>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84) : 241-273, 2020

      13 정선희, "소현성록 연작의 남성인물 고찰" 한국고전연구학회 12 : 2005

      14 조혜란, "소현성과 유교적 삶의 진정성" 한국고소설학회 (36) : 167-200, 2013

      15 김기동, "성현공숙열기와 임씨삼대록- 이조연작소설연구(2)" 민족어문학회 20 : 1977

      16 강우규,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연구 : 남주인공 인물유형에 따른 작품 구성방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17 정선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속 제문(祭文)을 통해 본 바람직한 남성상" 이화어문학회 (49) : 85-107, 2019

      18 金泓均, "복수주인공 고전장편소설의 창작방법 연구"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1

      19 이광복, "문화적 기억과 상호텍스트성, 그리고 문학교육"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39 (39): 29-51, 2007

      20 M.H.Abrams, "문학용어사전" 예림기획 1997

      21 송성욱, "대하소설의 미학" 도서출판 월인 2002

      22 "논어"

      23 김문희, "국문장편소설의 중층적 서술의식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8) : 97-129, 2009

      24 강우규,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반란의 공간과 경계의 환상성 - <소현성록> 연작과 <현몽쌍룡기> 연작을 중심으로 -" 우리문학회 (52) : 191-212, 2016

      25 조혜란, "고전소설에 나타난 군자형(君子型) 인물에 대한 고찰" 한국고전연구학회 (33) : 147-178, 2016

      26 文湧植, "가문소설의 인물 연구 : 세대별 기능과 갈등양상을 중심으로"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5

      27 송성욱, "朝鮮朝 大河小說의 類型性과 그 裏面" 개신어문학회 14 : 1997

      28 조용호, "三代錄小說 硏究" 계명문화사 1996

      29 이경무, "‘군자(君子)’와 공자의 이상적 인간상" 한국동서철학회 (54) : 103-124, 2009

      30 허순우, "<현몽쌍룡기> 연작의 <소현성록> 연작 수용 양상과 서술시각"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319-354, 2008

      31 최윤희, "<유효공선행록>이 보이는 유연 형상화의 두 양상" 한국문학회 (41) : 189-209, 2005

      32 임치균, "<유효공선행록> 연구"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4 (14): 1989

      33 강우규, "<유효공선행록> 계후갈등의 서술전략과 의미" 중앙어문학회 57 : 35-53, 2014

      34 정선희, "<소현성록>에서 드러나는 남편들의 폭력성과 서술 시각" 한국고전여성문학회 0 (0): 452-487, 2007

      35 강우규, "<소현성록>에 나타난 여성 가장의 리더십과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35) : 39-65, 2016

      36 홍정원, "<소현성록>과 <현몽쌍룡기>에 나타난 여성 인물 형상화의 계승과 변이 양상" 한국문학교육학회 (46) : 283-310, 2015

      37 문용식, "<성현공숙렬기>의 인물 형상과 작품 구조" 국제어문학회 18 : 1997

      38 이영택, "<玄氏兩雄雙麟記> 連作 硏究"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39 최기숙, "17세기 장편소설 연구" 월인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1 1.3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