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 30대 여성의 직종별 우울경험의 차이: 코로나19 전후 비교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Experience b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A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COVID-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66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with depression among you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in the context of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 and depressive mood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Utiliz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th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effects of economic activity status on depressive mood were analyzed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2018, N=916; 2020, N=835). The results show that the unemployed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became more severe when comparing the data of 2018 and 2020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after the pandemic, women in the service and sales work experienced more severe depressive moods than in other occupations, while the unemployment status was significant with the 2018 data before the pandemic.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policy and intervention implications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after the COVID-19 crisi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with depression among you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in the context of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with depression among you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in the context of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 and depressive mood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Utiliz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th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effects of economic activity status on depressive mood were analyzed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2018, N=916; 2020, N=835). The results show that the unemployed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became more severe when comparing the data of 2018 and 2020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after the pandemic, women in the service and sales work experienced more severe depressive moods than in other occupations, while the unemployment status was significant with the 2018 data before the pandemic.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policy and intervention implications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after the COVID-19 cris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영 ; 이숙정 ; 박소연, "한국여성의 삶의 만족, 우울, 희망의 관계에서 결혼의 의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903-911, 2019

      2 김종서, "한국에서의 평생교육체제 정립에 관한 연구" 82 : 173-193, 1982

      3 안제용 ; 서은란 ; 임경희 ; 신재현 ; 김정범,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표준화 연구"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 (19): 47-56, 2013

      4 함선유, "코로나19의 확산과 청년노동시장 변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5 유니온센터, "코로나19와 청년노동 실태"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청년위원회 2020

      6 김태완,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및 사회정책 대응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5) : 2020

      7 정성미, "코로나19 경제위기에 따른 여성노동시장 영향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1

      8 이선민, "청년여성의 경제활동 실태 및지원 정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9) : 2016

      9 보건복지부, "청년·여성, 대응인력, 확진자 등 코로나 우울 고위험군에 대한 심리지원 강화"

      10 질병관리청, "제8기 2차년도(2020)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발표회 결과발표집"

      1 김혜영 ; 이숙정 ; 박소연, "한국여성의 삶의 만족, 우울, 희망의 관계에서 결혼의 의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903-911, 2019

      2 김종서, "한국에서의 평생교육체제 정립에 관한 연구" 82 : 173-193, 1982

      3 안제용 ; 서은란 ; 임경희 ; 신재현 ; 김정범,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표준화 연구"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 (19): 47-56, 2013

      4 함선유, "코로나19의 확산과 청년노동시장 변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5 유니온센터, "코로나19와 청년노동 실태"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청년위원회 2020

      6 김태완,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및 사회정책 대응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5) : 2020

      7 정성미, "코로나19 경제위기에 따른 여성노동시장 영향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1

      8 이선민, "청년여성의 경제활동 실태 및지원 정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9) : 2016

      9 보건복지부, "청년·여성, 대응인력, 확진자 등 코로나 우울 고위험군에 대한 심리지원 강화"

      10 질병관리청, "제8기 2차년도(2020)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발표회 결과발표집"

      11 보건복지부,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받을수록 자살위험 낮아져"

      12 성준모, "소득수준별 가구 경제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09-132, 2010

      13 장휘숙,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행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2 (22): 19-36, 2009

      14 장휘숙,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시작시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1 (21): 109-126, 2008

      15 박현용, "성별에 따른 우울 증상의 하위유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인문사회 21 12 (12): 2017-2030, 2021

      16 정준수 ; 이혜경, "생애주기별 우울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성년, 중년, 노년층의 3세대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9 (69): 117-141, 2017

      17 김주희 ; 유정원 ; 송인한,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42-70, 2015

      18 엄태완, "빈곤층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우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8) : 36-66, 2008

      19 김태완 ; 윤상용, "빈곤과 우울감간의 관계: 도농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8 (38): 147-171, 2015

      20 김태완 ; 이주미 ; 정진욱, "노인의 빈곤과 우울에 관한 연구: 다차원적 빈곤개념을 적용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71-102, 2015

      21 김현수, "급증하는 청년의 자살, 원인과대책" 서울시복지재단 92 (92): 2020

      22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1-2차년도(2019-2020) 원시자료 이용지침서" 2022

      23 이순영,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2차년도(2020) 결과발표집" 2021

      24 박세홍, "고용상태 변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27 : 79-120, 2009

      25 전경숙 ; 이효영, "결혼상태가 우울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연령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보건의료산업학회 5 (5): 179-190, 2011

      26 ILO, "World Employment and Social Outlook 2021" 2021

      27 Han, C,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PHQ-9)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 the Ansan Geriatric study" 49 (49): 218-223, 2008

      28 Levinson, D. J, "The seasons of a man's life" Ballantine 1978

      29 Lim, H,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self-rated health among wage workers in South Korea : the moderating role of household income" 40 (40): 26-33, 2015

      30 Mossakowski, K. N, "The influence of past unemployment duration on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young women and men in the United States" 99 (99): 1826-, 2009

      31 Lee Jumi, "The effect of deprivation on depression across different age groups in Korea" 한국사회복지학회 15 (15): 173-183, 2021

      32 Kroenke, K, "The PHQ-9 :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16 (16): 606-613, 2001

      33 Link, B. G, "Socioeconomic status and depression : The role of occupations involving direction, control, and planning" 98 (98): 1351-1387, 1993

      34 Hudson, C. G, "Socioeconomic Status and Mental Illness : Tests of the Social Causation and Selection Hypotheses" 75 (75): 3-18, 2005

      35 Kuruvilla, A, "Poverty, Social stress and mental health" 126 (126): 273-278, 2007

      36 Belle, Deborah, "Poverty and women’s mental health" 45 (45): 385-389, 1990

      37 Ettner, S. L, "New ev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health" 15 (15): 67-85, 1996

      38 Zimmerman, F. J, "Income inequality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 testing associations consistent with proposed causal pathways" 60 (60): 513-521, 2006

      39 OECD, "Employment Outlook"

      40 Hamilton, V. H, "Down and out : estim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unemployment" 6 (6): 397-406, 1997

      41 Havighurst, R,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McKay 1952

      42 Vaillant, G. E, "Adaptation to lif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7

      43 임후남, "20대 청년들의 우울감. 2021년4월 이슈통계"

      44 보건복지부, "2021년 2분기 「코로나19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결과 발표"

      45 통계청, "2020년 4월 고용동향"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