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경제 기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사회적경제 생태계와 사회적기업가의 결합을 중심으로 = How are Social Economy Enterprise Created?: Focusing on the Organic Combination of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Social Entrepreneur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dynamics of the process in which social economy enterprises are created using the case study method, focusing on the organic combination of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social entrepreneurs. The case of analysis is <Korea Housing Welfare Social Cooperative>. To this end, after examining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case, the contents and roles of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the practice of social entrepreneurs that worked in the process were reorganized.
      <Korea Housing Welfare Social Cooperative> is a case in which the self-sufficiency project teams of housing repair sector from all over the country were created as representative social economy enterprise in the field of housing welfare through a long organizational proces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is successful organization was possible because the resource provision of capital infrastructures and the positiv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re two categories constituting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the innovative practices of social entrepreneurs organically combined with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dynamics of the process in which social economy enterprises are created using the case study method, focusing on the organic combination of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social entrepreneurs. The case of analysis is <Kore...

      This study analyzed the dynamics of the process in which social economy enterprises are created using the case study method, focusing on the organic combination of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social entrepreneurs. The case of analysis is <Korea Housing Welfare Social Cooperative>. To this end, after examining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case, the contents and roles of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the practice of social entrepreneurs that worked in the process were reorganized.
      <Korea Housing Welfare Social Cooperative> is a case in which the self-sufficiency project teams of housing repair sector from all over the country were created as representative social economy enterprise in the field of housing welfare through a long organizational proces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is successful organization was possible because the resource provision of capital infrastructures and the positiv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re two categories constituting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the innovative practices of social entrepreneurs organically combined with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을 사례로 선정해서 사회적경제 기업의 조직화 동학을 사회적경제 생태계와 사회적기업가의 유기적 결합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했다. 이를 위해 사례의 역사적 과정을 살펴본 후 그 과정에서 작동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및 사회적기업가의 역할을 재구성해 봤다. 연구 결과는 한국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이 전국 각지에서 빈민들의 자활사업단으로 등장해서 전국적인 사회적경제 기업이 되기까지의 과정은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구성 범주인 자본 인프라의 자원 제공과 환경 요인의 영향이 있었으며, 여기에 사회적기업가군의 혁신적인 실천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었기 때문에 가능했음을 확인해 주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국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을 사례로 선정해서 사회적경제 기업의 조직화 동학을 사회적경제 생태계와 사회적기업가의 유기적 결합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했다. 이를 위해 사...

      이 연구는 한국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을 사례로 선정해서 사회적경제 기업의 조직화 동학을 사회적경제 생태계와 사회적기업가의 유기적 결합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했다. 이를 위해 사례의 역사적 과정을 살펴본 후 그 과정에서 작동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및 사회적기업가의 역할을 재구성해 봤다. 연구 결과는 한국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이 전국 각지에서 빈민들의 자활사업단으로 등장해서 전국적인 사회적경제 기업이 되기까지의 과정은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구성 범주인 자본 인프라의 자원 제공과 환경 요인의 영향이 있었으며, 여기에 사회적기업가군의 혁신적인 실천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었기 때문에 가능했음을 확인해 주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자활정보센터, "희망의 조건을 만드는 자활사업 종합보고서" 2006

      2 김아영 ; 조영정 ; 장승권, "협동조합의 거버넌스 실천:전주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 사례연구" 한국협동조합학회 34 (34): 73-93, 2016

      3 강철희 ; 이종화 ; 편창훈, "협동조합 초기안정화 기여요인에 관한 연구:한국택시협동조합 사례 분석" 한국협동조합학회 34 (34): 27-63, 2016

      4 김활신 ; 장승권, "한국 노동자협동조합의 비즈니스모델과 사례" 한국협동조합학회 36 (36): 67-94, 2018

      5 주거복지센터협의회(준), "집수리자활공동체 2005년 겨울수련회"

      6 한국자활후견기관협회, "주거복지시장 현황과 집수리자활사업 발전방안" 2004

      7 한국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 "주거복지 자활사업: 역사를 통해 길을 찾다!" 한국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 2018

      8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자활운동의 역사와 철학"

      9 문효곤, "자가 가구 수급자 주거현물급여 개편방향" (106) : 21-45, 2014

      10 이경미 ; 정원오, "서울시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유형 및 특성 연구 - 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4 (44): 135-160, 2017

      1 자활정보센터, "희망의 조건을 만드는 자활사업 종합보고서" 2006

      2 김아영 ; 조영정 ; 장승권, "협동조합의 거버넌스 실천:전주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 사례연구" 한국협동조합학회 34 (34): 73-93, 2016

      3 강철희 ; 이종화 ; 편창훈, "협동조합 초기안정화 기여요인에 관한 연구:한국택시협동조합 사례 분석" 한국협동조합학회 34 (34): 27-63, 2016

      4 김활신 ; 장승권, "한국 노동자협동조합의 비즈니스모델과 사례" 한국협동조합학회 36 (36): 67-94, 2018

      5 주거복지센터협의회(준), "집수리자활공동체 2005년 겨울수련회"

      6 한국자활후견기관협회, "주거복지시장 현황과 집수리자활사업 발전방안" 2004

      7 한국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 "주거복지 자활사업: 역사를 통해 길을 찾다!" 한국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 2018

      8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자활운동의 역사와 철학"

      9 문효곤, "자가 가구 수급자 주거현물급여 개편방향" (106) : 21-45, 2014

      10 이경미 ; 정원오, "서울시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유형 및 특성 연구 - 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4 (44): 135-160, 2017

      11 안상훈 ; 김수완 ; 박종연, "사회적기업 중심의 복지기술 생태계 모델에 관한 서설적 연구"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0 (10): 167-196, 2017

      12 홍현민 ; 강철희 ; 이문석, "사회적경제조직의 초기 생존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프랜차이즈 협동조합 사례에 대한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3 (23): 305-339, 2021

      13 이인재, "사회적경제의 이해와 전망" 아르케 143-172, 2014

      14 일자리위원회 관계 부처 합동,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15 김보라, "사회적경제 문재인 정부 2년 평가와 과제: 더불어민주당 활동을 중심으로"

      16 이홍택,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한 지역생태계에 관한 개념 틀: 호혜, 배려와 공공정책" 한국경제지리학회 21 (21): 254-269, 2018

      17 황덕순,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중장기 발전방안" 노동부 2004

      18 전병유, "사회적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9 한상진, "사회적 기업의 복합 이해당사자 구조와 사회적 기업가의 역할 : ‘재활용 대안기업 연합회’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3 (13): 267-297, 2009

      20 라준영, "사회적 기업 생태계와 정책 혁신: 진화론적 관점" 한국협동조합학회 32 (32): 27-57, 2014

      21 이인재, "사회적 기업 '컴윈' 성공요인과 발전과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6) : 1-17, 2006

      22 장원봉,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의 대안적 개념화 : 쟁점과 과제" 5 (5): 11-43, 2007

      23 Yin, R. K.,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21

      24 김학실, "돌봄 사회적 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충북 지역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10 (10): 157-185, 2015

      25 이현주, "노인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1 (11): 197-224, 2015

      26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 자활사업 안내"

      27 藤井敦史, "鬪う社会的企業-コミュニティー·エンパワーメントの担い手" 勁草書房 2013

      28 "http://www.coop.go.kr/COOP/state/majorStatistics1.do"

      29 McBride, J., "Social franchising as a strategy for expanding access to reproductive health services"

      30 Spear, R., "Social entrepreneurship and social movements" Skoll Colloquium on Social Entrepreneurship

      31 Peredo, A. M., "Social entrepreneurship : A critical review of the concept" 41 (41): 56-65, 2006

      32 Howaldt, J., "Social entrepreneurs : Important actors within an ecosystem of social innovation" 1 (1): 95-110, 2016

      33 Campi, S., "Social enterprise: At the crossroads of market, public policies and civil society" Routledge 29-49, 2006

      34 Laville, J. L., "Social enterprise: At the crossroads of market, public policies and civil society" Routledge 272-295, 2006

      35 Pereira Morais, L., "Social and Solidarity Economy and the need for its entrepreneuring ecosystem: Current challenges in Brazil" 98 : 5-30, 2020

      36 Dees, J. G., "Developing the field of social entrepreneurship" Center for the Advancement of Social Entrepreneurship, Duke University 2008

      37 한국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 "2020년 한국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 정기총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4-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과학연구소 -> 한국사회과학연구회
      영문명 : Korea Social Science Institute -> Korea Social Science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9 2.39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