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리빙랩 모델에 기초한 산학협력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H대학 유아교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86230
2024
Korean
375
학술저널
119-12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리빙랩 모델에 기초한 산학협력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H대학 유아교육...
본 연구의 목적은 리빙랩 모델에 기초한 산학협력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H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하고 있는 3학년 학생들 3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산학협력 캡스톤디자인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수업을 15주차에 걸쳐 시행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총 3회 반복측증하였는데 1주차와 8주차 그리고 15주차에 수업이 종료 된 시점에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검사도구의 전체 신뢰도는 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 모두 .99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회기별 구체적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사후검정(scheffé)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리빙랩 모델에 기초한 산학협력 캡스톤디자인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는 교수효능감의 경우 1회기, 2회기, 3회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창의성의 경우 1회기와 2회기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1회기와 2회기 간, 1회기와 3회기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성 함양을 위한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미래 사회를 위한 돌봄 민주주의: 영유아의 권리와 교육적 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