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학희곡에 나타난 인물 전봉준 연구 = A Study on Jeon, Bong Jun(全琫準), the Leader of Donghak, As Described in Dram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18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ost cases, the focus of dramas dealing with Donghak is on Jeon BongJun(全琫準), the leader of the movement.
      This paper focuses on Jeon, Bong Jun described in Donghak dramas. Mainpoint to investigate is three: What do Donghak dramas deal with Jeon, BongJun in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 How do they describe his characters asan actor? ; how differently do they perceive him in the political and culturalsituations over times?More specifically, I made these dramas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four different ages, the drama “Nokdujanggun(綠豆將軍, 全琫準)” of ParkNoa(박노아) which was performed in 1945, to other two dramas in the ‘80s,’90s, and up to now.
      The dramas of four different times all maintain that the content of thefundamental spirits of the Donghak Revolution―protecting the country andcaring the people, refusing the influence from both Western countries andJapan, and expecting a new world.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hem. The dramas in the ‘50s showthat Jeon, Bong Jun was a leader of strong will to push the Japanese out. Thosein the ’70s contrasted Jeon, Bong Jun as an ‘actor’ with Haewol(海月) as an‘opportunist’. But, in the ‘90s, the aspect of Haewol as a thinker was highlightedthan Jeon, Bong Jun. Current dramas describe him as an individual peasantparticipant following the thought of ’innaecheon’(人乃天). The image of Jeon,Bong Jun in drama has changed from the hero to one of the people whofulfilled what he was required to do.
      Recently, Jeon, Bong Jun is discovered in the cultural contents linking historicepic with a kimd of amusement culture. It is the phenomenon where peoplewant to translate the spirit of Donghak with humor.
      번역하기

      In most cases, the focus of dramas dealing with Donghak is on Jeon BongJun(全琫準), the leader of the movement. This paper focuses on Jeon, Bong Jun described in Donghak dramas. Mainpoint to investigate is three: What do Donghak dramas deal with Je...

      In most cases, the focus of dramas dealing with Donghak is on Jeon BongJun(全琫準), the leader of the movement.
      This paper focuses on Jeon, Bong Jun described in Donghak dramas. Mainpoint to investigate is three: What do Donghak dramas deal with Jeon, BongJun in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 How do they describe his characters asan actor? ; how differently do they perceive him in the political and culturalsituations over times?More specifically, I made these dramas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four different ages, the drama “Nokdujanggun(綠豆將軍, 全琫準)” of ParkNoa(박노아) which was performed in 1945, to other two dramas in the ‘80s,’90s, and up to now.
      The dramas of four different times all maintain that the content of thefundamental spirits of the Donghak Revolution―protecting the country andcaring the people, refusing the influence from both Western countries andJapan, and expecting a new world.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hem. The dramas in the ‘50s showthat Jeon, Bong Jun was a leader of strong will to push the Japanese out. Thosein the ’70s contrasted Jeon, Bong Jun as an ‘actor’ with Haewol(海月) as an‘opportunist’. But, in the ‘90s, the aspect of Haewol as a thinker was highlightedthan Jeon, Bong Jun. Current dramas describe him as an individual peasantparticipant following the thought of ’innaecheon’(人乃天). The image of Jeon,Bong Jun in drama has changed from the hero to one of the people whofulfilled what he was required to do.
      Recently, Jeon, Bong Jun is discovered in the cultural contents linking historicepic with a kimd of amusement culture. It is the phenomenon where peoplewant to translate the spirit of Donghak with hum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희곡분석이다. 전봉준을 통해 역사극으로 동학희곡이 무엇을 다루는지, 인물들에 대한 특징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우리 정치와 문화발전과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에 초점을 두어 살핀다.
      첫째, 전봉준의 기포 의의, 둘째, 인물들의 동학에 대한 이해, 셋째, 전봉준과 해월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우선에 두었다.
      일제강점기 때의 희곡은 제외시켰다. 동학이나 동학혁명을 제대로 다루지않고 있었다. 때문에 50년에 문집으로 나온 박노아의「 녹두장군」을 시작으로70년대, 90년대, 그리고 오늘 날에 이르기까지 20년 간격으로 네 편의 희곡을위의 세 가지 조건으로 분석한다.
      동학혁명의 기본정신인 보국안민 제폭구민 척양척왜 개벽세상의 염원은어느 작품에서나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동학혁명의 주체가 바뀌는 것이 발견된다. 인물들이 동학을 이해하는 방법도 다르다. 50년대 희곡은 일본을 몰아내야 한다는 강한 의지를 보인다. 70년대 희곡은 전봉준과 해월이 ‘행동하는 자’와 ‘기회를 엿보는 자’로 비교된다. 90년대는 해월이 사상가로서 부각된다. 현재는 민중 한 사람 한 사람이 자신의 삶과 일을 통해 인내천을 깨닫는 모습이다. 전봉준이 영웅의 자리에서 민중의 한 사람인 개인으로 변화한다.
      최근 전봉준은 역사적 서사시를 놀이문화와 접목시키는 문화콘텐츠에서발견된다. 동학 정신을 해학으로 풀어보자는 현상이다. 이런 끊임없는 변화의 시도는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방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희곡분석이다. 전봉준을 통해 역사극으로 동학희곡이 무엇을 다루는지, 인물들에 대한 특징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우리 정치와 문화발전과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에 초점을 두어...

      본 연구는 희곡분석이다. 전봉준을 통해 역사극으로 동학희곡이 무엇을 다루는지, 인물들에 대한 특징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우리 정치와 문화발전과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에 초점을 두어 살핀다.
      첫째, 전봉준의 기포 의의, 둘째, 인물들의 동학에 대한 이해, 셋째, 전봉준과 해월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우선에 두었다.
      일제강점기 때의 희곡은 제외시켰다. 동학이나 동학혁명을 제대로 다루지않고 있었다. 때문에 50년에 문집으로 나온 박노아의「 녹두장군」을 시작으로70년대, 90년대, 그리고 오늘 날에 이르기까지 20년 간격으로 네 편의 희곡을위의 세 가지 조건으로 분석한다.
      동학혁명의 기본정신인 보국안민 제폭구민 척양척왜 개벽세상의 염원은어느 작품에서나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동학혁명의 주체가 바뀌는 것이 발견된다. 인물들이 동학을 이해하는 방법도 다르다. 50년대 희곡은 일본을 몰아내야 한다는 강한 의지를 보인다. 70년대 희곡은 전봉준과 해월이 ‘행동하는 자’와 ‘기회를 엿보는 자’로 비교된다. 90년대는 해월이 사상가로서 부각된다. 현재는 민중 한 사람 한 사람이 자신의 삶과 일을 통해 인내천을 깨닫는 모습이다. 전봉준이 영웅의 자리에서 민중의 한 사람인 개인으로 변화한다.
      최근 전봉준은 역사적 서사시를 놀이문화와 접목시키는 문화콘텐츠에서발견된다. 동학 정신을 해학으로 풀어보자는 현상이다. 이런 끊임없는 변화의 시도는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방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일영, "희곡 속의 동학혁명" 중문출판사 1994

      2 황선희, "한국근대사의 재조명" 국학자료원 1987

      3 홍창수, "한국 희곡 읽기의 새로움" 도서출판 월인 1999

      4 작가와 비평, "키워드로 읽는 2000년대 문학" 작가와비평 2011

      5 이영호, "창비 Vol.69" 1990

      6 최창길, "차범석 희곡연구" 중문출판사 1999

      7 조광환, "전봉준과 동학농민혁명" 살림터 2014

      8 우윤, "전봉준과 갑오농민전쟁" 창작과 비평 1993

      9 홍창수, "역사와 실존" 연극과 인간 2006

      10 진은영, "문학의 아토포스:문학, 정치, 장소" 현대문학의 연구 2007

      1 김일영, "희곡 속의 동학혁명" 중문출판사 1994

      2 황선희, "한국근대사의 재조명" 국학자료원 1987

      3 홍창수, "한국 희곡 읽기의 새로움" 도서출판 월인 1999

      4 작가와 비평, "키워드로 읽는 2000년대 문학" 작가와비평 2011

      5 이영호, "창비 Vol.69" 1990

      6 최창길, "차범석 희곡연구" 중문출판사 1999

      7 조광환, "전봉준과 동학농민혁명" 살림터 2014

      8 우윤, "전봉준과 갑오농민전쟁" 창작과 비평 1993

      9 홍창수, "역사와 실존" 연극과 인간 2006

      10 진은영, "문학의 아토포스:문학, 정치, 장소" 현대문학의 연구 2007

      11 김혜원, "루카치 문학이론" 세계사 1990

      12 김정숙, "들풀Ⅱ"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14

      13 신원선, "동학희곡의 재조명" 한국학술정보원 2005

      14 채길순, "동학혁명의 소설화 과정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1999

      15 동학혁명 100주년 기념사업회, "동학혁명 100주년 기념 논총 (상)" 1994

      16 신일철, "동학사상과 동학혁명" 청아출판사 1992

      17 임금복, "동학 문학과 예술 그리고 철학"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04

      18 표영삼, "동학 2" 통나무 2005

      19 표영삼, "동학 1" 통나무 2004

      20 한승원, "녹두장군의 갈등 양상과 다양성 특질" 대구대학교 인문대학: 우리말글학회 2 : 1995

      21 김승종, "녹두장군과 갑오농민전쟁의 비교 연구" 2 : 1995

      22 "義菴聖師法設"

      23 "海月神社法說"

      24 "東經大全"

      25 檮杌, "天命·開闢" 통나무 1994

      26 申福龍, "全琫準의 生涯와 思想" 養英閣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Donghak Studies -> The Korea Journal of Donghak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0.7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