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Environmental design of teen space in public libraries for youth ac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099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의 가치관, 지식, 사고체계 등은 끊임없이 도전받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청소년은 그들의 창의성과 자율성에 기초하는 능동적인 삶의 실현과 건전한 민주 시민으로 역량을 강화하기보다 입시 중심의 교육제도 속에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학업과 미래에 대한 스트레스와 긴장감에 지쳐가는 청소년들의 회복과 균형 잡힌 성장을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주도적으로 개인의 관심사와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회환경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위해 지역사회 교육·문화의 거점인 공공도서관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미래 사회구성원으로서 청소년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자기 주도성,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 협력이 떠오름에 따라, 도서관을 중심으로 청소년기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창조적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공공도서관의 청소년 서비스 활성화와 청소년의 여가 및 활동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의 역할 확대의 기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건전한 여가와 개인 역량 강화에 기여하는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환경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사례조사를 통해 국내외 도서관의 청소년 전용공간의 특징과 청소년활동을 파악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청소년활동공간 환경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셋째,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 청소년 이용자의 여가 및 공공도서관 이용행태와 청소년활동을 위한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환경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지역사회 내 조성된 사회기반시설에 청소년활동을 위한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여 청소년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청소년이 선호하는 공간적 특징으로 나타난 ‘편안한 공간’, ‘친구와 함께하는 공간’, ‘간섭(방해)받지 않고 자유로운 공간’,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한 공간’, ‘조용한 공간’, ‘무료 이용 공간’, ‘집에서 가까운 공간’, ‘간단한 식음료 섭취가 가능한 공간’, ‘소규모로 분리된 공간’을 고려하여 청소년에게 매력적인 공간을 구현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경험에 따라 도서관 만족도와 이용 목적 등 전반적인 도서관 이용행태에 특징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청소년 전용공간 조성으로 인하여 도서관이 ‘학습을 위한 정적인 장소’에서 ‘원하는 활동을 선택할 수 있는 장소, 나를 위한 장소’로 인식의 전환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원하는 활동을 하고 편하게 머물 수 있는 도서관 환경이 조성을 위해서는 도서관 일부를 청소년에게 할당하는 청소년 전용공간이 계획되어야 한다. 셋째, 도서관이 보유한 다양한 정보자원을 활용해 능동적으로 개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청소년 전용공간을 계획해야 한다. 청소년들은 도서관에서 학업을 위한 학습활동과 함께 창작활동 및 문화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에게 개인학습과 독서를 강조하는 환경보다 자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면 청소년들의 도서관 이용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청소년활동 지원을 위한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조성에 중요한 환경계획요인은 ‘정서 지원 계획’, ‘쾌적성 유지 계획’, ‘창의성 자극 계획’, ‘영역성 계획’, ‘안전사고 예방 계획’, ‘학습 지원 계획’, ‘개방감 계획’, ‘가구 계획’, ‘여가 지원 계획’, ‘프라이버시 계획’의 10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청소년활동 지원 측면에서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쾌적성 유지 계획’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계획 시 ‘쾌적성 유지 계획’을 우선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원활한 네트워크 환경과 쾌적한 공기의 질, 청소년이 이용하기에 충분한 운영시간, 청결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우선으로 유지하고 확보해야 한다. 다섯째, 선호하는 청소년활동 유형에 따라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조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계획요인이 다르게 나타난 것을 통하여 청소년활동 특성에 따른 환경계획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창작·문화 추구형”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계획요인은 모든 활동에 공통으로 영향력을 갖는 ‘쾌적성 유지 계획’만이 나타남에 따라 쾌적한 도서관 환경이 무엇보다도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학습·진로 추구형”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계획요인은 ‘개방감 계획’, ‘창의성 자극 계획’, ‘가구 계획’, ‘정서 지원 계획’이 나타났다. 즉 숙제, 시험공부 등 개인학습에 집중할 수 있는 영역과 친구와 소통하거나 휴식을 위한 영역을 구분하여 함께 조성할 필요가 있다. “오락·휴식 추구형”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계획요인은 ‘안전사고 예방 계획’, ‘학습 지원 계획’, ‘영역성 계획’이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가진 에너지와 특별한 요구를 수용하고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도서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창의적으로 다양한 체험과 활동을 통해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는 장소로서 공공도서관을 주목하였다. 청소년을 도서관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그들의 요구와 취향을 고려한 전용공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환경계획요인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의견을 반영한 공간을 조성한다면, 청소년들에게 도서관은 청소년을 환영하는 곳이며 마음껏 활동할 수 있는 장소라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의 가치관, 지식, 사고체계 등은 끊임없이 도전받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청소년은 그들의 창의성과 자율성에 기초하는 능동적인 삶의 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의 가치관, 지식, 사고체계 등은 끊임없이 도전받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청소년은 그들의 창의성과 자율성에 기초하는 능동적인 삶의 실현과 건전한 민주 시민으로 역량을 강화하기보다 입시 중심의 교육제도 속에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학업과 미래에 대한 스트레스와 긴장감에 지쳐가는 청소년들의 회복과 균형 잡힌 성장을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주도적으로 개인의 관심사와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회환경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위해 지역사회 교육·문화의 거점인 공공도서관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미래 사회구성원으로서 청소년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자기 주도성,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 협력이 떠오름에 따라, 도서관을 중심으로 청소년기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창조적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공공도서관의 청소년 서비스 활성화와 청소년의 여가 및 활동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의 역할 확대의 기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건전한 여가와 개인 역량 강화에 기여하는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환경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사례조사를 통해 국내외 도서관의 청소년 전용공간의 특징과 청소년활동을 파악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청소년활동공간 환경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셋째,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 청소년 이용자의 여가 및 공공도서관 이용행태와 청소년활동을 위한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환경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지역사회 내 조성된 사회기반시설에 청소년활동을 위한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여 청소년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청소년이 선호하는 공간적 특징으로 나타난 ‘편안한 공간’, ‘친구와 함께하는 공간’, ‘간섭(방해)받지 않고 자유로운 공간’,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한 공간’, ‘조용한 공간’, ‘무료 이용 공간’, ‘집에서 가까운 공간’, ‘간단한 식음료 섭취가 가능한 공간’, ‘소규모로 분리된 공간’을 고려하여 청소년에게 매력적인 공간을 구현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경험에 따라 도서관 만족도와 이용 목적 등 전반적인 도서관 이용행태에 특징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청소년 전용공간 조성으로 인하여 도서관이 ‘학습을 위한 정적인 장소’에서 ‘원하는 활동을 선택할 수 있는 장소, 나를 위한 장소’로 인식의 전환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원하는 활동을 하고 편하게 머물 수 있는 도서관 환경이 조성을 위해서는 도서관 일부를 청소년에게 할당하는 청소년 전용공간이 계획되어야 한다. 셋째, 도서관이 보유한 다양한 정보자원을 활용해 능동적으로 개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청소년 전용공간을 계획해야 한다. 청소년들은 도서관에서 학업을 위한 학습활동과 함께 창작활동 및 문화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에게 개인학습과 독서를 강조하는 환경보다 자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면 청소년들의 도서관 이용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청소년활동 지원을 위한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조성에 중요한 환경계획요인은 ‘정서 지원 계획’, ‘쾌적성 유지 계획’, ‘창의성 자극 계획’, ‘영역성 계획’, ‘안전사고 예방 계획’, ‘학습 지원 계획’, ‘개방감 계획’, ‘가구 계획’, ‘여가 지원 계획’, ‘프라이버시 계획’의 10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청소년활동 지원 측면에서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쾌적성 유지 계획’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계획 시 ‘쾌적성 유지 계획’을 우선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원활한 네트워크 환경과 쾌적한 공기의 질, 청소년이 이용하기에 충분한 운영시간, 청결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우선으로 유지하고 확보해야 한다. 다섯째, 선호하는 청소년활동 유형에 따라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조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계획요인이 다르게 나타난 것을 통하여 청소년활동 특성에 따른 환경계획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창작·문화 추구형”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계획요인은 모든 활동에 공통으로 영향력을 갖는 ‘쾌적성 유지 계획’만이 나타남에 따라 쾌적한 도서관 환경이 무엇보다도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학습·진로 추구형”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계획요인은 ‘개방감 계획’, ‘창의성 자극 계획’, ‘가구 계획’, ‘정서 지원 계획’이 나타났다. 즉 숙제, 시험공부 등 개인학습에 집중할 수 있는 영역과 친구와 소통하거나 휴식을 위한 영역을 구분하여 함께 조성할 필요가 있다. “오락·휴식 추구형”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계획요인은 ‘안전사고 예방 계획’, ‘학습 지원 계획’, ‘영역성 계획’이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가진 에너지와 특별한 요구를 수용하고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도서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창의적으로 다양한 체험과 활동을 통해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는 장소로서 공공도서관을 주목하였다. 청소년을 도서관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그들의 요구와 취향을 고려한 전용공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환경계획요인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의견을 반영한 공간을 조성한다면, 청소년들에게 도서관은 청소년을 환영하는 곳이며 마음껏 활동할 수 있는 장소라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rapidly evolving socio-economic environment, the values, knowledge, and thinking systems of youths are continuously challenged. However, in Korea, the education system primarily focuses on entrance exams rather than fostering an active and creative life that enhances their autonomy and develops their capabilities as responsible democratic citizens. Given this context, there is a need for a social environment that allows adolescents to actively pursue their individual interests and meet their cultural needs, promoting their balanced growth and recovery from the stress and pressure associated with studies and future prospects.
      Public libraries, as the foundations of community education and culture, have recently been recognized for their crucial role in the holistic development of youth. With self-direction,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and collaboration emerging as essential competencies for young individuals as future members of society, libraries provide a creative environment that caters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adolescence. This represents a significant opportunity to revitalize youth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and expand their role as spaces for leisure and activities among young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nvironmental design direction for teen spaces within public libraries that contribute to the healthy leisure and personal capacity building of youth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approach.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teen spaces and youth activiti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braries were examined through case studies. Secondly,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for youth activity spaces were derived based on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Lastly,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for teen spaces within public libraries, considering youth activities, leisure, and the usage patterns of youth library use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investigation, several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ly, there is a need to assign a new role to the social infrastructure within the community, providing a space for youth to freely utilize. In order to create an appealing space for teenagers, spatial characteristics such as a “comfortable space,” “space with friends,” “space without interference,” “space to relieve stress,” “quiet space,” “space close to home,” “cost-free space,” and “space to consume simple food and beverages” should be considered.
      Secondly, noticeable differences show in overall library usage behavior, including library satisfaction and purpose of use,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library's teen space. It is evident that the creation of a teen space transforms the library from a static learning environment into a place where individuals can choose activities that align with their personal preferences. To foster an environment where young people can freely engage in activities and feel comfortable, it is necessary to plan a youth-only space (Teen space) within the library that allocates dedicated areas for young individuals.
      Thirdly, it is crucial to design a teen space that actively enhances individual capabilities by utilizing the diverse information resources available within the library. Teenagers express a desire to participate in creative activities, cultural programs, and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ir studies within the library. Therefore,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autonomy and engagement, rather than solely focusing on individual study and reading, is expected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libraries by teens.
      Fourthly, the significant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for the creation of teen spaces in public libraries to support youth activities can be classified into 10 factors: “emotional support,” “amenity,” “creativity,” “territoriality,” “safety,” “learning support,” “openness,” “furniture diversity,” “leisure support,” and “privacy.” Among these factors, “amenity”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teen spaces in terms of supporting youth activities. Therefore, prioritizing a “amenity” when planning youth-only spaces in public libraries is crucial, including ensuring a smooth network environment, pleasant air quality, extended operating hours suitable for youth usage, and a clean and hygienic environment.
      Lastly, the appearance of different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creating dedicated spaces for youth in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preferred youth activity type highlights the need for tailored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Creative and Culture preference type,” where the common factor influencing all activities is “amenity,” creating a pleasant library environment should be prioritized. The perception of the “Learning and Career preference type” i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openness,” “creativity,” "furniture diversity," and “emotional support,” indicating the need to allocate separate areas for personal study and communication with friends or relaxation. The perception of the “Recreation preference type,” is affected by factors like “safety,” “learning support,” and “territoriality,” underscoring the necessity to create a library environment that accommodates the energy and special needs of young individuals and provides immediate responses.
      Overall, this study recognizes public libraries as spaces where teenagers can cultivate holistic growth through diverse creative experiences and activities within a safe and pleasant environment. To attract teenagers to libraries, dedicated spaces that consider their needs and preferences are necessary. If a space reflecting the opinions of youth is created based on the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the library's image will transform into a welcoming place that embraces youth and encourages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번역하기

      In a rapidly evolving socio-economic environment, the values, knowledge, and thinking systems of youths are continuously challenged. However, in Korea, the education system primarily focuses on entrance exams rather than fostering an active and creati...

      In a rapidly evolving socio-economic environment, the values, knowledge, and thinking systems of youths are continuously challenged. However, in Korea, the education system primarily focuses on entrance exams rather than fostering an active and creative life that enhances their autonomy and develops their capabilities as responsible democratic citizens. Given this context, there is a need for a social environment that allows adolescents to actively pursue their individual interests and meet their cultural needs, promoting their balanced growth and recovery from the stress and pressure associated with studies and future prospects.
      Public libraries, as the foundations of community education and culture, have recently been recognized for their crucial role in the holistic development of youth. With self-direction,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and collaboration emerging as essential competencies for young individuals as future members of society, libraries provide a creative environment that caters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adolescence. This represents a significant opportunity to revitalize youth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and expand their role as spaces for leisure and activities among young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nvironmental design direction for teen spaces within public libraries that contribute to the healthy leisure and personal capacity building of youth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approach.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teen spaces and youth activiti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braries were examined through case studies. Secondly,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for youth activity spaces were derived based on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Lastly,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for teen spaces within public libraries, considering youth activities, leisure, and the usage patterns of youth library use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investigation, several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ly, there is a need to assign a new role to the social infrastructure within the community, providing a space for youth to freely utilize. In order to create an appealing space for teenagers, spatial characteristics such as a “comfortable space,” “space with friends,” “space without interference,” “space to relieve stress,” “quiet space,” “space close to home,” “cost-free space,” and “space to consume simple food and beverages” should be considered.
      Secondly, noticeable differences show in overall library usage behavior, including library satisfaction and purpose of use,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library's teen space. It is evident that the creation of a teen space transforms the library from a static learning environment into a place where individuals can choose activities that align with their personal preferences. To foster an environment where young people can freely engage in activities and feel comfortable, it is necessary to plan a youth-only space (Teen space) within the library that allocates dedicated areas for young individuals.
      Thirdly, it is crucial to design a teen space that actively enhances individual capabilities by utilizing the diverse information resources available within the library. Teenagers express a desire to participate in creative activities, cultural programs, and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ir studies within the library. Therefore,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autonomy and engagement, rather than solely focusing on individual study and reading, is expected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libraries by teens.
      Fourthly, the significant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for the creation of teen spaces in public libraries to support youth activities can be classified into 10 factors: “emotional support,” “amenity,” “creativity,” “territoriality,” “safety,” “learning support,” “openness,” “furniture diversity,” “leisure support,” and “privacy.” Among these factors, “amenity”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teen spaces in terms of supporting youth activities. Therefore, prioritizing a “amenity” when planning youth-only spaces in public libraries is crucial, including ensuring a smooth network environment, pleasant air quality, extended operating hours suitable for youth usage, and a clean and hygienic environment.
      Lastly, the appearance of different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creating dedicated spaces for youth in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preferred youth activity type highlights the need for tailored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Creative and Culture preference type,” where the common factor influencing all activities is “amenity,” creating a pleasant library environment should be prioritized. The perception of the “Learning and Career preference type” i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openness,” “creativity,” "furniture diversity," and “emotional support,” indicating the need to allocate separate areas for personal study and communication with friends or relaxation. The perception of the “Recreation preference type,” is affected by factors like “safety,” “learning support,” and “territoriality,” underscoring the necessity to create a library environment that accommodates the energy and special needs of young individuals and provides immediate responses.
      Overall, this study recognizes public libraries as spaces where teenagers can cultivate holistic growth through diverse creative experiences and activities within a safe and pleasant environment. To attract teenagers to libraries, dedicated spaces that consider their needs and preferences are necessary. If a space reflecting the opinions of youth is created based on the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the library's image will transform into a welcoming place that embraces youth and encourages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LIST OF TABLES 3
      • LIST OF FIGURES 6
      • ABSTRACT 7
      • CHAPTER 1: INTRODUCTION 1
      • LIST OF TABLES 3
      • LIST OF FIGURES 6
      • ABSTRACT 7
      • CHAPTER 1: INTRODUCTION 1
      • 1.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1
      • 1.2 Research Questions 4
      • 1.3 Reserch Scope and limitations 6
      • 1.4 Definition of Terms 8
      • CHAPTER 2: THEORETICAL BACKGROUND 10
      • 2.1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10
      • 2.1.1 The Concept of Adolescents 10
      • 2.1.1 Adolescent Development 14
      • 2.2 Youth Activities and Leisure Culture 22
      • 2.2.1 Concept and Leisure of Youth Activities 22
      • 2.2.2 Functions of Leisure as a Youth Activity 25
      • 2.2.3 Types of Youth Activities 28
      • 2.2.4 Facilities for Youth Activities 32
      • 2.3 Public libraries as youth activity facilities 34
      • 2.3.1 Youth and Public Libraries 34
      • 2.3.2 Youth Activity and Public Libraries 36
      • 2.3.3 Youth Space in Public Libraries 38
      • 2.3.4 A Case of a Teen Space in a Public Library 43
      • 2.4 Environmental Desisgn Elements for Teen Space in Public Libraries 53
      • 2.4.1 Research on Youth Activity Facilities 53
      • 2.4.2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Public Library Teen Spaces 59
      • 2.4.3 Derive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for Public Library Teen Spaces 62
      • CHAPTER 3: RESEARCH METHOD AND PROCESS 66
      • 3.1 Introduction of Target 66
      • 3.1.1 Selection of Survey Target Site 66
      • 3.1.2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sites 67
      • 3.2 Survey 68
      • 3.2.1 Subjects of Data Collection 68
      • 3.2.2 Methods of Data Collection 68
      • 3.2.2 Research tools and content 69
      • 3.3 Analysis method 70
      • CHAPTER 4: FINDINGS FROM THE USER SURVEY 72
      • 4.1 Survey overview 72
      • 4.1.1 Reliability Analysis of Survey 72
      • 4.1.2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73
      • 4.2 Analysis of survey results 74
      • 4.2.1 Youth's Leisure Participation Behavior and Perception 74
      • 4.2.2 Status and Perceptions of Public Library Use by Youth 86
      • 4.2.3 Consciousness of Public Library Teen Spaces 93
      • 4.2.4 Importance of Design Elements for Teen Spaces in Public Libraries 99
      • 4.2.5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of Teen Space in Public Libraries 104
      • 4.2.6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 Influencing Perception of Teen Space in Public Libraries 108
      • 4.3 Types of Youth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111
      • 4.3.1 Cluster Analysis by Youth Activity Type 111
      • 4.3.2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 Influencing Perception of Teen Spaces by Type of Youth Activity 114
      • CHAPTER 5: CONCLUSION 121
      • 5.1 Summary and Conclusion 121
      • 5.2 Future Research Suggestions 126
      • REFERENCES 12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