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소장 위당문고 자료의 성격과 가치(2)-하곡 정제두의 초기 필사본 『存言』『大學說』『中庸解』의 소개와 분석 =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Widangmungo(爲堂文庫) kept in Yonsei University (2) - Introduction and Analysis of Jeong Doo's Early Manuscripts 『Joneon(存言)』, 『Daehakseol(大學說)』, and 『Jungyonghae(中庸解)』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위당문고에 소재한 주요 자료에 대한 연구로, 위당 선생이 소장하고 있었던 강화학파 관련 인물의 필사본 자료를 연구한 것이다. 특히 하곡(霞谷) 정제두(鄭...

      이 글은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위당문고에 소재한 주요 자료에 대한 연구로, 위당 선생이 소장하고 있었던 강화학파 관련 인물의 필사본 자료를 연구한 것이다. 특히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 1649~1736)의 초기 필사본 『存言』 『大學說』 『中庸解』 3종의 존재 사실에 주목하여 그 양상과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위당문고에 소장된 『存言』 2책, 『大學說』 1책, 『中庸解』 1책은 하곡의 현존 이본 중에서 가장 앞선 시기에 성책된 것이다. 또한 이 책에는 산정과 수정 사항이 두주와 부전지에 다수 기록되어 있다. 새로운 자료의 발굴이라는 의의도 있지만, 본책과 후대본의 양상을 대비하여서 현존 이본들의 성격과 편집 방향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되어서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위당문고 소재 하곡의 자료를 소개함과 동시에 하곡의 현존 문집 4종의 이본 대비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알려진 현존본 모두 위당문고를 저본으로 하고 있는 후대본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아울러 각 이본별 성격도 파악해 보았다. 기존 22책본은 위당문고본의 교열자가 붙인 수많은 산정과 수정 사항을 최대한 반영한 후대본이었다. 10책본과 11책본은 원본을 있는 그대로 필사하여서 하곡 글의 원형을 보존하는 방향으로 편집한 특징을 보여주었다. 10책본과 11책본 두 이본은 내용 차이가 없는 같은 계열의 이본으로, 10책본이 11책본에 비해 오탈자가 없는 완전한 모습이라는 사실까지 확인해 보았다.
      본고의 분석을 계기로 기존에 선본으로 다루어지던 22책본 위주의 연구는 재편되어야 하며, 새롭게 소개한 위당문고 소재 하곡 자료들은 앞으로의 하곡 연구, 하곡 문집의 정본화 작업 등에서 우선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李匡呂, "李參奉集"

      2 김성애, "한국문집총간해제" 한국고전번역원 2000

      3 "한국고전종합 DB"

      4 김세정, "하곡 정제두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양명학회 (65) : 81-146, 2022

      5 윤남한, "조선시대의 양명학 연구" 집문당 1982

      6 임미정,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소장 위당문고 자료의 성격과 가치(1) - <여유당집(與猶堂集)>과 <담헌서(湛軒書)>를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95) : 209-235, 2021

      7 정인보, "양명학연론-본심이 감통하는 따뜻한 세상" 아카넷 2020

      8 윤남한, "국역 하곡집 2" 민족문화추진회 1973

      9 이상은, "국역 하곡집 1" 민족문화추진회 1972

      10 鄭齊斗, "霞谷集"

      1 李匡呂, "李參奉集"

      2 김성애, "한국문집총간해제" 한국고전번역원 2000

      3 "한국고전종합 DB"

      4 김세정, "하곡 정제두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양명학회 (65) : 81-146, 2022

      5 윤남한, "조선시대의 양명학 연구" 집문당 1982

      6 임미정,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소장 위당문고 자료의 성격과 가치(1) - <여유당집(與猶堂集)>과 <담헌서(湛軒書)>를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95) : 209-235, 2021

      7 정인보, "양명학연론-본심이 감통하는 따뜻한 세상" 아카넷 2020

      8 윤남한, "국역 하곡집 2" 민족문화추진회 1973

      9 이상은, "국역 하곡집 1" 민족문화추진회 1972

      10 鄭齊斗, "霞谷集"

      11 鄭齊斗, "霞谷集"

      12 鄭齊斗, "霞谷集"

      13 鄭齊斗, "霞谷集"

      14 "誄祭文"

      15 정인보, "薝園國學散藁" 文敎社 17-, 1955

      16 申綽, "石泉遺集"

      17 李忠翊, "椒園談老"

      18 李忠翊, "椒園談老"

      19 柳僖, "方便子文通"

      20 "文淵閣 四庫全書 電子版"

      21 鄭齊斗, "存言"

      22 鄭齊斗, "大學說"

      23 李令翊, "信齋集"

      24 鄭齊斗, "中庸解"

      25 김용재 ; 김민재 ; 이우진, "『霞谷集』 定本化 및 完譯과 譯註를 위한 선제적 검토" 한국양명학회 (40) : 95-150, 2015

      26 정인보, "『薝園文錄』 上·中·下" 태학사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