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몽골 내 위치한 주석(Sn) 광산에서 수령한 시료를 대상으로 고품위 정광 개발을 위한 선별 시스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료 내 포함된 주석을 함유하고 있는 광물인 주석석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69937
김성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Tsogchuluun Davaadorj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자원순환공학과) ; 정도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전호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24
Korean
Mongolia ; Tin ; Cassiterite ; mineral processing ; gravity separation ; 몽골 ; 주석 ; 주석석 ; 선광 ; 비중 선별
KCI등재
학술저널
48-55(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몽골 내 위치한 주석(Sn) 광산에서 수령한 시료를 대상으로 고품위 정광 개발을 위한 선별 시스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료 내 포함된 주석을 함유하고 있는 광물인 주석석을 ...
본 연구에서는 몽골 내 위치한 주석(Sn) 광산에서 수령한 시료를 대상으로 고품위 정광 개발을 위한 선별 시스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료 내 포함된 주석을 함유하고 있는 광물인 주석석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Shaking table을 이용한 비중 선별을 수행하였다. 비중 선별 시 투입 하는 시료 입자의 크기, Shaking table 반면의 기울기 경사각, 시료와 함께 투입하는 공급수 유량을 주요 변수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Rougher 비중 선별에서는 정광의 Sn품위와 회수율이 24.32%, 65.99% 인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 정광의 품위와 회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중 선별을 여러 단계에 걸쳐 적용시켜 선별 공정을 설계하였다. 그 결과, Sn품위와 회수율이 60.30%, 76.67%인 최종 정광을 회수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 separation system for recovering high-grade concentrate was developed using samples obtained from a Sn mine in Mongolia. Cassiterite containing Sn in the sample was efficiently separated by performing gravity separation using a shakin...
In this study, a separation system for recovering high-grade concentrate was developed using samples obtained from a Sn mine in Mongolia. Cassiterite containing Sn in the sample was efficiently separated by performing gravity separation using a shaking table. The main experimental variables were the particle size of the sampl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haking table, and the flow rate of the feed water injected into the sample. In the rougher gravity separation, a concentrate with 24.32% Sn grade was obtained at a recovery of 65.99%. A separation process was designed by applying gravity separation in several stages to improve the grade and recovery rate of the final concentrate. Consequently, a final concentrate with a 60.30% Sn grade was obtained at a recovery of 76.67%.
폐배터리 양극재 침출 용액으로부터 침전법을 이용한 망간 이온 제거 방법
대체연료를 사용하는 시멘트 킬른 온도와 전류 사용량 예측
선광 공정에 의한 국내 흑연광 내 흑연 정광 회수 특성: 부유선별 성능에 대한 광물 구성의 영향
슬래그 기반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고강도 시멘트 클링커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