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저품위 흑연광 두 종류(봉화 및 가평)를 대상으로 전통적인 선광 공정을 적용하여 고품위 흑연 정광을 생산하는 방법에대하여 수행하였다. 두 지역에서 채굴된 흑연 원광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69938
2024
Korean
흑연광 ; 광물 구성 ; 저품위 자원 ; 선광 ; 부유선별 ; Graphite ore ; Mineral composition ; Low-grade resources ; Beneficiation ; Flotation
KCI등재
학술저널
75-85(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저품위 흑연광 두 종류(봉화 및 가평)를 대상으로 전통적인 선광 공정을 적용하여 고품위 흑연 정광을 생산하는 방법에대하여 수행하였다. 두 지역에서 채굴된 흑연 원광의 ...
본 연구는 국내 저품위 흑연광 두 종류(봉화 및 가평)를 대상으로 전통적인 선광 공정을 적용하여 고품위 흑연 정광을 생산하는 방법에대하여 수행하였다. 두 지역에서 채굴된 흑연 원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전통적인 선광 공정에 의해 얻어진 흑연 정광의 품위, 회수율, 수율 그리고 부광비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가평 흑연광은 상대적으로 낮은 탄소 품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공정 및조건에서 봉화 흑연광보다 높은 회수율 그리고 부광비를 보였으며, 이것은 원광의 광물 구성에 의해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게다가, 부유선별 공정에서 투입되는 억제제와 포수제에 따라 적절한 조건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국내 저품위 흑연광으로부터 상업적 활용 잠재 가능성을 가지기 위한 최적의 선광 공정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인자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high-grade graphite concentrate by applying the traditional beneficiation process to two types of low-grade graphite ores in Bonghwa and Gapyeong regions of Korea.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aphite ores mi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high-grade graphite concentrate by applying the traditional beneficiation process to two types of low-grade graphite ores in Bonghwa and Gapyeong regions of Korea.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aphite ores mined from the two areas were compared each other, and the grade, recovery, yield, and enrichment ratio of graphite concentrate obtained by a traditional beneficiation process were evalu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Gapyeong graphite ore exhibited higher recovery and enrichment ratio compared to Bonghwa graphite ore under the identical processes and conditions, despite its relatively low carbon quality. This was attributed to the ore species composition. Additionally, optimal condi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mineral species and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depressants and collectors in the flotation proc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fundamental insights for designing optimal beneficiation processes to enhance the commercial utilization potential of low-grade graphite ores in Korea.
폐배터리 양극재 침출 용액으로부터 침전법을 이용한 망간 이온 제거 방법
대체연료를 사용하는 시멘트 킬른 온도와 전류 사용량 예측
몽골 에르덴 솜 주석광 개발을 위한 비중 선별 시스템 연구
슬래그 기반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고강도 시멘트 클링커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