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32161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2.2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대전

      • 기타서명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ir Peer Competence

      • 형태사항

        v, 63 p.; 26 cm.

      • 일반주기명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정혜원
        참고문헌 : p. 46-50

      • 소장기관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cor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ir peer competence.
      Research issues have been setting up according to its purpose are same as follows. First, what relations are existed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peer competence? Second, what influences are affected to peer competence from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ship having been recognized by young children’s teacher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young children of 3,4,5 year-old in full in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D City,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350 teachers, and 290 sample data among them was used for its research and analysis. There are several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e survey; the test tool developed by Lee Byungrae(1998) was used for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art; and the pro-social behavior testing scale, developed by Kim Youngok(2003) and reconstituted by Seo Sojung(2006) was used for the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part. Also a questionnaire written by Lee Jinsook(2001) who translated, corrected, and supplemented Pianta(1991)’s test tool, was used for measuring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he peer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Park Juhui and Lee Eunhae(2001) was used for measuring peer competence. Next are several programs used for researching and analyz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rried out to search for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search for the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ir peer competence.
      The results ane as follows. First, positive (+) correlations appeared amo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 appeared each other. Though self-recognition among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little lower correlations than other variables, self-regulation, other-awareness, other-regulation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s significantly. Besides, pro-social behavio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total variables such as leadership, helping, empathy and emotional control, sharing etc, and intimacy, conflict, dependence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Second,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ed positive influences to peer competence. Other-regulation i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in pro-social behavior, helping, sharing, conflict of teach-child relationship were turned up to affecting influences to peer competence of children, and was displayed as affecting the highest influences to peer competence of children in case of leadership.
      From comprehensive research results, an implication could be known such like emotional intelligence ability by which young children aware, regulate oneself and others, pro-social behavior by which young children participate in social interaction actively through cooperative play and various activities, teacher-child relationship which young children have with teachers as alternative care-giver affect to peer competence of children very greatly and importantly. This finding would be helpful in doing related researchers with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ship.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cor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cor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ir peer competence.
      Research issues have been setting up according to its purpose are same as follows. First, what relations are existed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peer competence? Second, what influences are affected to peer competence from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ship having been recognized by young children’s teacher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young children of 3,4,5 year-old in full in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D City,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350 teachers, and 290 sample data among them was used for its research and analysis. There are several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e survey; the test tool developed by Lee Byungrae(1998) was used for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art; and the pro-social behavior testing scale, developed by Kim Youngok(2003) and reconstituted by Seo Sojung(2006) was used for the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part. Also a questionnaire written by Lee Jinsook(2001) who translated, corrected, and supplemented Pianta(1991)’s test tool, was used for measuring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he peer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Park Juhui and Lee Eunhae(2001) was used for measuring peer competence. Next are several programs used for researching and analyz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rried out to search for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search for the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ir peer competence.
      The results ane as follows. First, positive (+) correlations appeared amo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 appeared each other. Though self-recognition among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little lower correlations than other variables, self-regulation, other-awareness, other-regulation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s significantly. Besides, pro-social behavio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total variables such as leadership, helping, empathy and emotional control, sharing etc, and intimacy, conflict, dependence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Second,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ed positive influences to peer competence. Other-regulation i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in pro-social behavior, helping, sharing, conflict of teach-child relationship were turned up to affecting influences to peer competence of children, and was displayed as affecting the highest influences to peer competence of children in case of leadership.
      From comprehensive research results, an implication could be known such like emotional intelligence ability by which young children aware, regulate oneself and others, pro-social behavior by which young children participate in social interaction actively through cooperative play and various activities, teacher-child relationship which young children have with teachers as alternative care-giver affect to peer competence of children very greatly and importantly. This finding would be helpful in doing related researchers with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teacher-child relationshi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 및 또래유능성 간의 상관관계와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3,4,5세 유아이며 이들의 교사 350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 중 290명의 표본자료가 연구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와 분석에 쓰인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정서지능 영역은 이병래(1998)가 개발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영옥(2003)이 개발하고 서소정(2006)이 간편형으로 재구성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교사-유아 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Pianta (1991)가 개발하고 이진숙(2001)이 번역,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또래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박주희, 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와 분석을 위해 사용된 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 및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정리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 또래유능성은 서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유아의 정서지능 중 자기인식이 다른 변인들보다 다소 낮은 상관을 나타냈으나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은 유의하게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친사회적 행동은 지도성, 도움주기, 감정이입과 조절, 나누기 등 전체 변인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교사-유아관계는 친밀감, 갈등, 의존이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는 또래유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지능에서 타인조절, 친사회적 행동의 지도성, 도움주기, 나누기, 교사-유아관계의 갈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도성의 경우 또래유능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유아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지하고 조절하는 정서지능 능력, 유아가 협동 놀이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친사회적 행동, 그리고 유아가 대안적 양육자로서의 교사와 가지는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고 중요하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유아의 또래유능성의 증진을 위한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와 관련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 및 또래유능성 간의 상관관계와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 및 또래유능성 간의 상관관계와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3,4,5세 유아이며 이들의 교사 350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 중 290명의 표본자료가 연구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와 분석에 쓰인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정서지능 영역은 이병래(1998)가 개발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영옥(2003)이 개발하고 서소정(2006)이 간편형으로 재구성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교사-유아 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Pianta (1991)가 개발하고 이진숙(2001)이 번역,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또래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박주희, 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와 분석을 위해 사용된 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 및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정리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 또래유능성은 서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유아의 정서지능 중 자기인식이 다른 변인들보다 다소 낮은 상관을 나타냈으나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은 유의하게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친사회적 행동은 지도성, 도움주기, 감정이입과 조절, 나누기 등 전체 변인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교사-유아관계는 친밀감, 갈등, 의존이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는 또래유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지능에서 타인조절, 친사회적 행동의 지도성, 도움주기, 나누기, 교사-유아관계의 갈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도성의 경우 또래유능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유아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지하고 조절하는 정서지능 능력, 유아가 협동 놀이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친사회적 행동, 그리고 유아가 대안적 양육자로서의 교사와 가지는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고 중요하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유아의 또래유능성의 증진을 위한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와 관련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목 차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4
      • II. 이론적 배경 6
      • 1. 또래유능성 6
      • 2. 유아의 정서지능 11
      • 3. 친사회적 행동 16
      • 4. 교사-유아관계 20
      • III. 연구방법 24
      • 1. 연구대상 24
      • 2. 측정도구와 신뢰도 24
      • 3. 자료분석 27
      • IV. 연구결과 28
      • 1.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의 상관관계 28
      • 2.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31
      • V. 논의 및 결론 38
      • 1. 논의 38
      • 2. 결론 43
      • 3. 제한점과 제언 44
      • 참고문헌 46
      • Abstract 51
      • 부록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