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영낭자전」의 異本은 장례의 유무에 따라 크게 ‘水葬-再生’계열과 ‘殯所-再生’계열로 나뉘고, ‘수장-재생’계열은 다시 낭자의 거취 공간에 따라 天上界와 地上界, 仙界로 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93572
김선현 (숙명여자대학교)
2014
Korean
SukyeongNangjaJeon ; classical novel ; different version ; female reader ; woman space ; reincarnation ; 「숙영낭자전」 ; 異本 ; 女性 讀者 ; 女性 空間 ; 재생 ; 고전소설
KCI등재
학술저널
125-155(31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숙영낭자전」의 異本은 장례의 유무에 따라 크게 ‘水葬-再生’계열과 ‘殯所-再生’계열로 나뉘고, ‘수장-재생’계열은 다시 낭자의 거취 공간에 따라 天上界와 地上界, 仙界로 나...
「숙영낭자전」의 異本은 장례의 유무에 따라 크게 ‘水葬-再生’계열과 ‘殯所-再生’계열로 나뉘고, ‘수장-재생’계열은 다시 낭자의 거취 공간에 따라 天上界와 地上界, 仙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水葬-再生-天上界’계열에는 비극적 현실 인식이 나타나며, 이 계열의 향유자들은 地上界를 탈피하여 부부의 애정을 天上界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인다. ‘水葬-再生-地上界’계열의 향유자들은 ‘지금 여기’에서 삶을 어떻게 꾸려나갈 것인가를 고민하며 가족의 화합을 지향했고, ‘水葬-再生-仙界’계열의 향유자들은 옥연동과 죽림동이라는 대안 공간을 통해 女性 解放의 想像的 출구를 마련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숙영낭자전」은 유교적 이념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시집”살이 하는 여성들의 당면 문제를 다루고 있는 작품으로, 이 소설의 독자들은 낭자의 삶 속에서 이들이 안고 있던 삶의 문제 즉, ‘어디서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그들 나름의 해답을 찾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ukyeongNangjaJeon is a fairy tale which enjoyed a great popularity from the public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being read as a novel and enjoyed as pansori. Considering all the transcriptional different versions presently delivered are Korean versi...
SukyeongNangjaJeon is a fairy tale which enjoyed a great popularity from the public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being read as a novel and enjoyed as pansori. Considering all the transcriptional different versions presently delivered are Korean version, it is estimated the major readers were women, and in regard that the different version used colloquial style or obscene language, it can be said that not only the noble women but also the common women transcribed and enjoyed this work. According to publication method, novel version SukyeongNangjaJeon can be regarded as transcription version, plate version, and printed book, also, according to different version, various differences, e.g. whether or not of marriage between Lim sojeo and Seongun, reborn Nangja's attitude problem, etc. according to different version, appear. This difference implies the significance of the latter part of the work was importantly recognized by the novel readers of that time as the difference of the latter part of the work.
Different version of SukyeongNangjaJeon is largely divided into ‘water burial-reincarnation' line and ‘funeral parlor-reincarnation' lin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of funeral, again, ‘water burial-reincarnation' line is divided into the heavenly world, earthly life, and taoist world according to Nangja's positioned space. Recognition on tragic reality appears in ‘water burial- reincarnation-heavenly world' line, the readers of which line show the ten- dency to accomplish the affec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in the heavenly world by escaping from the earthly world. It seemed that the readers of ‘water burial-reincarnation-earthly world' concern about how to live their life ‘here and now', aiming at family harmony, and the readers of ‘water burial-reincarnation-taoist world' wanted to prepare an imaginary exit of women's liberation through the alternative spaces called Okyeondong and Jookrimdong, SukyeongNangjaJeon is dealing with the present topic of the women who live ‘daughter-in-law' lives in Confucius ideology, and it seems that the readers of this novel tried to find out their own answer to the question of life in Nangja's life, i.e. ‘how and where to live?' that they con- cerned about.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국, "회심곡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2 최기숙, "환상" 연세대출판부 100-101, 2003
3 성현경, "한국소설의 구조와 실상" 영남대학교출판부 170-, 1981
4 신기형, "한국소설발달사" 창문사 1960
5 박성의, "한국고대소설사" 일신사 1964
6 문복희, "판소리 숙영낭자전 연구" 어문연구학회 102 : 1999
7 김태준, "조선소설사" 한길사 1990
8 조동일, "조동일소장 국문학 연구자료 10" 박이정 159-, 1999
9 김기동, "이조시대소설론" 정연사 1959
10 김선현, "숙영낭자전의 작품세계 3" 보고사 2014
1 김동국, "회심곡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2 최기숙, "환상" 연세대출판부 100-101, 2003
3 성현경, "한국소설의 구조와 실상" 영남대학교출판부 170-, 1981
4 신기형, "한국소설발달사" 창문사 1960
5 박성의, "한국고대소설사" 일신사 1964
6 문복희, "판소리 숙영낭자전 연구" 어문연구학회 102 : 1999
7 김태준, "조선소설사" 한길사 1990
8 조동일, "조동일소장 국문학 연구자료 10" 박이정 159-, 1999
9 김기동, "이조시대소설론" 정연사 1959
10 김선현, "숙영낭자전의 작품세계 3" 보고사 2014
11 김선현, "숙영낭자전의 작품세계 2" 보고사 68-380, 2014
12 김선현, "숙영낭자전의 작품세계 1" 보고사 35-435, 2014
13 윤경수, "숙영낭자전의 신화적 구성과 분석" 연민학회 7 : 1999
14 김충실, "숙영낭자전에 나타난 시련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7 : 1984
15 성현경, "숙영낭자전과 숙영낭자가의 비교" 판소리학회 6 : 8-, 1995
16 이희숙, "숙영낭자전고" 이화여대 한국어문학회 8 : 1968
17 전용문, "숙영낭자전 연구" 목원대학교 27 : 1995
18 손경희, "숙영낭자전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87
19 김일렬, "숙영낭자전 연구" 역락 7-, 1999
20 조동일, "소설의 사회사 비교론 2" 지식산업사 119-127, 2001
21 윤분희, "박록주 창본 숙영낭자전 연구" 민족어문학회 6 : 1996
22 최수경, "동아시아 女性敍事 연구- 18세기 韓國과 中國을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학회 (11) : 251-287, 2007
23 김종철, "난대이응백박사고희기념논문집" 한샘 1992
24 박태상, "고전소설연구" 일지사 1993
25 조희웅, "고전소설 이본 목록" 집문당 1999
26 조희웅, "고전소설 연구보정" 박이정 2006
27 조희웅, "고전소설 문헌 정보" 집문당 2000
28 이창헌, "경판방각소설 판본 연구" 태학사 149-, 2000
29 강윤정, "朴東鎭 唱本 <숙영낭자전>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20) : 485-506, 2005
30 金一烈, "朝鮮朝 小說에 나타난 孝와 愛情의 對立 : 『淑英娘子傳』을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4
31 정인혁, "<숙영낭자전>의 ‘몸’의 이미지" 한국고전연구학회 (28) : 183-212, 2013
32 김선현, "<숙영낭자전>에 나타난 여성 해방 공간, 옥연동"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1) : 281-308, 2011
33 김미령, "<숙영낭자전> 서사에 나타나는 대중성" 남도문화연구소 (25) : 195-220, 2013
34 류호열, "<숙영낭자전> 서사 연구 :설화·소설·판소리·서사민요의 장르적 변화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10
35 유승희, "19세기 여성관련 범죄에 나타난 갈등양상과 사회적 특성 ―秋曹決獄錄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73) : 139-168, 2011
36 김광순, "(필사본)한국고소설전집" 경인문화사 211-328, 1993
37 박종수, "(나손본)필사본고소설자료총서" 보경문화사 201-243, 1991
北韓 土地制度의 變化와 文學的 形象化의 變轉 -土地改革에서 農業協同化로의 제도적 變移와 그에 대한 文學的 再現 樣相을 中心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9-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9 | 0.942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