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 모바일 오픈마켓의 사용편의성 연구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3791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45.2 판사항(23)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Usability of Domestic Mobile Open Market :Based on User Interface Design

      • 형태사항

        viii, 94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김관배
        참고문헌: p. 87-89

      • 소장기관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폰 이용자의 증가와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소비자의 쇼핑행태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쇼핑을 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모바일 쇼핑은 소비자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스마트폰만 소지하고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모바일 쇼핑의 장점으로 인해 모바일 쇼핑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많은 쇼핑 업체들이 모바일 쇼핑 시장에 진출하며 모바일 쇼핑 시장 규모는 급격하게 성장하게 되었다. 쇼핑업태 중 오픈마켓은 모바일 환경의 서비스 제공을 먼저 제공하기 시작했던 소셜커머스에 비해 업체의 수와 업체별 인터페이스의 요소 차이가 많기 때문에 소비자가 사용하는 데 있어 어려움과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오픈마켓 4곳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각 UI 요소의 문제점과 고려사항을 알아보고, 연구 대상 간의 요소별 사용성을 비교분석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FGD를 통해 모바일 오픈마켓에 적합한 사용성 원칙 및 평가 항목, UI 구성요소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1차 설문조사를 통해 모바일 오픈마켓을 사용함에 있어 고려사항과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1차 설문조사와 FGD 결과를 토대로 사후설문문항을 작성한 후, 20-30대를 대상으로 실험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어떤 요소가 사용성에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고 모델별 요소의 사용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품 검색 과정에서 상세 페이지의 경우 모바일의 작은 화면 특성으로 인해 상품 정보를 상세 화면에서 확인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세화면으로의 안내에 대한 아이콘 명시를 정확히 하도록 개선해야 하며, 상품의 가격 정보는 폰트의 색을 고려하여 가시성을 높여 사용자가 가격을 인지하기 쉽도록 해야 한다. 쿠폰, 혜택 등에 대한 할인 정보는 보다 상세한 내용을 제공해야 하며, Q&A의 메뉴는 상품의 상세 페이지 화면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여야 한다. 구매 및 결제 과정에서 상품 옵션 선택 시 사용하는 옵션바에 ‘장바구니’와 ‘관심 상품’ 메뉴를 함께 고정시키는 것에 고려해볼 필요가 있으며, 배송지 형태를 선택할 때 현재 보여 지는 화면에서 바로 선택 할 수 있도록 탭 메뉴 형식으로 제공해야 한다. 상품 정보 확인 시 중요한 정보에 대한 내용은 폰트의 종류와 색을 고려하여 가시성을 높여야 하며, 결제 수단 선택 시 업체에서 제공하는 결제 수단의 종류가 많고 새롭게 생겨난 결제 수단이 있으므로 각 결제 수단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해성을 높여 사용을 편리하게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오픈마켓의 모델별 UI 요소의 사용성을 조사 및 실험을 통해 비교 평가 함으로써 사용하기 더 편리한 모바일 오픈마켓 UI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 후 모바일 오픈마켓 UI 디자인 시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디자인을 하면 사용성이 보다 더 향상된 디자인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스마트폰 이용자의 증가와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소비자의 쇼핑행태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쇼핑을 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모바일 쇼핑은 소비자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스마트폰 이용자의 증가와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소비자의 쇼핑행태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쇼핑을 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모바일 쇼핑은 소비자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스마트폰만 소지하고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모바일 쇼핑의 장점으로 인해 모바일 쇼핑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많은 쇼핑 업체들이 모바일 쇼핑 시장에 진출하며 모바일 쇼핑 시장 규모는 급격하게 성장하게 되었다. 쇼핑업태 중 오픈마켓은 모바일 환경의 서비스 제공을 먼저 제공하기 시작했던 소셜커머스에 비해 업체의 수와 업체별 인터페이스의 요소 차이가 많기 때문에 소비자가 사용하는 데 있어 어려움과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오픈마켓 4곳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각 UI 요소의 문제점과 고려사항을 알아보고, 연구 대상 간의 요소별 사용성을 비교분석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FGD를 통해 모바일 오픈마켓에 적합한 사용성 원칙 및 평가 항목, UI 구성요소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1차 설문조사를 통해 모바일 오픈마켓을 사용함에 있어 고려사항과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1차 설문조사와 FGD 결과를 토대로 사후설문문항을 작성한 후, 20-30대를 대상으로 실험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어떤 요소가 사용성에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고 모델별 요소의 사용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품 검색 과정에서 상세 페이지의 경우 모바일의 작은 화면 특성으로 인해 상품 정보를 상세 화면에서 확인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세화면으로의 안내에 대한 아이콘 명시를 정확히 하도록 개선해야 하며, 상품의 가격 정보는 폰트의 색을 고려하여 가시성을 높여 사용자가 가격을 인지하기 쉽도록 해야 한다. 쿠폰, 혜택 등에 대한 할인 정보는 보다 상세한 내용을 제공해야 하며, Q&A의 메뉴는 상품의 상세 페이지 화면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여야 한다. 구매 및 결제 과정에서 상품 옵션 선택 시 사용하는 옵션바에 ‘장바구니’와 ‘관심 상품’ 메뉴를 함께 고정시키는 것에 고려해볼 필요가 있으며, 배송지 형태를 선택할 때 현재 보여 지는 화면에서 바로 선택 할 수 있도록 탭 메뉴 형식으로 제공해야 한다. 상품 정보 확인 시 중요한 정보에 대한 내용은 폰트의 종류와 색을 고려하여 가시성을 높여야 하며, 결제 수단 선택 시 업체에서 제공하는 결제 수단의 종류가 많고 새롭게 생겨난 결제 수단이 있으므로 각 결제 수단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해성을 높여 사용을 편리하게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오픈마켓의 모델별 UI 요소의 사용성을 조사 및 실험을 통해 비교 평가 함으로써 사용하기 더 편리한 모바일 오픈마켓 UI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 후 모바일 오픈마켓 UI 디자인 시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디자인을 하면 사용성이 보다 더 향상된 디자인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차]
      • [그림 목차]
      • [논문 초록]
      • 제1장 서론
      • [표 목차]
      • [그림 목차]
      • [논문 초록]
      •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문제의 정의
      • 1.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1.4 연구의 체계 및 절차
      • 제2장 모바일 오픈마켓
      • 2.1 모바일 쇼핑의 이해
      • 2.1.1 모바일 쇼핑의 정의
      • 2.1.2 모바일 쇼핑의 현황
      • 2.2 오픈마켓의 이해
      • 2.2.1 오픈마켓의 정의
      • 2.2.2 오픈마켓의 현황
      • 제3장 사용성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 3.1 사용성의 이해
      • 3.1.1 사용성의 개념
      • 3.1.2 사용성 평가
      • 3.2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이해
      • 3.2.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
      • 3.2.2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원칙
      • 제4장 모바일 오픈마켓의 사용 현황 분석
      • 4.1 모바일 오픈마켓 UI 요소 도출
      • 4.1.1 UI 디자인 구성요소 문헌조사
      • 4.1.2 모바일 오픈마켓 UI 요소 정의
      • 4.2 FGD를 통한 모바일 오픈마켓 사용성 원칙 및 평가 내용 선정
      • 4.2.1 사용성 원칙 문헌조사
      • 4.2.2 모바일 오픈마켓 사용성 원칙 선별 및 평가 항목 도출
      • 4.3 사용자 대상 1차 설문 조사
      • 4.3.1 설문 조사 개요
      • 4.3.2 설문 조사 결과 분석
      • 4.4 1차 설문조사 해석 및 평가
      • 제 5장 실험 및 심층 인터뷰
      • 5.1 연구대상 UI 요소 분석
      • 5.1.1 모델별 상품 검색 과정 UI 요소 분석
      • 5.1.2 모델별 구매 및 결제 과정 UI 요소 분석
      • 5.2 실험 및 심층 인터뷰 개요
      • 5.3 실험 조사 결과 분석 및 심층 인터뷰 결과
      • 5.3.1 과제.1의 수행시간 분석 및 심층 인터뷰 결과
      • 5.3.2 과제.2 의 수행시간 분석 및 심층 인터뷰 결과
      • 5.3.3 과제.3 의 수행시간 분석 및 심층 인터뷰 결과
      • 5.3.4 과제.4 의 수행시간 분석 및 심층 인터뷰 결과
      • 5.3.5 과제.5 의 수행시간 분석 및 심층 인터뷰 결과
      • 5.4 실험 및 심층 인터뷰 해석 및 평가
      • 제 6장 사후설문
      • 6.1 사후 설문조사 개요
      • 6.2 사후설문조사 결과
      • 6.2.1 상품 검색 과정의 사용성 평가 결과
      • 6.2.2 구매 및 결제 과정의 사용성 평가 결과
      • 6.3 사후설문 해석 및 평가
      • 제7장 연구 문제에 따른 종합적 분석
      • 7.1 연구문제 1에 대한 분석
      • 7.2 연구문제 2에 대한 분석
      • 7.3 연구문제 3에 대한 분석
      • 제8장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