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본 하쿠호・나라전기의 백제 불교문화 계승 연구 -불교신앙과 불상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년간의 연구를 통하여 불교학, 불교 미술, 사원 건축 등의 분야에서 백제의 불교문화가 일본 고대 불교문화에 미친 영향을 다음과 같이 파악할 수 있었다. (1) 백제 불교학의 영향 일본...

      2년간의 연구를 통하여 불교학, 불교 미술, 사원 건축 등의 분야에서 백제의 불교문화가 일본 고대 불교문화에 미친 영향을 다음과 같이 파악할 수 있었다.

      (1) 백제 불교학의 영향

      일본의 불교는 백제를 통해 전래되었지만 일본 고대 불교계에 미친 백제 불교학의 영향은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런데 최근에 백제에서 찬술된 것으로 알려진 『大乘四論玄義記』가 일본 고대 삼론학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확인된다.
      나라시대에 유통된 주요 삼론학 강요서로는 혜균의 『대승사론현의기』와 원효의 『三論玄義(宗要)』가 확인된다. 이 두 문헌은 740년대부터 760년대까지 빈번하게 필사되고 널리 유통되고 있다. 반면 후대 일본 불교계에서 삼론학의 기본 강요서로 널리 읽혔던 길장의 『三論玄義』와 『大乘玄論』 등은 유통된 흔적이 보이지 않고 있다. 『二諦義』와 『三論略章』 등 길장의 다른 저술들도 760년대 이후에 비로소 유통되고 있다.
      8세기 말 이후에는 이전과 달리 길장을 비롯한 중국 승려들의 삼론학 강요서들이 다수 유통되고 있다. 그런데 이때 새롭게 유통된 문헌들 중에는 그 정체성이 불분명한 것들이 적지 않다. 승조나 법랑과 같은 삼론학 조사들의 이름에 가탁된 문헌들이 적지 않고, 길장의 저술로 전하는 것들 중에도 길장 본인의 저술이 아니라 후대에 편집된 것들이 있다. 이러한 여러 문헌들 중에서도 길장의 저술로 알려진 『삼론현의』와 『대승현론』은 나라시대의 대표적 문헌인 『대승사론현의기』와 『삼론현의』를 대체하여 대표적 삼론학 강요서로 유통되었다.
      『대승현론』은 기존의 『대승사론현의기』를 모델로 하면서 이를 간략하게 정리한 문헌으로 길장의 저술들에 기초하여 일본에서 새롭게 편집된 것으로 생각된다. 3권 8편으로 구성된 『대승현론』은 23편의 주제를 12권에 수록한 『대승사론현의기』에 비해 활용하기 편리하였을 것이다. 『삼론현의』는 본래 三論에 대한 길장의 주석서 중 일부를 재정리한 것으로 특히 三論學 논서들의 다른 經論에 대한 우월성을 강조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는 諸經論들의 사상적 차이를 會通하는 和諍을 중시하였던 원효의 『삼론종요』와는 다른 성격이다. 나라 시대 후기 이후 일본 불교계는 학파 사이의 경쟁과 종파의식이 강해진 결과 이러한 문헌이 등장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일본의 삼론학(파)는 초기에는 한반도에서 찬술된 『대승사론현의기』와 『삼론종요』를 토대로 하여 형성되었고, 이후 종파로서 발전하는 단계에는 길장의 저술을 토대로 일본에서 재편집된 『대승현론』과 『삼론현의』를 토대로 독자적인 성격을 갖추어 갔다. 그런데 『대승현론』은 체제 뿐 아니라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 the 2 year research we came to know the influences of Baekje Buddhist culture to the Japanese ancient Buddhist culture. (1) The Influences on the Buddhist Thoughts Japanese Buddhism was introduced and much influenced by Baekje Buddhism in...

      Through the 2 year research we came to know the influences of Baekje Buddhist culture to the Japanese ancient Buddhist culture.

      (1) The Influences on the Buddhist Thoughts

      Japanese Buddhism was introduced and much influenced by Baekje Buddhism in its early stage. But it has been difficult to see the theoretical influence of Baekje Buddhism to Japanese Buddhism. However, the re-identification of the Daeseung saron hyeon’ui gi as a work written in Baekje presented the clues to discover the theoretical influence of Baekje Buddhism in the Japanese Sanron school.
      Scrutiny on the lists of the copied texts show that the most important catechisms of Sanron school during the Nara period were Hyegyun’s Daeseung saron hyeon’ui gi written in Baekje and Wonhyo’s Samron jong’yo (alias Samron hyeon’ui) written in Shilla. According to the records both were copied about 10 times from 740s to 760s, while other catechisms such as Erdi-yi and Sanlun luezhang were copied only 1-2 times in 760s. Jizang’s famous Dacheng xuanlun and Sanlun xuanyi, both has been the basic literatures of Japanese Sanron school, don’t appears in the records at all.
      During the Heian period many other catechisms, written by Chinese patriarchs including Jizang and his teacher Falang, were copied and circulated. But ma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