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쉬땅나무(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열매의 항산화 활성 성분 =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Fruit of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482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합성항산화제의 독성과 부작용으로 인한 천연물유래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추출물 단계에서 ORAC assay를 통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쉬땅나무(Sorbaria sorbfolia var. stellipila Max.) 열매의 생물학적 생리활성 성분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는 쉬땅나무의 열매를 채집하여 80% MeOH로 추출한 후 일반적인 용매분획법에 의해 분획한 분획물과 추출물을 대상으로 ORAC assay를 실시한 결과 80% MeOH추출물과 EtOAc, n-BuOH분획에서 천연항산화제인 trolox보다 우수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이중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 EtOAc 분획물로 부터 각종 chromatography기법을 통하여 분리, 정제한 결과 flavonoid계열의 화합물인 catechin을 단리 하였다. 단리 되어진 catechin은 쉬땅나무의 열매에서는 처음으로 본 연구에서 보고되는 성분으로 ORAC assay에서 대조군인 trolox에 비해 높진 않지만 유사한 활성이 나타나, vitamine E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이 성분 외에 다양한 항산화 활성 성분들의 복합작용으로 인하여 쉬땅나무 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이 vitamine E에 비하여 3배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현재까지 쉬땅나무에 대한 식물학적 성분연구 및 유효활성 성분연구가 다른 천연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flavonoid계 화합물이 TLC확인 시험을 통하여 확인한 바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어, 향후 이와 유사한 다양한 flavonoid계열의 화합물을 분리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천연물의약품의 기초자료 제공 등 항산화 성분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합성항산화제의 독성과 부작용으로 인한 천연물유래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추출물 단계에서 ORAC assay를 통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쉬땅나무(Sorbaria so...

      합성항산화제의 독성과 부작용으로 인한 천연물유래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추출물 단계에서 ORAC assay를 통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쉬땅나무(Sorbaria sorbfolia var. stellipila Max.) 열매의 생물학적 생리활성 성분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는 쉬땅나무의 열매를 채집하여 80% MeOH로 추출한 후 일반적인 용매분획법에 의해 분획한 분획물과 추출물을 대상으로 ORAC assay를 실시한 결과 80% MeOH추출물과 EtOAc, n-BuOH분획에서 천연항산화제인 trolox보다 우수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이중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 EtOAc 분획물로 부터 각종 chromatography기법을 통하여 분리, 정제한 결과 flavonoid계열의 화합물인 catechin을 단리 하였다. 단리 되어진 catechin은 쉬땅나무의 열매에서는 처음으로 본 연구에서 보고되는 성분으로 ORAC assay에서 대조군인 trolox에 비해 높진 않지만 유사한 활성이 나타나, vitamine E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이 성분 외에 다양한 항산화 활성 성분들의 복합작용으로 인하여 쉬땅나무 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이 vitamine E에 비하여 3배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현재까지 쉬땅나무에 대한 식물학적 성분연구 및 유효활성 성분연구가 다른 천연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flavonoid계 화합물이 TLC확인 시험을 통하여 확인한 바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어, 향후 이와 유사한 다양한 flavonoid계열의 화합물을 분리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천연물의약품의 기초자료 제공 등 항산화 성분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the antioxidative constituents and their activities of the 80% methanolic extracts from fruit of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The isolation of active compound was performed in three steps: solvent partition, open column chromatography,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solvent fractions were test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b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The antioxidant activity of 80% methanolic extracts by various solvent partitions was in the order of 80% MeOH (1.68 ± 0.027), n-hexane (1.02 ± 0.036), CH2Cl2 (0.95 ± 0.025), EtOAc (1.98 ± 0.065), n-BuOH (1.94 ± 0.054) and Water (1.28 ± 0.032).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ies and functional values were observed significantly at EtOAc fraction from fruit of S. sorbifolia, flavonoid compound isola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the antioxidative constituents and their activities of the 80% methanolic extracts from fruit of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The isolation of active compound was performed in three steps: solv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the antioxidative constituents and their activities of the 80% methanolic extracts from fruit of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The isolation of active compound was performed in three steps: solvent partition, open column chromatography,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solvent fractions were test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b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The antioxidant activity of 80% methanolic extracts by various solvent partitions was in the order of 80% MeOH (1.68 ± 0.027), n-hexane (1.02 ± 0.036), CH2Cl2 (0.95 ± 0.025), EtOAc (1.98 ± 0.065), n-BuOH (1.94 ± 0.054) and Water (1.28 ± 0.032).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ies and functional values were observed significantly at EtOAc fraction from fruit of S. sorbifolia, flavonoid compound isola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세찬, "유색감자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의 생물학적 활성 비교" 한국작물학회 53 (53): 233-238, 2008

      2 석호문, "도정부산물로부터 분리한 보리 폴리페놀 추출물의 항상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4 (34): 889-892, 2002

      3 양윤정, "국내 자생 자원식물들의 항산화 활성 검색"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1-9, 2011

      4 Arisawa, M., "Unutilized resources. Ⅱ. A new flavonoid glycoside in the leaves of Sorbaria stellipila" 89 : 705-706, 1969

      5 Lee, S. M., "Toxic evaluation an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cucurbitacin D and F from Sorbaria sorbifolia" 14 : 191-195, 2001

      6 Kim, C. M., "The encyclopedia of oriental herbal medicine" 4019-, 2004

      7 Munehisa, A., "Stueies on unutilized resource. Ⅳ. Flavonoids in the leaver of S. stellipila" 18 : 916-918, 1970

      8 Zhang, X., "Study on extraction and isolation of active constituents from Sorbaria sorbifolia and antitumor effect of the constituents in vivo" 27 : 36-38, 2004

      9 Zhang, X., "Studies on liver-protection of Sorbaria sorbifolia aqueous extract" 11 : 1497-1499, 2003

      10 Zaitsev, V. G., "Phytochemical study of Sorbaria sorbifolia leaves" 24 : 63-67, 1969

      1 강세찬, "유색감자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의 생물학적 활성 비교" 한국작물학회 53 (53): 233-238, 2008

      2 석호문, "도정부산물로부터 분리한 보리 폴리페놀 추출물의 항상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4 (34): 889-892, 2002

      3 양윤정, "국내 자생 자원식물들의 항산화 활성 검색"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1-9, 2011

      4 Arisawa, M., "Unutilized resources. Ⅱ. A new flavonoid glycoside in the leaves of Sorbaria stellipila" 89 : 705-706, 1969

      5 Lee, S. M., "Toxic evaluation an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cucurbitacin D and F from Sorbaria sorbifolia" 14 : 191-195, 2001

      6 Kim, C. M., "The encyclopedia of oriental herbal medicine" 4019-, 2004

      7 Munehisa, A., "Stueies on unutilized resource. Ⅳ. Flavonoids in the leaver of S. stellipila" 18 : 916-918, 1970

      8 Zhang, X., "Study on extraction and isolation of active constituents from Sorbaria sorbifolia and antitumor effect of the constituents in vivo" 27 : 36-38, 2004

      9 Zhang, X., "Studies on liver-protection of Sorbaria sorbifolia aqueous extract" 11 : 1497-1499, 2003

      10 Zaitsev, V. G., "Phytochemical study of Sorbaria sorbifolia leaves" 24 : 63-67, 1969

      11 Kim, D. K., "Lignans from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43 : 285-288, 1999

      12 Jin, X., "Inhibitory effect of Sorbaria sorbifolia extract on diethylnitrosamineinduced hepatic precancerous lesion in rats" 32 : 159-161, 2004

      13 Ahn, D. K.,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Kyu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562-, 2000

      14 Lee, T. B., "Illustrated Flora of Korea" 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132-, 1989

      15 Kim, D. K., "Flavonoids from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29 : 254-257, 1998

      16 Zhang, X., "Experimental study on Sorbaria sorbifolia extract against chronic liver damage in rats" 27 : 751-753, 2004

      17 Zhang, X., "Effect of Sorbaria Sorbifolia extract on anti-oxidative activities in rats with precancerosis induced by diethylnitrosamine" 1 : 47-50, 2003

      18 Kim, D. K., "Cytotoxic constituents of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20 : 85-87,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7 1.15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