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활성화(activation)를 통해 본 서구 복지국가의 변화 궤적: 복지 및 노동시장 개혁을 중심으로 = Activated qualitatively or how much? Activation and the change of the Western Welfare St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140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활성화(activation)’라는 개념을 통해 서구 복지국가의 변화 추세를 경험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활성화는 실업자 및 비고용 인구의 노동시장으로의 통합을 위해 사회정...

      이 논문의 목적은 ‘활성화(activation)’라는 개념을 통해 서구 복지국가의 변화 추세를 경험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활성화는 실업자 및 비고용 인구의 노동시장으로의 통합을 위해 사회정책과 노동시장정책의 전반적인 틀을 개혁하려는 의미로 쓰이는 만큼, 전통적인 복지국가의 성격 변화를 야기하는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로 이해되고 있다. 이를 경험적으로 규명하고자 본 연구는 사회정책과 노동시장정책의 개편에 따른 정책 결과를 반영 하도록 ‘사회보호체계의 활성화(activated social protection system)’를 핵심 개념이자 변수로 고안하였다. 각각 실업보험과 사회부조 부문을 중심으로 세부 지표를 구성하였으며, 다시 활성화의 질적인 맥락을 반영할 수 있도록 퍼지 전환을 통해 표준화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1990년대 후반에서 2010년대 초반까지 서구 복지국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당수 국가에서 사회보호체계의 활성화가 현저하여 활성화로의 서구 복지국가의 궤적은 전반적으로 뚜렷하다고 볼 수 있었다. 특히, 독일과 스웨덴은 사회보호체계의 활성화가 급진전되어 주목되는 부분이다. 반면, 네덜란드와 노르웨이는 급격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 국가 간의 차이도 확연하였다. 이어지는 문헌분석 결과, 이러한 국가 간 상이성은 각 국이 처한 상황, 역사적 유산과 정책 선택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attemp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western welfare states through the lens of ‘activation’. Activation is widely understood as a change of policy paradigm leading to the transition of the welfare state, since it implies a fo...

      We attemp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western welfare states through the lens of ‘activation’. Activation is widely understood as a change of policy paradigm leading to the transition of the welfare state, since it implies a foundational reform of social policy and the labor market policy in order to integrate the unemployed and non-employment population into the labor market. We conceptualized ‘activated social protection system’ and devised an index for it, to examine the result of such a policy shift. The index consisted of two indicators of social protection systems for the unemployed and for the non-employment population, which respectively includes sub-indicators, and the index scores were transformed into fuzzy scores. Nine welfare states were analyzed from the late 1990s to the early 2010s,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social protection system has remarkably been activated in most countries, and in Germany and Sweden in particular. However, there were also found the difference between countries, especially in the Netherlands and Norway showing relatively incremental change. Literature review supported our interpretation of this phenomena that historical context, situations, and political selection differing over countries matter here, in the activ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켄 조네스, "영국의 실업급여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4

      2 신동면, "영국 사회보장제도의 개혁: 사회부조(Social Assistance)를 중심으로" 46 : 178-209, 2001

      3 남재욱, "실업보호의 유형과 경제위기 전후 OECD 18개국의 제도변화"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4 (44): 125-162, 2017

      4 손혜경, "스웨덴 실업보험제도의 문제점"

      5 정의룡, "서구와 한국 복지국가의 변화와 지속: 퍼지셋 이상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6 (46): 309-336, 2012

      6 변영우, "새로운 사회적 위험구조에 의한 OECD 국가의 사회지출구조 변화"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337-357, 2012

      7 정원오, "비교빈곤정책론: 빈곤과 빈곤정책의 동향에 관한 국제비교" 나남출판 2005

      8 김교성, "복지국가의 변화: 신ㆍ구 사회정책에 기초한 이념형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433-467, 2015

      9 신동면, "복지국가 트릴레마 양상의 변화‒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한국사회정책학회 19 (19): 119-147, 2012

      10 레이지나 코넬 자이드, "독일의 활성화정책"

      1 켄 조네스, "영국의 실업급여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4

      2 신동면, "영국 사회보장제도의 개혁: 사회부조(Social Assistance)를 중심으로" 46 : 178-209, 2001

      3 남재욱, "실업보호의 유형과 경제위기 전후 OECD 18개국의 제도변화"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4 (44): 125-162, 2017

      4 손혜경, "스웨덴 실업보험제도의 문제점"

      5 정의룡, "서구와 한국 복지국가의 변화와 지속: 퍼지셋 이상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6 (46): 309-336, 2012

      6 변영우, "새로운 사회적 위험구조에 의한 OECD 국가의 사회지출구조 변화"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337-357, 2012

      7 정원오, "비교빈곤정책론: 빈곤과 빈곤정책의 동향에 관한 국제비교" 나남출판 2005

      8 김교성, "복지국가의 변화: 신ㆍ구 사회정책에 기초한 이념형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433-467, 2015

      9 신동면, "복지국가 트릴레마 양상의 변화‒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한국사회정책학회 19 (19): 119-147, 2012

      10 레이지나 코넬 자이드, "독일의 활성화정책"

      11 김종일, "대륙복지국가의 활성화정책 추이에 관한 퍼지 집합 이념형 분석, 2000-2007"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253-284, 2010

      12 류진석, "노동연계복지의 경향과 특징"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5) : 65-89, 2004

      13 김병인, "노동시장정책 ‘활성화’, 그 경향과 특징"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3 (43): 61-86, 2016

      14 노대명, "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 취지와 경과 그리고 향후 과제" (241) : 6-19, 2016

      15 우준희, "고이즈미 정권기 일본의 노동연계복지(workfare): 사회적 포섭에서 사회적 배제로의 전환" 세종연구소 17 (17): 137-172, 2011

      16 안상훈, "고용 복지 서비스 연계의 비전과 전략" 고용노동부 2012

      17 Ingold, J, F., "“Work, Welfare and Gender Inequalities: An Analysis of Activation Strategies for Partnered Women in the UK, Australia and Denmark" 27 (27): 621-638, 2013

      18 Allègre, G., "Working Poverty in A Europe: A Comparative Approach" Palgrave Macmillan 2011

      19 Skevik, A., "Women’s Citizenship in the Time of Activation: The Case of Lone Mothers in ”Need-Based” Welfare States" 12 (12): 42-66, 2004

      20 Esping-Andersen, G.,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OUP 2002

      21 Watts, B., "Welfare Sanctions and Conditionality in the UK" Joseph Rowntree Foundation 2014

      22 Greer, I., "Welfare Reform, Precarity and the Re-commodification of Labour" 30 (30): 162-173, 2016

      23 Dwyer, P., "Universal Credit, Ubiquitous Condition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Social Citizenship" 22 (22): 27-35, 2014

      24 Millar, J., "Understanding Social Security: Issues for Policy and Practice" Policy Press 2009

      25 Wright, S., "Understanding Social Security: Issues for Policy and Practice" Policy Press 2009

      26 Palme, J., "Trends in the Swedish Social Investment Welfare State: The Enlightened Path’ or ‘The Third Way’ for ‘the Lions’?" Herman Deleeck Centre for Social Policy-University of Antwerp 2015

      27 Clegg, D., "Towards a New Unemployment Protection Paradigm: European Experiences"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5

      28 Hemerijck, A., "The Use of Social Investment" OUP 2017

      29 McLaughlin, E., "The Rise and Fall of the UK’s First Tax Credit: the Working Families Tax Credit 1998-2000" 35 (35): 163-180, 2001

      30 Papadopoulos, T., "The Recommodification of European Labour: Theoretical and Empirical Explorations" the European Research Institute 2005

      31 van Berkel, R., "The Provision of Income Protection and Activation Services for the Unemployed in ‘Active Welfare State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39 (39): 17-34, 2009

      32 van Berkel, R., "The Governance of Active Welfare States in Europe" Palgrave Macmillan 2011

      33 Nilssen, E., "The EU Fight Against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Activation, Targeting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Welfare State" Stein Rokkan Centre for Social Studies 2006

      34 Bonoli, G., "Social Policy through Labor Markets: Understanding National Differences in the Provision of Economic Security to Wage Earners" 36 (36): 1007-1030, 2003

      35 Finn, D., "Social Policy Review. 23, Analysis and Debate in Social Policy" Policy Press 2011

      36 Esping-Andersen, G.,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OUP 1999

      37 Serrano-Pascual, A., "Reshaping Welfare States and Activation Regimes in Europe" P.I.E Peter Lang 2007

      38 Wadensjö, E., "Reshaping Welfare States and Activation Regimes in Europe" P.I.E Peter Lang S.A. 2007

      39 Sjöberg, O., "Regulating the Risk of Unemployment: National Adaptations to Post-industrial Labour Markets i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0 Hoogenbom, M., "Regulating the Risk of Unemployment: National Adaptations to Post-industrial Labour Markets in Europe" OUP 2011

      41 Clasen, J., "Regulating the Risk of Unemployment: National Adaptations to Post-industrial Labour Markets i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2 Dingeldey, I., "Regulating the Risk of Unemployment: National Adaptations to Post-industrial Labour Markets i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3 Andersen, J. G., "Regulating the Risk of Unemployment: National Adaptations to Post-industrial Labour Markets i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4 Bonoli, G., "Regulating the Risk of Unemployment: National Adaptations to Post-Industrial Labour Markets i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318-332, 2011

      45 Ragin, C. C., "Redesigning Social Inquiry: Fuzzy sets and beyon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46 Piachaud, D, "Poverty and Social Protection in Britain: Policy Developments since 1997" 11 : 92-105, 2012

      47 Clasen, J., "Motives, Means and Opportunities: Reforming Unemployment Compensation in the 1990s" 23 (23): 89-112, 2000

      48 Rowlingson, K., "Lone Parents, Poverty and Work: Policy Approaches and Lessons from Abroad" 10 : 207-213, 2002

      49 Bengtsson, M, "Labour Market Policy under Conditions of Permanent Austerity: Any Sign of Social Investment?" 51 (51): 367-388, 2017

      50 Bo Davidsson, J., "Labour Market Policies in the Era of Pervasive Austerity: A European Perspective" Policy Press 2018

      51 Larsen, F., "Interpreting the Marketization of Employment Services in Great Britain and Denmark" 24 (24): 455-469, 2014

      52 van Berkel, R., "Individualised Service Provision in an Era of Activation and New Governance" 11 : 2007

      53 Seikel, D., "Handbook on In-Work Poverty" Edward Elgar 2018

      54 De Graaf, W., "Governance Reforms and Their Impacts on the Effects of Activation Polices" 32 (32): 353-363, 2012

      55 Nickell, S, "Fundamental Changes in the UK Labour Market" 63 (63): 715-736, 2001

      56 Weishaupt, J, T., "From the Manpower Revolution to the Activation Paradigm: Explaining Institutional Continuity and Change in an Integrating Europ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11

      57 Palier, B., "Editional a ‘Frozen Landscape’ to Structural Reforms: The Sequential Transformation of Bismarckian Welfare Systems" 4 (4): 535-554, 2007

      58 Pierson, P, "Dismantling the Welfare State?: Reagan, Thatcher, and the Politics of Retrench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59 Eichhorst, W., "Bringing the Jobless into Work?" Springer 17-67, 2008

      60 Eichhorst, W., "Bringing the Jobless into Work?" Springer 1-16, 2008

      61 Dingeldey, I., "Between Workfare and Enablement- The Different Paths to Transformation of the Welfare State: A Comparative Analysis of Activating Labour Market Policies" 46 (46): 823-851, 2007

      62 Behrendt, C., "At the Margins of the Welfare State: Social Assistance and the Alleviation of Poverty in Germany, Sweden and the United Kingdom" Ashgate 2002

      63 Lødemel, I., "Activation or Workfare?: Neo-liberal Convergence" OUP 2014

      64 Marie-Thérèse, L., "Activation and Labour Market Reforms in Europe: Challenges to Social Citizenship" Palgrave Macmillan 2011

      65 Betzelt, S., "Activation and Labour Market Reform in Europe: Challenges to Social Citizenship" Palgrave Macmillan 2011

      66 Barbier, J, C., "Activating Social Protection and Employment Insurance" SISWO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15 1.32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