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지역사회 일반인에서 주치의 및 단골의사 보유 현황 및 관련 요인에 관한 단면연구 =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Having a Family Physician or Regular Doctor among Community-Dwelling Adults in South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07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주치의와 단골의사의 개념은 일반인에서 흔히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제공 의료의 여러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일반인에서 주치의/단골의사 보유 ...

      연구배경: 주치의와 단골의사의 개념은 일반인에서 흔히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제공 의료의 여러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일반인에서 주치의/단골의사 보유 현황 및 의료 이용 행태와 관련된 요인들을 고찰하였다.
      방법: 2018년 10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일개 대학교의 전체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웹설문을 이용한 단면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에게 주치의/단골의사 유무, 자주 방문하는 의료기관의 유형, 연간 의료기관 이용 빈도 및 본인 부담 의료비용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주치의/단골의사 보유와 관련된 요인을 고찰하였으며, 인구학적 특성, 건강 관련 변수, 의료이용 행태 등이 다변량 모델에 포함되었다.
      결과: 총 5,890명의 자료가 분석되었으며, 주치의/단골의사 보유율은 15.0% (학생 12.6%, 교직원 21.3%)였다. 주치의/단골의사 보유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요인은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만성질환을 관리하고 있는 경우였다. 주치의/단골의사 보유자는 일차의료기관보다 대형ㆍ종합병원을 자주 이용하였으며, 연간 의료기관 방문이 더 잦고, 연간 의료비용 지출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지역사회 일반인에서 주치의/단골의사 보유율은 낮은 수준이었고, 주로 고소득층에서 대형ㆍ종합병원 단과 전문의를 단골의사로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많은 일반인들이 포괄적, 전인적, 지속적인 의료를 제공하는 주치의의 역할에 대하여 올바로 인식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일차의료체계에 기반을 둔 주치의 제도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정립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lthough the concepts of a family physician and regular doctor are interchangeably used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y differ in various aspects of healthcare services.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having a family physician/regular d...

      Background: Although the concepts of a family physician and regular doctor are interchangeably used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y differ in various aspects of healthcare services.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having a family physician/regular doctor and its association with healthcare utilization behaviors among community-dwelling adult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and employees at a university from October 2018 to February 2019. Information was collected on the presence of a family physician/regular doctor, healthcare facilities most frequently visited, annual healthcare visit frequencies, and out-of-pocket medical expenses. Associated factors with having a family physician/regular doctor were analyzed us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djusting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variables, and healthcare utilization behaviors.
      Results: A total of 5,890 individuals were included, of which 15% had family physicians/regular doctors (students 12.6%, employees 21.3%).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aving a family physician/regular doctor were older age, higher income level, and managing chronic diseases. Individuals having a family physician/regular doctor were more likely to use large/tertiary hospitals rather than primary care clinics, use healthcare services more frequently, and have higher medical expenditures.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having a regular doctor was low in community-dwelling adults, with a higher prevalence among high-income groups and a tendency to visit large/tertiary hospital specialists for a regular doctor. Our results indicate that many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lack proper awareness of the roles of family physicians in providing comprehensive and continuous healthcare, emphasizing urgent needs to enhance public awareness of the concept of family physicians based on primary ca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