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기업경영에 있어 정보시스템의 활용은 단순 업무 효율성 뿐만아니라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적 도구로 간주되고 있고, 기업들은 정보시스템의 도입을 위해 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286343
서울 : 숭실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2008
학위논문(석사) -- 숭실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 글로벌프로젝트경영학과 , 2008. 2
2008
한국어
서울
ix, 97 p. : 삽도 ; 26cm.
지도교수:황인수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기업경영에 있어 정보시스템의 활용은 단순 업무 효율성 뿐만아니라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적 도구로 간주되고 있고, 기업들은 정보시스템의 도입을 위해 나...
현대 기업경영에 있어 정보시스템의 활용은 단순 업무 효율성 뿐만아니라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적 도구로 간주되고 있고, 기업들은 정보시스템의 도입을 위해 나름대로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그러나 경영자들은 정보화 투자 효과에 대하여 납득할 만한 성과보고를 받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정보화업무의 특성상 정량적인 성과측정이 간단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정보화의 성과를 너무 재무적인 관점에서만 판단하려는 시각 때문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균형성과표(BSC)를 응용한 정보시스템의 성과평가와 관련된 선행 연구(IT-BSC)들의 분석을 토대로, 공공부문 정보화 조직의 특성을 고려한 성과측정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공기업의 정보화 조직을 대상으로 그 성과측정모델을 참조하여 새로운 IT-BSC 성과측정모델을 수립해 보았다. IT-BSC 모델의 관점은 경영기여도 관점, 사용자지향 관점, 운영 프로세스 관점, 미래지향적 관점으로 각 관점별 성과목표와 성과목표별 핵심측정지표를 도출하였고, 모델 수립의 적정성 판단을 위해 설문을 통한 각 관점별 성과목표들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pplications of information systems, under the business environment of today, is regarded not only as business supporting tools but also as strategic means which strengthens the enterprise competitiveness and creates their future values. Most of e...
The applications of information systems, under the business environment of today, is regarded not only as business supporting tools but also as strategic means which strengthens the enterprise competitiveness and creates their future values. Most of enterprises have, therefore, invested so much money in the implementations of their information systems. Unfortunately not a few CEOs are well informed of the results of their IT investments because there are so many difficulties in measuring the direct effects of information system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moreover the traditional evaluation methods consider the results only with the financial view.
This thesis suggest a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for the public information service using IT BSC methodology through the analysis of proceedings related to IT-BSC and IT performance evaluation. I tried to establish a new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using case studies by showing adaptations of the suggested model.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