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for clarifying the grammatical meaning of both ‘-amsi-’ and ‘-asi-’, that each has double meanings such as tense and aspect. The selection between tense and aspect of ‘-amsi-’ and ‘-asi-’ are influenced by words or gramm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for clarifying the grammatical meaning of both ‘-amsi-’ and ‘-asi-’, that each has double meanings such as tense and aspect. The selection between tense and aspect of ‘-amsi-’ and ‘-asi-’ are influenced by words or gramma...
This study is for clarifying the grammatical meaning of both ‘-amsi-’ and ‘-asi-’, that each has double meanings such as tense and aspect. The selection between tense and aspect of ‘-amsi-’ and ‘-asi-’ are influenced by words or grammatical morphes as the part of individual sentences. The grammatical meaning of ‘-amsi-’ and ‘-asi-’ is not sticked to either one or another, but included in tense and aspect all. Both ‘-amsi-’ and ‘-asi-’ which was ending suffix of sentence have primarily meaning of aspect previously. But with the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language history, they have derivative meaning of tense. Therefore in current situation They have double meaning such as aspect and tense.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언학, "중세 국어 보조 용언 연구" 서강대학교 2001
2 강정희, "제주방언 형태 변화 연구" 역락 2005
3 강정희, "제주방언 연구" 한남대학교 출판부 1988
4 우창현, "제주방언 보조용언의 문법 범주와 의미 해석" 한국어문학회 97 (97): 43-62, 2007
5 고영진, "제주도 방언의 회상법의 형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 in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1
6 고영진, "제주도 방언의 형용사에 나타나는 두 가지 「현재 시제」에 대하여 in 한글275" 2007
7 문숙영, "제주도 방언의 시상 형태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8
8 홍종림, "제주도 방언의 소위 회상법 형태에 대하여" 44 :
9 홍종림, "제주도 방언의 선어말어미 ‘크’에 대하여 in 김형규 교수 고희 기념 논총" 김형규교수고희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81
10 홍종림, "제주도 방언의 ‘암/엄, 암시/엄시, 안/언, 아시/어시’에 대하여" 김형규 교수 회갑 논총 1976
1 정언학, "중세 국어 보조 용언 연구" 서강대학교 2001
2 강정희, "제주방언 형태 변화 연구" 역락 2005
3 강정희, "제주방언 연구" 한남대학교 출판부 1988
4 우창현, "제주방언 보조용언의 문법 범주와 의미 해석" 한국어문학회 97 (97): 43-62, 2007
5 고영진, "제주도 방언의 회상법의 형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 in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1
6 고영진, "제주도 방언의 형용사에 나타나는 두 가지 「현재 시제」에 대하여 in 한글275" 2007
7 문숙영, "제주도 방언의 시상 형태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8
8 홍종림, "제주도 방언의 소위 회상법 형태에 대하여" 44 :
9 홍종림, "제주도 방언의 선어말어미 ‘크’에 대하여 in 김형규 교수 고희 기념 논총" 김형규교수고희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81
10 홍종림, "제주도 방언의 ‘암/엄, 암시/엄시, 안/언, 아시/어시’에 대하여" 김형규 교수 회갑 논총 1976
11 현평효, "제주도 방언 연구" 이우 출판사 1985
12 정승철, "제주도 방언 어미의 형태음소론" 20 : 1997
13 문숙영, "제주 방언의 현재시제 형태소에 대하여" 형태론 6 (6): 293-316, 2004
14 홍종림, "제주 방언의 양태와 상범주 연구" 성균관대학교 1991
15 홍종림, "제주 방언의 아스펙트 형태에 대하여" 98 :
16 홍종림, "제주 방언의 상체계 연구 in 김완진선생 회갑논총"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연구회 1991
17 우창현, "제주 방언의 상 연구" 서강대학교 1998
18 문순덕, "제주 방언 보조 용언의 통사·의미" 5 : 2000
19 김성화, "상의 겹침에 대한 해석" 경북대 국어교육연구회 24 : 1992
20 이승욱, "문법화의 단계와 형태소 형성" 37 : 2001
21 이수득, "국어의 상 해석 연구" 서강대학교 2002
22 이호승, "국어의 상 체계와 보조 용언의 상적 의미" 국어학회 38 : 2001
23 김성화, "국어의 상 연구(개정판)" 한신문화사 2003
24 김성화, "국어의 상 연구" 한신문화사 1992
25 허철구, "국어의 보조 동사 연구" 서강대학교 20 : 1991
26 이익섭,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2007
27 홍윤기, "국어 문장의 상적 의미 연구" 경희대학교 2002
28 이지량, "現代國語의 時相形態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82
29 남기심, "國語文法의 時制問題에 關한 硏究" 塔出版社 1981
30 한동완, "‘-어 있-’ 구성의 결합제약에 대하여" 2 (2): 2000
31 한동완, "‘-고 있-’ 구성의 중의성에 대하여" 5 : 1999
32 김지홍, "{겠}에 대응하는 {(으)크}에 대하여 in 제주도 언어 민속 논총" 제주도 언어 민속 논총 간행위원회 1992
33 Smith, Carlota, "The Parameter of Aspect(Ⅱ)"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9
34 Smith, Carlota, "The Parameter of Aspec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1
35 ?sten, Dahl, "Tense and Aspect System" Basil Blackwell 1985
36 Palmer, F. R., "Mood and Mod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37 Lee Kee Dong, "A Tense-Aspect-Modality System in Korean" 1 : 1981
『退溪集』 刊行 과정에서의 西厓 柳成龍의 役割 -退溪學派 내에서의 西厓 柳成龍의 位相 究明의 一端-
여말선초 음독구결문의 성립배경 -≪능엄경≫, ≪법화경≫, ≪육조대사 법보단경≫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7 | 0.972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