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39~1945년 경북 지역의노동력 강제동원 =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in Gyeongbuk Area from 1939 till 194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68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development of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in Chosun from 1939 till 1945 and the cases of it in Gyeongbuk area based on advanced research and also anticipate how follow-up research on compulsory labor mo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development of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in Chosun from 1939 till 1945 and the cases of it in Gyeongbuk area based on advanced research and also anticipate how follow-up research on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in Gyeongbuk area will be going on.
      After the 1930’s, Japan’s imperialistic invasion started genuinely, and a lot of human and materialistic resources failed to avoid its mobilization. Only with the recourses located in its own land, Japan could not manage to carry out the extended battle. Under its National Mobilization Law institutionalized in 1938, Japan performed human and materialistic exploitation in colonized Chosun from 1939 till 1945. Up to 8 million Chosun people including laborers, soldiers,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and comfort women were mobilized compulsorily then, and among them, over 7 million fall under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Afte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ts National Mobilization Law, Japan continued to add articles to it in order to conduct its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more favorably. Based on that, Japan developed its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on Chosun people in the forms of recruiting, public collection, and requisition. Particularly with the regulations of requisition added in 1944, Japan, in fact, included all Chosun adult males as the subjects of its compulsory mobilization, and the form of its mobilization became even more violent and coercive. At that time, Chosun people were compulsorily mobilized not just in Korea but in Japan, Sakhalin, or the South Sea Islands, too, and they had to go through the pain resulted from inhumane treatments such as labor management accompanied with poor labor environment and violence, wages lower than what was promised, and forced lengthening of the contract term. However, we still cannot figure out the scale or actual situation of the damage resulted from the compulsory mobilization clearly on account of the limited primary materials, Japanese government’s unwillingness to cooperate, lack of research manpower, and Korean government’s passive coping with it.
      Gyeongbuk area is regarded as one of the regions where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was performed the mo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 in figuring out the native places of the victims accurately due to the shortage of materials, the lists of the victims and the dead re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also Japanese government tell us that the most are reported in Gyeongbuk area. Research on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in Gyeongbuk area has been conducted mainly with the oral reports of the victims alive or resistant cases against the compulsory mobilization up until now. Oral data show us the inhumane aspects of the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vividly. Also, some of the resistant cases against the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are noticeable as they opposed to it systematically in Gyeongsan and Ando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1939~1945년 사이 진행된 조선인 노동력 강제동원의 전개 양상과 경북 지역의 노동력 강제동원 사례를 정리하고, 향후 진행될 경북 지역 노동력 강제동...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1939~1945년 사이 진행된 조선인 노동력 강제동원의 전개 양상과 경북 지역의 노동력 강제동원 사례를 정리하고, 향후 진행될 경북 지역 노동력 강제동원 연구·조사를 전망한 것이다.
      1930년대 이후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많은 인적·물적 자원이 동원되었다. 그러나 일본 본토의 자원만으로는 확대된 전선을 감당할 수가 없었다. 이에 1938년 제정된 국가총동원법에 의거하여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인적·물적 수탈이 식민지 조선에서 이루어졌다. 8백만 명에 달하는 조선인이 노무자, 군인, 군속, 위안부 등으로 강제동원 되었는데, 그 중 노동력 강제동원 인원만 7백만 명을 초과한다.
      일본은 국가총동원법 제정 이후 원활한 노동력 강제동원을 위해 추가로 각종 법적 조항을 제정해 나갔다. 이에 따라 조선인에 대한 노동력 강제동원은 모집, 관알선, 징용의 형태로 전개되었다. 특히 1944년 확대된 국민징용령은 사실상 모든 조선인 성인 남성을 강제동원의 대상으로 포함시키는 것으로, 동원의 형태도 한층 더 폭력적이고 강압적이었다. 이때 조선인들은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 사할린, 남양군도 등으로 강제동원 되었으며, 열악한 노동 환경, 폭력이 동반된 노무관리, 약속보다 적은 임금, 그리고 계약 기간 연장 강요 등 반인륜적 대우에 고통을 겪어야 했다. 하지만 1차 자료의 한계와 일본 정부의 비협조, 연구 인력의 부족, 그리고 우리 정부의 소극적인 대응으로 인해 강제동원의 피해 규모와 실상을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북 지역은 일제강점기 가장 많은 노동력 강제동원이 이루어졌던 지역 중 하나로 판단된다. 자료의 한계 때문에 피해자의 출신지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지만, 우리 정부와 일본 정부가 작성한 피해자 신고 명부, 사망자 명부 등을 살펴보면 대체로 경북 지역에서 가장 많은 피해자가 보고되었음이 나타난다. 그간 경북 지역의 노동력 강제동원에 대한 연구·조사는 생존 피해자들의 구술, 강제동원에 저항한 사례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구술 자료는 노동력 강제동원의 반인륜적 실상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노동력 강제동원에 대한 저항 사례 중에서는 경산과 안동에서 전개된 조직적인 대응이 주목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승제, "한국이민사연구" 장문각 1973

      2 안자코유카, "총동원체제하 조선인 노동력 ‘강제동원’ 정책의 전개" 고려사학회 14 : 10-348, 2003

      3 권대웅, "청도의 독립운동사" 청도군 2010

      4 김대상, "일제하 강제인력수탈사" 정음사 1975

      5 허수열, "일제의 한국식민통치" 정음사 1985

      6 강필구, "일제의 전시체제기 조선인 강제동원 실태분석 : 대구광역시 강제동원 피해신고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7 김민영, "일제의 노동력수탈 연구" 한울아카데미 1995

      8 권영배, "일제말 전시체제하 중등학교의 동원과 저항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40) : 355-389, 2008

      9 곽건홍, "일제강점기 ‘강제동원・강제노동’문제 청산의 현재적 과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4 : 2003

      10 정혜경, "일본 ‘제국’과 조선인 노무자 공출-조선인 강제연행・강제노동 연구Ⅱ" 선인 2011

      1 고승제, "한국이민사연구" 장문각 1973

      2 안자코유카, "총동원체제하 조선인 노동력 ‘강제동원’ 정책의 전개" 고려사학회 14 : 10-348, 2003

      3 권대웅, "청도의 독립운동사" 청도군 2010

      4 김대상, "일제하 강제인력수탈사" 정음사 1975

      5 허수열, "일제의 한국식민통치" 정음사 1985

      6 강필구, "일제의 전시체제기 조선인 강제동원 실태분석 : 대구광역시 강제동원 피해신고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7 김민영, "일제의 노동력수탈 연구" 한울아카데미 1995

      8 권영배, "일제말 전시체제하 중등학교의 동원과 저항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40) : 355-389, 2008

      9 곽건홍, "일제강점기 ‘강제동원・강제노동’문제 청산의 현재적 과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4 : 2003

      10 정혜경, "일본 ‘제국’과 조선인 노무자 공출-조선인 강제연행・강제노동 연구Ⅱ" 선인 2011

      11 "국가기록원 일제 강제동원자명부"

      12 김민영,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조사 및 인원 추정, 2003년도 일제하 피강제동원 등 실태조사 보고서" 정신문화연구원 2003

      13 박경식, "朝鮮人强制連行の記錄" 未來社 1965

      14 정혜경, "日帝末期 慶北지역 出身 强制動員 勞務者들의 抵抗" 한일민족문제학회 (25) : 79-136, 2013

      15 郭健弘, "日帝下 朝鮮의 戰時 勞動政策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9

      16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및국외강제동원희생자등지원위원회, "2012국내외 관계자 초청 워크숍 자료집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진상규명의 향후 과제" 선인 2012

      17 이상의, "1930~40년대 일제의 조선인노동력 동원체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97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