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문 제시 방식에 따른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차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321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국어과 교육과정은 주로 읽기에 의한 독해와 그에 대한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 등으로 실현된다. 그러나 종이책 뿐만 아니라 소리책(오디오북)도 상용화 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이에 따라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에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2021 국민 독서실태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이후 독서 생활은 성인보다 학생에게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생의 경우 코로나19 발생 이후 독서 생활 변화는 오디오북을 듣는 시간의 경우 감소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인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종이책보다는 전자책과 웹소설, 오디오북을 더 높은 비율로 이용한다. 실제 현실에서는 ‘듣기’의 방식으로 많은 정보가 전해지고 있는 것이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교육 내용이 현재와 같이 읽기라는 지문 제시 방식을 통해서만 전해진다면, 교육 내용과 학생들이 경험하는 실제 현실과의 괴리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문 제시 방식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차이에 대한 분석은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 있는 교육 내용의 전달 방식과 현실 간의 괴리를 드러낼 수 있으며, 교육 내용을 전달하는 새로운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해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 지문 제시 방식에 따른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에 대한 측정은 지문 제시 방식에 따른, 특정 방식으로 지문을 반복적으로 제시하는 횟수에 따른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추측하는 방식이므로 학생들이 읽기에 얼마나 익숙해져 있으며 시각적인 효과가 없는 듣기에는 얼마나 집중도를 보일 수 있는지 가늠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듣기 교육에 대한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도 환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 천안시와 전북 군산시의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과 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 충남 천안시의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24명을 대상으로 지문 제시 방식에 따른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 정도에 대한 측정을 진행하였다. 검사지의 지문은 국어 교사 3인의 합의를 통해 서사문 3종과 설명문 3종을 활용하고 문항 유형을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2가지로 분류하였으며, 검사 문항은 2가지 문항 유형을 6문항씩 제작하여 구성하였다. 또 검사지의 음성 지문은 4년 이상 경력의 국어교사의 실제 음성으로 녹음된 파일을 사용하였다. 이 지문을 또 다른 국어 교사 4인이 평가자 훈련을 거쳐 학생들의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통해 문자 지문과 음성 지문에 대한 학생들의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 정도의 점수를 매겨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의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대부분 음성 지문보다는 문자 지문에 대한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성 지문을 1회 듣고 문제를 풀 때보다 음성 지문을 2회 듣고 문제를 풀 때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음성 지문을 듣고 문제를 풀 경우, 음성 지문을 들은 횟수에 관계없이 사실적 이해보다 추론적 이해에 대한 정답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년별, 학교급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고학년이더라도,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더라도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아니다. 다섯째,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에서 특정 성별이 일관적으로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아니다.
      이 연구는 연구 대상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다른 읽기 과제가 학생들에게 제시될 경우 또 다른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하지만 제시 방식이 다른, 동일한 정보에 대한 학생들의 수용 능력과 이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기존에 오디오북을 교육 방법과 연계하는 연구의 비중이 매우 적었고, 그렇기 때문에 국어과 교수 학습에서 내용 전달 방법을 다양하게 하는 것과 기존의 읽기 교육 방법을 듣기 교육과 연계하는 것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현실의 흐름을 고려한 듣기 교육이 어느 정도 필요함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듣기를 교육 방법으로 활용하여 교수 학습을 실행하였을 때의 효과성에 대해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국어과 교육과정은 주로 읽기에 의한 독해와 그에 대한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 등으로 실현된다. 그러나 종이책 뿐만 아니라 소리책(오디오북)도 ...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국어과 교육과정은 주로 읽기에 의한 독해와 그에 대한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 등으로 실현된다. 그러나 종이책 뿐만 아니라 소리책(오디오북)도 상용화 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이에 따라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에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2021 국민 독서실태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이후 독서 생활은 성인보다 학생에게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생의 경우 코로나19 발생 이후 독서 생활 변화는 오디오북을 듣는 시간의 경우 감소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인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종이책보다는 전자책과 웹소설, 오디오북을 더 높은 비율로 이용한다. 실제 현실에서는 ‘듣기’의 방식으로 많은 정보가 전해지고 있는 것이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교육 내용이 현재와 같이 읽기라는 지문 제시 방식을 통해서만 전해진다면, 교육 내용과 학생들이 경험하는 실제 현실과의 괴리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문 제시 방식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차이에 대한 분석은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 있는 교육 내용의 전달 방식과 현실 간의 괴리를 드러낼 수 있으며, 교육 내용을 전달하는 새로운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해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 지문 제시 방식에 따른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에 대한 측정은 지문 제시 방식에 따른, 특정 방식으로 지문을 반복적으로 제시하는 횟수에 따른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추측하는 방식이므로 학생들이 읽기에 얼마나 익숙해져 있으며 시각적인 효과가 없는 듣기에는 얼마나 집중도를 보일 수 있는지 가늠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듣기 교육에 대한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도 환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 천안시와 전북 군산시의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과 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 충남 천안시의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24명을 대상으로 지문 제시 방식에 따른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 정도에 대한 측정을 진행하였다. 검사지의 지문은 국어 교사 3인의 합의를 통해 서사문 3종과 설명문 3종을 활용하고 문항 유형을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2가지로 분류하였으며, 검사 문항은 2가지 문항 유형을 6문항씩 제작하여 구성하였다. 또 검사지의 음성 지문은 4년 이상 경력의 국어교사의 실제 음성으로 녹음된 파일을 사용하였다. 이 지문을 또 다른 국어 교사 4인이 평가자 훈련을 거쳐 학생들의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통해 문자 지문과 음성 지문에 대한 학생들의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 정도의 점수를 매겨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의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대부분 음성 지문보다는 문자 지문에 대한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성 지문을 1회 듣고 문제를 풀 때보다 음성 지문을 2회 듣고 문제를 풀 때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음성 지문을 듣고 문제를 풀 경우, 음성 지문을 들은 횟수에 관계없이 사실적 이해보다 추론적 이해에 대한 정답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년별, 학교급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고학년이더라도,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더라도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아니다. 다섯째,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에서 특정 성별이 일관적으로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아니다.
      이 연구는 연구 대상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다른 읽기 과제가 학생들에게 제시될 경우 또 다른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하지만 제시 방식이 다른, 동일한 정보에 대한 학생들의 수용 능력과 이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기존에 오디오북을 교육 방법과 연계하는 연구의 비중이 매우 적었고, 그렇기 때문에 국어과 교수 학습에서 내용 전달 방법을 다양하게 하는 것과 기존의 읽기 교육 방법을 듣기 교육과 연계하는 것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현실의 흐름을 고려한 듣기 교육이 어느 정도 필요함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듣기를 교육 방법으로 활용하여 교수 학습을 실행하였을 때의 효과성에 대해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선행 연구 검토 3
      • 3. 연구 문제 및 제한점 13
      • Ⅱ. 이론적 배경 18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선행 연구 검토 3
      • 3. 연구 문제 및 제한점 13
      • Ⅱ. 이론적 배경 18
      • 1. 독서 환경의 변화 18
      • 2. 읽기 기능과 듣기 기능 26
      • 3. 독서 환경의 변화와 국어과 교수 학습의 연계 30
      • Ⅲ. 연구 방법 39
      • 1. 연구 대상 39
      • 2. 검사도구 40
      • 3. 연구 설계 및 절차 44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8
      • 1.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기술 통계 48
      • 2. 사실적 이해의 차이 51
      • 3. 추론적 이해의 차이 61
      • 4. 결과에 대한 교육적 논의 71
      • Ⅴ. 결론 75
      • 참고 문헌 81
      • ABSTARACT 87
      • 부록 차례 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