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별아, "논개", 문이당, 2007
2 김수업, "논개", 지식산업사, 2001
3 임진록, 임철호, "연구", 정음사, 1986
4 김지연, "소설 논개", 정은출판, 2017
5 정경운, "“기억의 시학”", 어문논총 26집,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4
6 최문규, "『기억과 망각』", 책세상, 2003
7 정두희, "임진왜란과 전라도", 전주역사박물관 전주시, 2012
8 박노자, "“의기 논개 전승”", 한국열상고전연구 25권 25호, 한국열상고전 연구회, 2007
9 서신혜, "나라가 버린 사람들", 문학동네, 2014
10 최호근, "“집단기억과 역사”", 역사교육 85, 역사교육연구회, 2003
11 유목화, "“남원 춘향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2 노에, "게이치, 이야기의 철학",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09
13 김광수, 이강화, "“역사에서 기억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 문지 8월 4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14 정동주, "“진주성 전투와 논개”", 남명학 연구 vol.7, 경상대학교 남명학연 구소, 1997
15 윤미애, "「매체와 문화적 기억」", 독일어문화권연구 제11집,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02
16 김세곤, "임진왜란과 호남 사람들 2", 온새미로, 2013
17 강대민, "“論介의 순국정신 조명”", 문화전통논집 vol 8, 경성대학교 한국 학연구소, 2000
18 백현미, "“창극 <논개> 연행 양상”", 공연문화정보 4권, 한국공연문화학 회, 2002
19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20 한양명, "“축제전통의 수용과 변용”", 실천민속학연구 1, 실천민속학회, 1999
21 이경순, 정두희,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2007
22 윤성효, "“논개를 욕되게 하지 말라”", 인물과 사상 5월호, 인물과 사상 사, 1999
23 김영범, "「알박스의 기억사회학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6집 제3호, 사회 과학회, 1999
24 김규원, "“일본올 떠도는 논개의 혼령”", 한겨레21, 년 12월 17일 제 237호, 1998
25 김광식, 한용운, "민족사상의 연원, 한국선학 vol.31", 한국선학회, 2012
26 홍성흡, "“역사마을 만들기의 지역정치”", 호남문화연구 vol 28, 전남대학 교 호남문화연구소, 2001
27 이지영, "“한국 현대시의 역사의식 연구”", 한국말글학 30권, 한국말글학 회, 2013
28 김학이, "「얀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서양사연구제33집, 한국서양 사 연구회, 2005
29 임형수, "“춘향담론의 연극화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8
30 차철욱, "“진주지역 논개 재현방식의 다양성”", 지역과 역사 vol 31, 부경 역사연구소, 2012
31 이순자, "“論介 祠堂의 影幀服飾에 關한 硏究”", 복식문화연구 제10권 4 호, 복식문화학회, 2002
32 신익철, "“어우야담의 창작 정신과 서사 방식”", 고전문학연구 12권, 한국 고전문학회, 1997
33 하강진, "“진주 촉석루 제영시의 제재적 성격”", 한국문학논총 vol 50, 한 국문학회, 2008
34 박기용, "“논개 설화의 서사 전개 양상과 의미”", 우리말글 32호, 우리말 글학회, 2004
35 이정덕, "“지역축제가 지역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문화관광연구 제5권, 2003
36 (사)의암주논개정신선양회, "“길 따라 찾아가는 의암 주논개의 발자취”", (사)의암주논개정신선양회, 2011
37 오경환, "“집단기억과 역사 :집단기억의 역사적 적용”", 아태 쟁점과 연구 2권 3호,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2007
38 표인주, "“광주 전남 지역 축제의 분석과 창조적 계승”", 호남문화연구 37집, 호남문화연구소, 2005
39 이양숙, "“해방기 문학 비평에 나타난 ‘기억’의 정치학”", 한국현대문 학연구 28권, 한국현대문학회, 2009
40 이경복, "“진주기와 논개의 후예들 :진주 권번을 중심으로”", 전통문화연 구 vol 2, 명지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984
41 임재해, "“한국 축제 전통의 지속 양상과 축제성의 재인식”", 비교민속학 42권, 비교민속학회, 2010
42 정지영, "“‘논개’와 ‘계월향’의 죽음을 다시 기억하기”", 한국 여성 학 23, 한국여성학회, 2007
43 오세인, "“변영로 시 연구 -‘관념’과 ‘감각’을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3,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3
44 이진우, "“담론이란 무엇인가? -담론개념에 관한 학제간 연구”", 철학 연구 제56집, 대한철학회, 1996
45 신익철, "“어우야담의 서사방식과 초기 야담집으로서의 특성”", 정신문화 연구 33(3),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46 이혜경, "“한용운 시 연구 : 창작방법과 시적 가치를 중심으로”", 한남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7 노성환, "“논개와 로쿠스케 – 후쿠오카의 보수원을 중심으로-”", 일본언어 문화 제14호, null
48 전진성, "“기억과 역사: 새로운 역사 문화이론의 정립을 위하여”", 한국사 학사학보 8, 한국사학사학회, 2003
49 이미정, "“기억의 정치학과 해방 이후 한국 문단 형성 과정 연구”", 문화 와 융합 vol 39,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50 노영미, "“어우야담 연구 – 이본 고찰과 서사적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51 정지영, "“임진왜란 이후의 여성교육과 새로운 ‘충(忠)’의 등장”", 국학 연구 제18집, 한국국학진흥원, 2011
52 박희영, 조승구, "“현대 건축에서 기념비성을 통한 지역성 재현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53 표인주, "“서사문학 인물을 이용한 곡성의 상징성과 정체성 형성 과정 고 찰”", 한국민속학 44, 한국민속학회, 2006
54 고원규, "“축제와 지역정체성의 재구성 - ‘예술축제’에서 ‘관광축제’ 로”", 실천민속학연구 17, 실천민속학회, 2011
55 윤택림, "“기억에서 역사로 –구술사의 이론적, 방법론적 쟁점들에 대한 고 찰”", 한국문화인류학 제25집, 한국문화인류학회, 1992
56 안미현, "“문화적 기억과 기억의 수사 – 기억 형식으로서의 묘비시를 중 심으로”", 수사 학 12, 한국수사학회, 2010
57 최명환, "“현대의 지역축제와 전설 : 강원도 영월지역의 ‘단종제’를 중 심으로”", 구비문학연구 vol 16, 한국구비문학회, 2003
58 김신정, "“국어교과서와 기억의 구성 –해방기에서 전후의 중등 국어 교과 서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40권,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59 한성훈, "“기념물을 둘러싼 기억의 정치와 집단 정체성 – 거창사건의 위 령비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vol 78, 한국사회사학회, 2008
60 박경수, "“구비문학과 문예창작 –현대시에서의 아리랑과 논개 이야기의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연구 23권, 한국구비문학회, 2006
61 박경수, "“구비설화의 현대시 수용 양상 연구 – 서정주 시의 여성인물 설화 수용을 중심으로”", 배달말 vol 47, 배달말학회, 2010
62 박균섭, "“논개에 대한 일본식 기념행태 비판 –제2, 제3의 기념행태 비판 적 검토를 위한 시론”", 한국일본학회 학술대회, 한국일본학회, 2014
63 정출헌, "“임진왜란을 기억하는 두 개의 방식 – 사실의 기억 또는 기억의 서사, 漢文學報 第21輯", 우리한문학회, 2009
64 한규무, "“조선시대 여인상에 대한 오해와 편견 : 황진이 어우동 논개 그 리고 맹모를 중심으로”", 인간 연구 vol 9,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5
65 정출헌, "“<향랑전>을 통해 본 열녀 탄생의 메카니즘 – 선산지방(善山地 方)의 향낭(香娘,)이 ‘국가 열녀’로 환생하기까지의 보고서”", 한국고전 여성문학연구 3권,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