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목적은 인권 감수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 개발된 도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인권 감수성 측정 도구의 의미와 한계를 주지하고 인권교육의 여러 문제를 명료화하는 것이다. 먼저, 인권 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66858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9-175(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목적은 인권 감수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 개발된 도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인권 감수성 측정 도구의 의미와 한계를 주지하고 인권교육의 여러 문제를 명료화하는 것이다. 먼저, 인권 감...
연구의 목적은 인권 감수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 개발된 도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인권 감수성 측정 도구의 의미와 한계를 주지하고 인권교육의 여러 문제를 명료화하는 것이다. 먼저, 인권 감수성은 인권의 하위 개념으로 협소하게 설정된 측정 영역이지만 최근 들어 이 용어가 인권의식이라는 용어를 대체하여 사용됨에 따라 개념상의 혼란을 일으키므로 인권교육이 목표로 하는 개인의 인권 역량과 자질이 무엇인지에 관한 체계적 접근이 요구된다. 또한, 인권의 절대성을 강조하는 척도는 인권이 구성적 발명품이며 역사적으로 변화, 발전해왔다는 인식과도 전면적으로 상치되어 인권의 존재론적 쟁점을 경시한다. 마지막으로, 척도 문항 채점에서 구체적 인권 이슈에 관한 단선의 규정적 접근은 논쟁성을 띠는 사회 현실을 무시할 뿐만 아니라 인권에 대한 근원적 동의와 인권을 구현하는 방식에 관한 세부적 비동의를 구별하지 못하는 타당성 문제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problems of human rights education as well as to inform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measurement tools. First, human rights sensitivity is a sub-component of behavior ability defe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problems of human rights education as well as to inform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measurement tools. First, human rights sensitivity is a sub-component of behavior ability defending for human rights, but recently, this term has been used to replace the term human rights awareness, causing conceptual confusion. Therefore, a systematic approach is required to what individual human rights competencies are and human rights education aims for. In addition, the measure emphasizing the absoluteness of human rights is completely inconsistent with the perception that human rights are constructive inventions and have historically changed and developed, belittling the ontological issue for human rights. Finally, the single-line prescriptive approach to specific human rights issues in scoring scale questions not only ignores controversial social reality but also fails to distinguish between fundamental consent to human rights and detailed disagreement on how to implement human righ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희, "초중등학교 인권교육 및 인권의식 조사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8
2 조일수, "체계적 인권교육을 위한 도덕과 교육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18) : 131-148, 2004
3 박혜숙, "중고생 대상 인권감수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443-469, 2018
4 박상준, "인권의식의 연구 동향과 과제"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32 (32): 239-253, 2018
5 조효제, "인권의 최전선" 교양인 2022
6 조효제, "인권의 지평 : 새로운 인권 이론을 위한 밑그림" 후마니타스 2016
7 Hunt, L. A., "인권의 발명" 교유서가 2022
8 Talbott, W. J., "인권의 발견" 한길사 2011
9 조효제, "인권의 문법" 후마니타스 2007
10 구정우, "인권도 차별이 되나요?" 북스톤 2019
1 김진희, "초중등학교 인권교육 및 인권의식 조사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8
2 조일수, "체계적 인권교육을 위한 도덕과 교육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18) : 131-148, 2004
3 박혜숙, "중고생 대상 인권감수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443-469, 2018
4 박상준, "인권의식의 연구 동향과 과제"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32 (32): 239-253, 2018
5 조효제, "인권의 최전선" 교양인 2022
6 조효제, "인권의 지평 : 새로운 인권 이론을 위한 밑그림" 후마니타스 2016
7 Hunt, L. A., "인권의 발명" 교유서가 2022
8 Talbott, W. J., "인권의 발견" 한길사 2011
9 조효제, "인권의 문법" 후마니타스 2007
10 구정우, "인권도 차별이 되나요?" 북스톤 2019
11 인권교육센터, "인권교육 새로고침" 교육공동체벗 2021
12 문용린, "인권감수성 지표 개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3
13 구정우 ; 남윤창 ; 황태희, "인권감수성 예측모형 구축: 데이터마이닝 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5 (35): 53-110, 2018
14 "인권 감수성 테스트"
15 최현, "인권" 책세상 2017
16 문미희, "예비교사를 위한 인권의식 함양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Rest의 도덕성의 4구성요소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341-362, 2006
17 한경 경제용어사전, "성인지 감수성"
18 시사상식사전, "성인지 감수성"
19 국가인권위원회, "사형제도는 생명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므로 폐지해야"
20 Chazan, B. I., "도덕교육의 철학" 서광사 2005
21 황인표, "도덕과 교육과 인권교육의 적정화 방안"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 : 195-217, 2005
22 심태은 ; 이송이, "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수준과 인권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352-360, 2018
23 박혜숙 ; 양상희, "대학생 대상 인권감수성 척도 타당화 및 관련 변인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소 (56) : 33-58, 2017
24 심성보, "교사의 인권의식 조사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2
25 정창우, "고등학교 통합사회" 미래엔 2018
26 SBS뉴스, "‘칭찬 스티커가 아동학대라고요?’…교사들 ‘한숨’"
27 한국경제, "‘양심의 자유 침해’…교권침해 학생에 반성문 강요 못한다"
28 SEP, "Human Rights"
29 Volker, J. M., "Counseling Experience, Moral Judgment, Awareness of Consequences and Moral Sensitivity in Counseling Practice" University of Minnesota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