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한국사회 교육열의 동인, 유산, 승화방안에 대한 탐색적 고찰 = An Exploratory Study of the Major Drivers, Legacies, and Sublimation of Education Fever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6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major drivers of education fever in Korea, along with its positive and negative legacies, and discuss ways to harness education fever as a force for public good. The results show that the major drivers can be categor...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major drivers of education fever in Korea, along with its positive and negative legacies, and discuss ways to harness education fever as a force for public good. The results show that the major drivers can be categorized as either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r social structural factors.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 pervasive anxiety, desires for upward mobility, obsession with saving face, utilitarian familism, herding behavior, egalitarianism, humanistic Confucian values, and nepotism. On the other hand, social structural factors include limited opportunity structure,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hereditary-status hierarchy, low fertility, meritocracy, credentialism, educational homogamy, and labor market practices. These two types of f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closely, and affect the formation and strengthening of education fever in various ways. Also, it has been discovered that pervasive anxiety, as a result of conflict between the desires for upward mobility and limited opportunity structure, lies at the heart of education fever in Korean society. Such an anxiety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Korea's past social and economical development, but has also given rise to numerous social ills. In the future, in order to truly utilize the power of education fever, we need to redirect it in a more positive dire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사회 교육열의 주요 동인들을 학제적으로 분석하고, 교육열이 한국사회에 남긴 긍정적, 부정적 유산을 살펴본 후에, 그것의 승화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에 ...

      본 연구는 한국사회 교육열의 주요 동인들을 학제적으로 분석하고, 교육열이 한국사회에 남긴 긍정적, 부정적 유산을 살펴본 후에, 그것의 승화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교육열의 주요 동인들은 크게 사회심리학적 요인과 사회구조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심리학적 요인에는 불안의 미만, 상승 열망, 체면 중시 성향, 공리적 가족주의, 집단추종, 평등주의, 숭문주의, 연줄의식 등이 있고, 사회구조적 요인으로는 제한적 기회구조, 전통적 계급체제의 붕괴, 저출산, 능력주의, 학력주의, 교육적 동질혼, 노동시장 관행 등을 들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상호 유기적 연계성을 갖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교육열의 형성,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한국사회 교육열의 기저에는 상승 열망과 제한적 기회구조의 충돌이 야기하는 불안의 미만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불안의 미만을 바탕으로 발산된 교육열은 우리 국민이 기대 이상의 사회적, 경제적 성취를 거두는 데 기여했지만, 숱한 사회문제를 유발한 측면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앞으로도 한국사회의 교육열이 소중한 사회적 자산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좀 더 생산적인 방향에서 발산될 수 있도록 적절한 방향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태림, "한국인의 성격" 동방도서 1964

      2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현암사 1994

      3 박남기, "한국인의 교육열 이해를 위한 대안적 관점" 32 (32): 185-206, 1994

      4 김영화, "한국인의 교육열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3

      5 정재기, "한국의 가족 및 친족간의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의 양상: 국제간 비교의 맥락에서" 30 (30): 157-178, 2007

      6 김경근, "한국에서의 교육수요 결정의 사회적 기제" 1 (1): 8-2, 1998

      7 김미숙, "한국아동의 주관적 웰빙수준과 정책과제" 220 : 14-26, 2015

      8 김경근, "한국사회의 인구학적 변동과 그 배경: 경제발전과 교육열의 영향을 중심으로" 6 (6): 33-50, 1996

      9 박현준, "한국사회의 교육적 동질혼 분석: 1966~2010"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113-139, 2012

      10 오욱환, "한국사회의 교육열: 기원과 심화" 교육과학사 2000

      1 윤태림, "한국인의 성격" 동방도서 1964

      2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현암사 1994

      3 박남기, "한국인의 교육열 이해를 위한 대안적 관점" 32 (32): 185-206, 1994

      4 김영화, "한국인의 교육열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3

      5 정재기, "한국의 가족 및 친족간의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의 양상: 국제간 비교의 맥락에서" 30 (30): 157-178, 2007

      6 김경근, "한국에서의 교육수요 결정의 사회적 기제" 1 (1): 8-2, 1998

      7 김미숙, "한국아동의 주관적 웰빙수준과 정책과제" 220 : 14-26, 2015

      8 김경근, "한국사회의 인구학적 변동과 그 배경: 경제발전과 교육열의 영향을 중심으로" 6 (6): 33-50, 1996

      9 박현준, "한국사회의 교육적 동질혼 분석: 1966~2010"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113-139, 2012

      10 오욱환, "한국사회의 교육열: 기원과 심화" 교육과학사 2000

      11 김경동, "한국사회변동론" 나남출판 1993

      12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13 김경근, "한국 중등교육의 수월성과 평등성의 조화를 위한 과제" 한국교육학회 44 (44): 1-21, 2006

      14 김경근, "한국 사회의 교육열과 청년실업" 한국교육학회 41 (41): 87-105, 2003

      15 김선업, "오늘의 한국사회" 나남출판 169-190, 1993

      16 경향신문, "영·유아 사교육비 확 늘었다 2015.4.22"

      17 김경근, "서울시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영향요인 및 그 함의"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1-29, 2014

      18 한규석,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09

      19 교육부 보도자료, "사교육비‧의식조사 결과 발표 2015.2.26"

      20 김안나, "사교육, 교육만의 문제인가?: 복지국가의 위험 분담과 사교육 선택의 대응 원리"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29-50, 2015

      21 채창균, "사교육 경쟁 바람직한가?: 사교육 무한경쟁과 교육생산성" 73 : 59-90, 2008

      22 김희삼, "비교성향의 명암과 시사점" 44 : 1-8, 2014

      23 성열관, "메리토크라시에서 데모크라시로: 마이클 영(Michael Young)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3 (53): 55-79, 2015

      24 미야지마 히로시, "나의 한국사 공부: 한국사의 새로운 이해를 찾아서" 너머북스 2013

      25 권대원, "그 많은 똑똑한 아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지식프레임 2015

      26 현대경제연구원, "국내 가구의 교육비 지출구조 분석" 502 : 1-11, 2012

      27 이종각, "교육열의 운동법칙과 결합법칙" 한국교육사회학회 12 (12): 173-192, 2002

      28 이종각, "교육열 올바로 보기" 도서출판 원미사 2003

      29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교과부, 인성교육 설문조사 결과 발표 2012.9.3"

      30 한영우, "과거, 출세의 사다리 4: 족보를 통해 본 조선 문과급제자의 신분이동" 지식산업사 2014

      31 김경근, "경제의 교육발전에 대한 기여와 전망" 6 (6): 115-148, 1997

      32 Young, M, "The rise of the meritocracy" Transaction 1958

      33 Sorensen, C. W, "Success and education in South Korea" 38 (38): 10-35, 1994

      34 Coleman, J.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94 : S95-S120, 1988

      35 Caplan, B, "Selfish reasons to have more kids" Basic Books 2011

      36 OECD, "OECD at a glance"

      37 Lynn, R, "National IQs calculated and validated for 108 nations" 38 : 353-360, 2010

      38 Seth, M. J, "Education fever: Society, politics, and pursuit of schooling in South Kore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

      39 염유식, "2014년도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조사결과보고서" 한국방정환재단 2014

      40 김승권, "2012년 전국 출산력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