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한국어 교사 현황과 재교육 방안 년 중한 수교 이후 양국은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교1992 , , , 류를 계속하여 큰 진전을 이루었다 특히 문화 분야에서 한류의 영향력이 , .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85767
충주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4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 한국언어문화학과(GLOCAL)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2024. 8
2024
한국어
충청북도
84 ; 26 cm
지도교수: 허원기
I804:11004-20000079788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의 한국어 교사 현황과 재교육 방안 년 중한 수교 이후 양국은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교1992 , , , 류를 계속하여 큰 진전을 이루었다 특히 문화 분야에서 한류의 영향력이 , . ...
중국의 한국어 교사 현황과 재교육 방안 년 중한 수교 이후 양국은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교1992 , , , 류를 계속하여 큰 진전을 이루었다 특히 문화 분야에서 한류의 영향력이 , . 빠르게 증가하여 한국어의 중국 내 보급과 교육 발전을 촉진했다 중국에. 서 한국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중국 , 학생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 따라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사들은 여러 가지 문제와 도전에 직면하고 ,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사들은 전문성이 여. 전히 부족하며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 . , 중국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중국 한국어교육 조건에 맞는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교사에게 . 적용할 수 있는 일반 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교사들이 직면하고 있, 는 다양한 상황을 고려했다. 제 장은 서론으로서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표를 설명하고 기존 연구를 1 검토했다. 제 장은 이론적 배경을 탐구했다 우수한 교사 그룹을 양성하기 위해서2 . 는 교사의 전문 분야 학위 수준 교사 자질 및 교사 능력에 대한 정의를 , , 정리해 보았다. 제 장에서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교육과 한국어 교사의 현황을 조사했3 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교사의 학위 수준과 전문 분야 외국인 교사와 비. , 원어민 교사의 비율 직위와 학술 연구 현황 그리고 교사의 한국 유학 경, , 험 등 여섯 가지 측면에서 분석했다 먼저 학위 수준은 대부분 교사가 박. , 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러나 전문 분야에서는 한국어 교사의 전공이 언어. 와 문학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정치 경제 또는 인문 분야를 전공한 교, , 사는 거의 없었다 다음으로 외국인 교사의 수가 비원어민 교사보다 적었. , 으며 많은 유명 대학에서 외국인 교사가 한 명뿐이거나 전혀 없는 사례, 가 있었다. 제 장에서는 제 장에서 설명한 현황과 제 장의 수요 분석 결과를 바탕4 2 3 으로 하여 중국 한국어 교사의 재교육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검토하고 중, , 국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했다. 중국 대학의 교사 전문성은 여전히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는 다양한 , 변수가 존재한다 따라서 중국어 교사의 자질 및 재교육 내용과 요구를 .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교육 방안을 설계했다 개발 목표와 기본 원리. 를 명확히 한 후 일반형 재교육 방안과 맞춤형 강화 프로젝트의 개요를 , 제시하고 각 분야 및 세부 과목별로 분류하여 그 구성 요소를 자세히 설, 명했으며 교육 비중과 교육 방식을 설정했다, . 마지막으로 제 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 5 , 결론과 한계점을 제시했으며 남은 연구의 과제를 서술했다, . 주제어 한류 문화 교류 한국어 교사 교사 수준 한국어교육 현황 재교육 방안: , , , , ,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