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고등학생용 창의융합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Tes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184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의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구성요인을 검증하고 통합적 관점에서 중등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창의융합역량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기반으로 중고등학생의 창의융합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한 후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 지역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고등학생이었다. 설문조사 결과로 수집된 데이터는 통계처리를 위해 SPSS WIN 25.0 및 AMOS WIN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표본의 적합성 여부는 KMO로 확인하였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992명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KMO의 표본 적절성 수치를 살펴보면서 표본의 상관행렬 크기가 요인분석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Bartlett의 구형성 검증결과 스크리 도표를 고려하여 요인구조를 분석하고, 주성분 분석 및 배리맥스(varimax)를 이용한 직교회전방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서 1,552명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를 기반하여 최대우도법과 자료의 결측값 추정을 위해 FIML(full-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을 활용하였고, CFI=.969, TLI=.963, IFI=.969, NFI=.958, RMSEA=.041 값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중∙고등학생용 창의융합역량 검사도구는 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 창의적리더십, 융합적 사고, 융합적 가치 창출이라는 5개의 요인별 각 4개의 문항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도구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인된 검사로 개발 및 타당화되었다. 이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중∙고등학교뿐만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청소년을 위한 평생교육에 이르기까지 창의융합인재 양성 목적의 검사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의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구성요인을 검증하고 통합적 관점에서 중등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창의융합역량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의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구성요인을 검증하고 통합적 관점에서 중등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창의융합역량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기반으로 중고등학생의 창의융합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한 후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 지역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고등학생이었다. 설문조사 결과로 수집된 데이터는 통계처리를 위해 SPSS WIN 25.0 및 AMOS WIN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표본의 적합성 여부는 KMO로 확인하였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992명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KMO의 표본 적절성 수치를 살펴보면서 표본의 상관행렬 크기가 요인분석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Bartlett의 구형성 검증결과 스크리 도표를 고려하여 요인구조를 분석하고, 주성분 분석 및 배리맥스(varimax)를 이용한 직교회전방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서 1,552명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를 기반하여 최대우도법과 자료의 결측값 추정을 위해 FIML(full-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을 활용하였고, CFI=.969, TLI=.963, IFI=.969, NFI=.958, RMSEA=.041 값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중∙고등학생용 창의융합역량 검사도구는 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 창의적리더십, 융합적 사고, 융합적 가치 창출이라는 5개의 요인별 각 4개의 문항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도구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인된 검사로 개발 및 타당화되었다. 이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중∙고등학교뿐만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청소년을 위한 평생교육에 이르기까지 창의융합인재 양성 목적의 검사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components of th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test that can be used in secondary educat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o this end, the concept of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def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fter deriving the components, various experts checked the content validity.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Gangwon-do, Gyeongsang-do, Jeolla-do, and Jeju. The collected data were SPSS Win 25.0 and AMOS Win 22.0 programs, and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KMO checked the suitability of the sample, and the Bartlett sphericity test was conduct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hecked whether the size of the correlation matrix of the sample was suitable for factor analysis by examining the sample adequacy value of KMO (Kaiser-Meyer-Olkin) using the data of 992 students. The factor structure was analyzed considering Bartlett's sphericity verification and scree plot. The orthogonal rotation metho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was implement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aximum likelihood estimates were used based on data from 1,552 students, and FIML (full-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was used to estimate missing values in the data. CFI=.969, TLI=.963, IFI=.969, NFI=.958, RMSEA=.041, were confirmed. The final confirmed test was derived with four questions for each factor: creative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leadership, con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value creation. The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and validated, an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onfirm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be used as a test tool to nurture creativity convergence talent, not only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for youth education through school and community connec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components of th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test that can be used in secondary education from an integrated persp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components of th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test that can be used in secondary educat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o this end, the concept of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def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fter deriving the components, various experts checked the content validity.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Gangwon-do, Gyeongsang-do, Jeolla-do, and Jeju. The collected data were SPSS Win 25.0 and AMOS Win 22.0 programs, and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KMO checked the suitability of the sample, and the Bartlett sphericity test was conduct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hecked whether the size of the correlation matrix of the sample was suitable for factor analysis by examining the sample adequacy value of KMO (Kaiser-Meyer-Olkin) using the data of 992 students. The factor structure was analyzed considering Bartlett's sphericity verification and scree plot. The orthogonal rotation metho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was implement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aximum likelihood estimates were used based on data from 1,552 students, and FIML (full-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was used to estimate missing values in the data. CFI=.969, TLI=.963, IFI=.969, NFI=.958, RMSEA=.041, were confirmed. The final confirmed test was derived with four questions for each factor: creative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leadership, con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value creation. The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and validated, an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onfirm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be used as a test tool to nurture creativity convergence talent, not only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for youth education through school and community connec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