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광주·전남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 생활체육관련학과의 교육과정 연구 = A Study on Curriculum of Leisure Sports Related Departments at College and University in Gwangju & Jeonn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649282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96.0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71p.: 삽도; 26cm.

      • 일반주기명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박현우
        참고문헌 : p.57-59

      • 소장기관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analyze the element of curriculum leisure sports related departments at College and University in Gwangju & Jeonnam into the resemblance and the difference.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concrete topi...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analyze the element of curriculum leisure sports related departments at College and University in Gwangju & Jeonnam into the resemblance and the difference.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concrete topic of research is that the analysis of the aim of the education, whether or not the legal course setup of sports leader, the analysis of completion of major subject and the analysis of the resemblance and the difference of education course of each sports department. The subject University of this research are 4, 2-year sports departments, and 5, University sports departments, located in Gwangju & Jeonnam. The object departments of research are that as college D, S, C in Gwangju and S·C in Jeonnam, as K, C, H University in Gwangju and D, C·D University in Jeonnam.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aim of education of sports department of College and University, at the "College" they have arranged the subjects which are grounding education for the choosing vocation and focusing on getting a job in actuality. At the "University", they have aimed growing the qualities as a Executive, Administration manager, Leader who have knew scientific knowledge well.
      Second, in the condition of sports leader, the graduate who were finished College or University sports department can get the 3rd grade license of sports leader when they complete the legal 8 subjects, theory of sports, exercise physiology, sports psychology, sports sociology, theory of recreation, training methodology, emergency and safety management. Among the "College" D, S colleges have arranged 8 legal subject, but the lacks are founded that "training methodology" in C college and "emergency and safety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sports sociology" in S·D college. Also, among the "University", all 8 subjects are arranged in K, C, C·D, H college, but D college doesn't have arranged health management, emergency and safety management. Although some colleges have the lack of 1 or 2 subjects, they are judged to operate the education course without any obstacle to get the license of sports leader through operating the similar subject and alternative subject, because each aim of college is to grow the sports leader.
      Third, the distribution of major subject is that in the College, the average are 22 credits which is major theory, 48 credits which is exercise and in the University, the average are 49 credits which is major theory, 52 credits which is exercise. In the College, as the short-term training program of leaders in the field, they focus on the exercise subjects which is required in the field, and University strengthen the education of program related sports in the major theorey and arranged the exercise subject which is similar to the College are configured.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ade is that the theory of "1 grade" of the College is many grounding education parts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he exercise is consisted subject which is to master the basic functionality. the theory of "2 grade" is consisted the subject which is for the specialization according to the goal of education, and the exercise is required the level which can apply in the field through the deepening education. Besides, in the University, the theory of "1 grade" is arranged the subjects which is the introductory-level, this is made to know the principles of sports, and the exercise is the subjects which can improve the basic physical Stamina and the basic function. At the "2-grade", the theory is arranged the subjects which is to understand the sports, and is about various value of sports, and the exercise is arranged the courses which is the seasonal special sports and is to participate in a number of sports. At the "3 grade", the theory is arranged the subjects which are identified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sports in the society, and the exercise is arranged subject of Leisure sports. At the "4 grade", the theory is arranged the subjects which are used directly in the field of sports, the exercise is consisted the subjects which can be guided in parallel with Training Methodology.
      Fifth, analyzing the resemblance and difference in the curriculum of sports departments of the College and University, at the "College", the theory is level of legal subjects of sports leader, and the literacy classes are usually consisted the grounding education for the choice of vocation. Taking the average with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of the major exercise, the exercise is consisted curriculum which is similar than University level. In the College, the education is focus on making the students sports leader after graduation. Furthermore, the "University" is consisted the curriculum to make students not only to be sports leader but also can achieve the footing field of business and sports administrative management through adding the subjects which is for growing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leader, and the theory of program organization, sports business, administrative management on the legal sports subj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광주·전남 2년제와 4년제 대학 생활체육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의 다양한 요소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본 연구는 광주·전남 2년제와 4년제 대학 생활체육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의 다양한 요소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교육목표의 분석, 생활체육지도자 법정이수 교과목 설치 여부, 전공 이수교과목 분석 그리고 각 생활체육관련학과 교육과정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학교는 광주·전남 소재 2년제 4개의 생활체육관련학과와 4년제 5개 생활체육관련학과를 대상으로 하였다. 2년제는 광주광역시 소재 D, S, C 그리고 전라남도 소재의 S·C 생활체육관련학과이며, 4년제는 광주광역시 소재 K, C, H 대학교 생활체육관련학과이며, 전라남도 소재의 D, C·D 대학교 생활체육관련학과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년제와 4년제 생활체육관련학과의 교육목표를 분석하여 보면 “2년제 대학”에서는 직업선택을 위한 소양교육과 현실성 있는 취업중심의 교과의 편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4년제 대학”에서는 과학적 지식을 숙지한 지도자나 경영자, 행정관리자 등의 자질을 육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둘째,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요건에는 2년제와 4년제 생활체육관련학과의 졸업생은 법정이수 과목인 생활체육론, 운동생리학, 스포츠 심리학, 스포츠 사회학, 레크리에이션론, 트레이닝 방법론, 구급 및 안전관리 그리고 건강관리의 8개 교과를 이수하면 자격부여로 생활체육지도자 3급 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다. “2년제 대학” 중 D, S 대학은 8개 교과가 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는 반면, C대학은 트레이닝 방법론, S·D대학은 구급 및 안전관리, 건강관리, 스포츠 사회학의 교과의 부족을 볼 수 있다. 또한 “4년제 대학” 중 K, C, C·D, H대학은 8개 교과가 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었으나 D대학은 건강관리, 구급 및 안전관리의 교과가 편제되어 있지 않았다. 비록 몇 대학에서 1혹은 2개 교과가 부족한 상황인데 각 대학의 교육목표가 생활체육지도자 육성이므로 대체과목 및 유사과목을 운영하여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증 취득에 어떠한 문제없이 교육과정 운영을 하리라 판단된다.
      셋째, 2년제와 4년제 전공이수 과목의 배분은 2년제 대학에서는 평균 전공이론은 22학점, 실기는 48학점이며, 4년제 대학에서는 평균 전공이론은 49학점, 실기는 52학점이었다. 2년제 대학에서는 현장 지도자의 단기 육성과정으로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기 종목을 집중적으로 학습하였으며, 4년제 대학은 전공이론에 있어 생활체육에 관련된 프로그램 측면의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실기에서는 2년제 대학과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다.
      넷째, 각 학년별 이수교과목의 특성은 2년제 대학 “1학년”의 이론은 직업교육을 위한 소양교육의 내용이 많았으며, 실기는 기본기능을 숙달하는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학년”의 이론은 교육목표에 따른 특성화를 위한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기는 심화교육을 통해 현장에서 활용 가능할 정도의 실기수준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4년제 대학 “1학년”의 이론은 주로 체육의 원리를 파악하게 하는 개론 수준의 과목으로 편성되었으며, 실기는 기초체력과 기초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과목으로 편성되었다. “2학년”의 이론은 운동을 이해하고 운동의 다양한 가치에 대한 과목으로 편성되었으며, 실기는 계절적 특수성 스포츠종목과 생활체육에 다수 참여하는 종목들로 편성되었다. “3학년”의 이론은 사회에서 스포츠의 가치와 의의를 파악하려는 생활체육관련 과목으로 편성되었으며, 실기는 레저스포츠 종목으로 편성되었다. “4학년”의 이론은 생활체육의 현장에서 직접 활용될 수 있는 과목으로 편성되었고, 실기는 교육방법론과 병행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편성되었다.
      다섯째, 2년제와 4년제 생활체육관련학과의 교육과정에서 차이점과 유사점을 분석하여 보면 “2년제 대학”에서는 생활체육지도자의 법정이수 과목 정도의 이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양에서는 직업선택을 위한 소양교육 위주의 교과 편제를 보이고 있다. 실기에서는 전공실기의 배분정도에 따라 평균을 내어보면 4년제 대학과 비슷한 수준의 교과 편제로 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2년제 대학에서는 졸업 후 생활체육 분야에서 지도자로서 근무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4년제 대학”에서는 생활체육 법정이수 과목에 추가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자 육성을 위한 교과와 프로그램 구성론, 스포츠 경영, 행정관리 등을 추가하여 생활체육지도자 뿐만 아니라 경영인, 체육행정관리 등의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편제를 이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3. 연구의 문제 = 3
      • 4. 연구의 제한점 = 3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3. 연구의 문제 = 3
      • 4. 연구의 제한점 = 3
      • 5. 용어의 정의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1. 대학에서 교육과정의 의미 = 5
      • 가. 교육과정(course of study) = 5
      • 나. 잠재적 교육과정 = 6
      • 다. 대학에서 교육과정의 의의 = 7
      • 라. 대학 교육과정의 구성 = 7
      • 2. 생활체육지도자 = 8
      • 가. 생활체육 및 생활체육지도자의 기능 = 9
      • 나. 생활체육지도자의 역할 = 10
      • 다.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요건 = 12
      • Ⅲ. 연구 방법 = 17
      • 1. 조사 대상 = 17
      • 2. 자료수집 방법 = 18
      • 3. 자료 분석 = 18
      • 4. 대학별 교육과정 = 19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1
      • 1. 교육목표의 분석 = 41
      • 2. 생활체육지도자 자격 검정과목 설치여부 분석 = 43
      • 3. 전공이수 교과목 중 이론과 실기의 배분정도 = 45
      • 4. 학년별 이수교과목 분석 = 46
      • 5. 교육과정의 차이점과 유사점 분석 = 53
      • Ⅴ. 결론 및 제언 = 54
      • 1. 결론 = 54
      • 2. 제언 = 56
      • 참고문헌 = 57
      • (Abstract) = 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