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체계기능언어학 기반 한국어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과 의미 기능 연구 : 학술텍스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 of Korean Grammatical Collocation based on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Focusing on the Academic Tex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84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subject to analyze the category of Korean grammatical collo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ramma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based on the theory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It is a study that reveals the typical uses and characteristics of grammatical collocations written in Korean language academic texts, grammatical collocations writte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nd reviews the semantic functions performed in academic text.
      The use of grammatical collocation in a particular register or genre can b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content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or secondary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crucial to internalize genre recognition and to use appropriate grammatical collocation in academic text. So far the existing studies on grammatical collocation in academic text are limited to extracting cataloging grammatical collocation used frequency or revealing structural and functional differences. Although many studi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grammatical collocation in academic text, only few studies have extracted grammatical collocation representations as educational content or explored genre-specific grammatical collocation in specific academic fields.
      In this study, we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existing studies on grammatical collocation could not be discussed based on a relatively complete theory, and that attention was paid only to the form of meaning expression of grammatical collocation.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tudying grammatical collocation form a single research perspective, a linguistic theory with universality and relevance was selected, and based on this theory, a grammatical collocation content system was constructed in a specific genre of academic text.
      In other words, stratification theory, option and system network concept, lexicogrammar concept, and genre concept as social interaction suggested in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establish the concept of grammatical collocation. This is a theoretical premise that illustrates the lexicogrammar features and semantic functions of grammatical collocation. In this thesis, the process of forming grammatical collocation is considered to be a process in which conceptualize and categorize the relationship of things based on context of social cultural and context of situation. Grammatical collocation is seen as the result of the joint operation of three factors: social culture, cognition, and language.
      Based on the theory, In chapter 3, by extracting and categorizing typical grammatical collocation from the Korean academic texts selected as model texts, the grammatical collocations used in academic texts were analyzed with the focus on the semantic function. In chapter 4, the corpus was used to analyz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grammatical collocation for academic purpo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sample information of Korean learners primitive corpus, five variables were set, including nationality(Chinese), mother tongue(Chinese), learning purpose(going to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Korean language level(level 6 or higher), and corpus type(written language). By comparing and analyzing grammatical collocation used by Korean learners and grammatical collocation used in model text, the cause of interlanguage usage in the academic texts of Korean learners was revealed. Furthermore, in terms of the comparative study results, the contents of grammatical collocation which represent the meaning of recognition were structured and detail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and research method of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Korean grammatical collocation was reconceptualized and categorized form a new perspective to explore the usage and semantic functions in actual language material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e theory of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applied to Korean language, and it is actively promoted as a theory of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also noted grammatical collocation which is lack of discussion for academic purposes for Korean learners. On the other hand, it is crucial in extracting grammatical collocations used in actual Korean academic texts and academic texts written by Korean learners, and reveal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s of the language.
      번역하기

      This study is subject to analyze the category of Korean grammatical collo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ramma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based on the theory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It is a study that rev...

      This study is subject to analyze the category of Korean grammatical collo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ramma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based on the theory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It is a study that reveals the typical uses and characteristics of grammatical collocations written in Korean language academic texts, grammatical collocations writte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nd reviews the semantic functions performed in academic text.
      The use of grammatical collocation in a particular register or genre can b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content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or secondary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crucial to internalize genre recognition and to use appropriate grammatical collocation in academic text. So far the existing studies on grammatical collocation in academic text are limited to extracting cataloging grammatical collocation used frequency or revealing structural and functional differences. Although many studi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grammatical collocation in academic text, only few studies have extracted grammatical collocation representations as educational content or explored genre-specific grammatical collocation in specific academic fields.
      In this study, we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existing studies on grammatical collocation could not be discussed based on a relatively complete theory, and that attention was paid only to the form of meaning expression of grammatical collocation.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tudying grammatical collocation form a single research perspective, a linguistic theory with universality and relevance was selected, and based on this theory, a grammatical collocation content system was constructed in a specific genre of academic text.
      In other words, stratification theory, option and system network concept, lexicogrammar concept, and genre concept as social interaction suggested in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establish the concept of grammatical collocation. This is a theoretical premise that illustrates the lexicogrammar features and semantic functions of grammatical collocation. In this thesis, the process of forming grammatical collocation is considered to be a process in which conceptualize and categorize the relationship of things based on context of social cultural and context of situation. Grammatical collocation is seen as the result of the joint operation of three factors: social culture, cognition, and language.
      Based on the theory, In chapter 3, by extracting and categorizing typical grammatical collocation from the Korean academic texts selected as model texts, the grammatical collocations used in academic texts were analyzed with the focus on the semantic function. In chapter 4, the corpus was used to analyz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grammatical collocation for academic purpo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sample information of Korean learners primitive corpus, five variables were set, including nationality(Chinese), mother tongue(Chinese), learning purpose(going to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Korean language level(level 6 or higher), and corpus type(written language). By comparing and analyzing grammatical collocation used by Korean learners and grammatical collocation used in model text, the cause of interlanguage usage in the academic texts of Korean learners was revealed. Furthermore, in terms of the comparative study results, the contents of grammatical collocation which represent the meaning of recognition were structured and detail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and research method of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Korean grammatical collocation was reconceptualized and categorized form a new perspective to explore the usage and semantic functions in actual language material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e theory of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applied to Korean language, and it is actively promoted as a theory of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also noted grammatical collocation which is lack of discussion for academic purposes for Korean learners. On the other hand, it is crucial in extracting grammatical collocations used in actual Korean academic texts and academic texts written by Korean learners, and reveal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s of the langu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 교육 관점에서 체계기능언어학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문법적 연어의 범주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 학술텍스트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학술텍스트에서 문법적 연어의 전형적인 사용 양상과 사용 특징을 밝히고 학술텍스트에서 수행한 의미 기능을 검토하는 연구이다.
      연어는 학술적 전문 용어 또는 학술텍스트에서 흔히 발견될 수 있는 표현이고, 학술텍스트에서 연어와 같은 정형화된 표현은 학술적 명제와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연어 사용은 모어 학습자에게는 자연적으로 습득되고 내재화되는 언어 선택이지만 외국어 학습자에게는 외국어를 학습하면서 직면할 수 있는 어려움 중의 하나이다. 상황 맥락에 따라 적절한 연어의 사용은 학술텍스트의 평가 기준이 되었고, 특정한 사용역이나 장르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난 연어에 대한 운용은 외국어 교육 또는 제2언어교육의 교육 내용에서 중요한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특정한 사용역이나 장르에서 정확하고 적절한 문법적 연어의 사용은 외국어 교육 또는 제2언어교육의 교육내용에서 중요한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특히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텍스트에 있어서 장르적 인식을 내재화하고 적절한 문법적 연어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현재까지의 연구는 높은 빈도로 사용된 문법적 연어를 추출하고 목록화하거나 구조적·기능적 차이를 밝히는 것에 한정되어, 문법적 연어에 대한 범주화나 학술텍스트에서 사용된 문법적 연어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리고 많은 연구에서 연어가 학술텍스트 교육에 있어서 중요함을 강조하지만, 특정한 학술 분야에서 교육내용으로서의 문법적 연어 표현을 추출하거나 장르별 문법적 연어 교육 목록과 교수학습 모형을 탐구하는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법적 연어의 기존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하나의 온전한 이론을 기반으로 논의를 하지 못한다는 점, 그리고 문법적 연어의 의미 표현 형식에만 관심을 기울여졌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여기서는 단일적 연구 시각으로 문법적 연어를 연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편성과 적합성을 갖춘 언어학 이론을 선정한 다음에 이 이론을 기반으로 학술텍스트라는 특정한 장르에서 문법적 연어의 내용 체계를 구축하였다. 즉, 체계기능언어학에서 제시된 계층화(stratification) 이론, 선택항(option)과 체계망(system network) 개념, 어휘문법(lexicogrammar) 연속체 개념, 사회적 상호작용으로서의 장르 개념 등은 문법적 연어 개념을 정립하고 문법적 연어의 어휘문법적 특징과 의미 기능을 해석한 이론적 전제이다. 본 연구에서 문법적 연어의 형성 과정은 사회문화적 맥락과 상황적 맥락을 기반으로 인간이 사물의 관계를 개념화와 범주화하는 과정으로 간주하며, 문법적 연어는 사회문화, 인지, 언어 세 가지 요소가 공동적으로 작동한 결과라고 본다.
      연어는 어휘문법 연속체에 있는 항목들이 제한적으로 선택되는 어휘문법 조합이라고 말할 수 있다. SFL에서 어휘와 문법의 통합을 강조하지만, 본 연구에서 어휘문법 연속체에 있는 제한적 관계를 맺고 있는 어휘문법 선택 항목은 문법적 제약과 어휘적 제약 중에 어느 제약을 받는 경향이 있느냐에 따라 문법적 연어와 어휘적 연어로 나뉜다. 문법적 연어와 어휘적 연어는 각각 어휘문법 연속체의 두 끝으로 갈수록 문법적 특징 또는 어휘적 특징을 두드러지며, 어휘문법 연속체 중간에 위치하는 연어는 문법적 제약이나 어휘적 제약을 덜 받는 연어로 본다. 이 중에 문법적 연어는 문법 항목 간의 선택일 수도 있고, 어휘 항목과 문법 항목 간의 공동으로의 선택일 수도 있는데, 문법 쪽에 갈수록 강한 문법적 의미 선택 관계를 드러낸다. 학술텍스트에서 사용되는 문법적 연어는 거시적 차원에서 텍스트 생산자가 특정한 의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언어 체계에서 선택된 의미 잠재의 실현 형식이며, 이는 학술적 생황 맥락의 특징을 나타내고 학술적 언어의 실례 유형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론을 기반으로 3장에서는 모범 텍스트로 선정된 한국어 학술텍스트에서 나타난 전형적인 문법적 연어를 추출하고 범주화하여, 학술텍스트에서 사용된 문법적 연어를 의미 기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말뭉치를 활용하였는데 3,784,091어절 한국어 학습자 원시 말뭉치 표본 정보에서 국적(중국), 모어(중국어), 학습 목적(진학), 한국어 등급(6급 이상), 말뭉치 유형(문어) 5가지 변인을 설정하고 추출된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의미 기능을 분석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한 문법적 연어와 모범 텍스트에서 사용된 문법적 연어의 어휘문법적 특징, 의미 기능별 사용 빈도 분포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자 학술텍스트에서 나타난 중간언어적 양상 및 중간언어적 양상의 원인을 밝혔다. 또한 비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식 의미를 나타낸 문법적 연어 교육 내용을 구조화하고 상세화하였다.
      본 연구는 체계기능언어학의 이론과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각에서 한국어 문법적 연어를 재개념화하고 범주화하여 실제 언어 자료에서의 사용 양상과 의미 기능을 탐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체계기능언어학 이론이 한국어에 적용되고 언어교육 이론으로서 적극적으로 추진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논의가 부족했던 문법적 연어에 주목하였고, 이에 대하여 실제 한국어 학술텍스트와 한국어 학습자 학술텍스트에서 사용된 문법적 연어를 추출하고 언어 형식적 특징과 의미 기능을 밝힌 것에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문법적 연어의 교육내용을 마련하였는데, 이는 학습자들이 학술텍스트를 작성할 때 특정한 상황 맥락에 따른 언어 잠재의 특징을 인식하고 어휘문법 연속체로서의 문법적 연어의 의미 기능을 습득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 교육 관점에서 체계기능언어학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문법적 연어의 범주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 학술텍스트와 학문 목적 한국어 ...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 교육 관점에서 체계기능언어학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문법적 연어의 범주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 학술텍스트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학술텍스트에서 문법적 연어의 전형적인 사용 양상과 사용 특징을 밝히고 학술텍스트에서 수행한 의미 기능을 검토하는 연구이다.
      연어는 학술적 전문 용어 또는 학술텍스트에서 흔히 발견될 수 있는 표현이고, 학술텍스트에서 연어와 같은 정형화된 표현은 학술적 명제와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연어 사용은 모어 학습자에게는 자연적으로 습득되고 내재화되는 언어 선택이지만 외국어 학습자에게는 외국어를 학습하면서 직면할 수 있는 어려움 중의 하나이다. 상황 맥락에 따라 적절한 연어의 사용은 학술텍스트의 평가 기준이 되었고, 특정한 사용역이나 장르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난 연어에 대한 운용은 외국어 교육 또는 제2언어교육의 교육 내용에서 중요한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특정한 사용역이나 장르에서 정확하고 적절한 문법적 연어의 사용은 외국어 교육 또는 제2언어교육의 교육내용에서 중요한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특히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텍스트에 있어서 장르적 인식을 내재화하고 적절한 문법적 연어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현재까지의 연구는 높은 빈도로 사용된 문법적 연어를 추출하고 목록화하거나 구조적·기능적 차이를 밝히는 것에 한정되어, 문법적 연어에 대한 범주화나 학술텍스트에서 사용된 문법적 연어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리고 많은 연구에서 연어가 학술텍스트 교육에 있어서 중요함을 강조하지만, 특정한 학술 분야에서 교육내용으로서의 문법적 연어 표현을 추출하거나 장르별 문법적 연어 교육 목록과 교수학습 모형을 탐구하는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법적 연어의 기존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하나의 온전한 이론을 기반으로 논의를 하지 못한다는 점, 그리고 문법적 연어의 의미 표현 형식에만 관심을 기울여졌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여기서는 단일적 연구 시각으로 문법적 연어를 연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편성과 적합성을 갖춘 언어학 이론을 선정한 다음에 이 이론을 기반으로 학술텍스트라는 특정한 장르에서 문법적 연어의 내용 체계를 구축하였다. 즉, 체계기능언어학에서 제시된 계층화(stratification) 이론, 선택항(option)과 체계망(system network) 개념, 어휘문법(lexicogrammar) 연속체 개념, 사회적 상호작용으로서의 장르 개념 등은 문법적 연어 개념을 정립하고 문법적 연어의 어휘문법적 특징과 의미 기능을 해석한 이론적 전제이다. 본 연구에서 문법적 연어의 형성 과정은 사회문화적 맥락과 상황적 맥락을 기반으로 인간이 사물의 관계를 개념화와 범주화하는 과정으로 간주하며, 문법적 연어는 사회문화, 인지, 언어 세 가지 요소가 공동적으로 작동한 결과라고 본다.
      연어는 어휘문법 연속체에 있는 항목들이 제한적으로 선택되는 어휘문법 조합이라고 말할 수 있다. SFL에서 어휘와 문법의 통합을 강조하지만, 본 연구에서 어휘문법 연속체에 있는 제한적 관계를 맺고 있는 어휘문법 선택 항목은 문법적 제약과 어휘적 제약 중에 어느 제약을 받는 경향이 있느냐에 따라 문법적 연어와 어휘적 연어로 나뉜다. 문법적 연어와 어휘적 연어는 각각 어휘문법 연속체의 두 끝으로 갈수록 문법적 특징 또는 어휘적 특징을 두드러지며, 어휘문법 연속체 중간에 위치하는 연어는 문법적 제약이나 어휘적 제약을 덜 받는 연어로 본다. 이 중에 문법적 연어는 문법 항목 간의 선택일 수도 있고, 어휘 항목과 문법 항목 간의 공동으로의 선택일 수도 있는데, 문법 쪽에 갈수록 강한 문법적 의미 선택 관계를 드러낸다. 학술텍스트에서 사용되는 문법적 연어는 거시적 차원에서 텍스트 생산자가 특정한 의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언어 체계에서 선택된 의미 잠재의 실현 형식이며, 이는 학술적 생황 맥락의 특징을 나타내고 학술적 언어의 실례 유형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론을 기반으로 3장에서는 모범 텍스트로 선정된 한국어 학술텍스트에서 나타난 전형적인 문법적 연어를 추출하고 범주화하여, 학술텍스트에서 사용된 문법적 연어를 의미 기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말뭉치를 활용하였는데 3,784,091어절 한국어 학습자 원시 말뭉치 표본 정보에서 국적(중국), 모어(중국어), 학습 목적(진학), 한국어 등급(6급 이상), 말뭉치 유형(문어) 5가지 변인을 설정하고 추출된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의미 기능을 분석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한 문법적 연어와 모범 텍스트에서 사용된 문법적 연어의 어휘문법적 특징, 의미 기능별 사용 빈도 분포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자 학술텍스트에서 나타난 중간언어적 양상 및 중간언어적 양상의 원인을 밝혔다. 또한 비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식 의미를 나타낸 문법적 연어 교육 내용을 구조화하고 상세화하였다.
      본 연구는 체계기능언어학의 이론과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각에서 한국어 문법적 연어를 재개념화하고 범주화하여 실제 언어 자료에서의 사용 양상과 의미 기능을 탐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체계기능언어학 이론이 한국어에 적용되고 언어교육 이론으로서 적극적으로 추진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논의가 부족했던 문법적 연어에 주목하였고, 이에 대하여 실제 한국어 학술텍스트와 한국어 학습자 학술텍스트에서 사용된 문법적 연어를 추출하고 언어 형식적 특징과 의미 기능을 밝힌 것에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문법적 연어의 교육내용을 마련하였는데, 이는 학습자들이 학술텍스트를 작성할 때 특정한 상황 맥락에 따른 언어 잠재의 특징을 인식하고 어휘문법 연속체로서의 문법적 연어의 의미 기능을 습득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1.2. 연구사 6
      • 1.2.1. 문법적 연어에 대한 연구 6
      • 1.2.2. 한국어 학습자 학술텍스트에 대한 연구 15
      • 1. 서론 1
      •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1.2. 연구사 6
      • 1.2.1. 문법적 연어에 대한 연구 6
      • 1.2.2. 한국어 학습자 학술텍스트에 대한 연구 15
      • 1.3. 연구 내용 및 방법 19
      • 2. 문법적 연어의 의미 기능 탐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 30
      • 2.1. 문법적 연어의 개념 정립 30
      • 2.1.1. 연어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검토 30
      • 2.1.2. 문법적 연어 개념 정립을 위한 체계기능언어학적 접근 36
      • 2.2. 학술텍스트에서의 문법적 연어 49
      • 2.2.1. 사용역과 문법적 연어 49
      • 2.2.2. 학술텍스트 및 학술텍스트에서의 문법적 연어 51
      • 2.3. 학술텍스트에 나타나는 문법적 연어 분석을 위한 준거 62
      • 2.3.1. 문법적 연어 분석을 위한 체계적 전제 및 기능적 전제 62
      • 2.3.2. SFL 관점에서 본 언어 교육 및 문법적 연어 습득 70
      • 3. 한국어 학술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연어의 유형과 의미 기능 76
      • 3.1. 문법적 연어의 성격 및 하위 범주 76
      • 3.1.1. 문법적 연어의 성격 및 특징 76
      • 3.1.2. 문법적 연어의 하위 범주 설정 78
      • 3.2. SFL 관점에 따른 문법적 연어의 유형 80
      • 3.2.1.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의미 기능 80
      • 3.2.1.1. 시간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고 있다’, ‘-어 있다’ 82
      • 3.2.1.2. 추측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을 수 있다’, ‘은/는 것 같다’ 86
      • 3.2.1.3. 의무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아/어야 하다/되다’ 92
      • 3.2.1.4. 의지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고자 하다’, ‘-도록 하다’ 93
      • 3.2.1.5. 인식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라고 하다’, ‘-다고 하다’ 96
      • 3.2.1.6. 관념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은/는 것이다’ 100
      • 3.2.1.7. 이유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기 때문이다’ 106
      • 3.2.1.8. 평가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기 쉽다/어렵다’ 107
      • 3.2.1.9. 소망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기 바라다’ 111
      • 3.2.2.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의미 기능 112
      • 3.2.2.1. 비교 의미의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에 비하여/비해’ 113
      • 3.2.2.2. 결과 상태의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결과적으로’, ‘결론적으로’ 114
      • 3.2.2.3. 원인 의미의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으)로 인하여/인해’ 116
      • 3.2.2.4. 양보 의미의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음에도 불구하고’ 115
      • 3.2.2.5. 근거 의미의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에 따르면’, ‘-에 따라’ 116
      • 3.2.2.6. 화제 의미의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에 관하여’, ‘-에 대하여’ 118
      • 3.2.2.7. 접속 의미의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 ‘다음으로’, ‘마지막으로’ 119
      • 4. 한국어 학습자 학술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120
      • 4.1. 한국어 학습자 학술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120
      • 4.1.1.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120
      • 4.1.1.1. 시간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고
      • 있다’, ‘-어 있다’ 120
      • 4.1.1.2. 추측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을 수
      • 있다’, ‘은/는 것 같다’ 124
      • 4.1.1.3. 의무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아/어야
      • 하다/되다’ 127
      • 4.1.1.4. 의지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고자
      • 하다’, ‘-도록 하다’ 128
      • 4.1.1.5. 인식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라고
      • 하다’, ‘-다고 하다’ 130
      • 4.1.1.6. 관념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은/는
      • 것이다’ 133
      • 4.1.1.7. 이유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기
      • 때문이다’ 134
      • 4.1.1.8. 평가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기
      • 쉽다/어렵다’ 135
      • 4.1.1.9. 소망 의미의 동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기
      • 바라다’ 137
      • 4.1.2.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138
      • 4.1.2.1. 비교 의미의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에
      • 비하여/비해’ 138
      • 4.1.2.2. 결과 상태의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 ‘결과적으로’, ‘결론적으로’ 139
      • 4.1.2.3. 원인 의미의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으)로
      • 인하여/인해’ 140
      • 4.1.2.4. 양보 의미의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음에도
      • 불구하고’ 141
      • 4.1.2.5. 근거 의미의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에
      • 따르면’, ‘-에 따라’ 142
      • 4.1.2.6. 화제 의미의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 ‘다음으로’, ‘마지막으로’ 144
      • 4.1.2.7. 접속 의미의 부사류 그룹형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 145
      • 4.2. 한국어 학습자 학술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연어의 중간언어적 특징 146
      • 4.2.1. 문법적 연어의 형식적 특징 147
      • 4.2.2. 문법적 연어의 기능적 특징 158
      • 4.3. 문법적 연어의 교육 내용 조직: 인식 의미 문법적 연어를 중심으로 166
      • 4.3.1. 문법적 연어 지식의 구조화 167
      • 4.3.2. 문법적 연어 지식의 상세화 174
      • 5. 결론 180
      • 5.1. 요약 180
      • 5.2. 의의 및 한계점 183
      • 참고문헌 1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