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이후 신분등록제도의 보호가치 변화에 관한 연구 = An Analysis on the Changing Values of Citizen Registration System in Korea Since 20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2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the changing process of citizen registration system since 20th century by analyzing changing values of the system; economically, socially and politically. If there are any reasonable findings, it may use as a tool to redesign present citizen registration system.
      Main reason of changing system of family registration came from external outbreak such as colonialization, war, independence liberation, electoral system, ideological conflicts, population increase and decrease, however, internal factors such as economical, social and political incidences have generated its own influences against the system.
      Among the economical values which were evolved from the system change, taxation, drafting military service, compulsory mobilization of war resources, food rationing aid, policy decision making of population control, administrative cost reduction through citizen registration were monitored. Establishing social ethics, maintaining status order, population data-base setup through citizen registration,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enforcing birth-control, and gender equality had been categorized as a social values of citizen registration system. The most emphasized political value of the system was reliability of registration mechanism for enhancing power of ruler, who could be a King or a President. In order to gain political power, adaptation or at least passive support from ruled were inevitable.
      This study suggests that alternative solution for present system as follows; first, family registration system should be renamed as a individual registration to resolve collective orientation of the system. Second, normality of family structure should be relieved for those who are not in the patriarchal system. Third, intensified control power of state against individual information should be checked and manag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the changing process of citizen registration system since 20th century by analyzing changing values of the system; economically, socially and politically. If there are any reasonable findings, it may use as a tool to redesign presen...

      This study aims at the changing process of citizen registration system since 20th century by analyzing changing values of the system; economically, socially and politically. If there are any reasonable findings, it may use as a tool to redesign present citizen registration system.
      Main reason of changing system of family registration came from external outbreak such as colonialization, war, independence liberation, electoral system, ideological conflicts, population increase and decrease, however, internal factors such as economical, social and political incidences have generated its own influences against the system.
      Among the economical values which were evolved from the system change, taxation, drafting military service, compulsory mobilization of war resources, food rationing aid, policy decision making of population control, administrative cost reduction through citizen registration were monitored. Establishing social ethics, maintaining status order, population data-base setup through citizen registration,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enforcing birth-control, and gender equality had been categorized as a social values of citizen registration system. The most emphasized political value of the system was reliability of registration mechanism for enhancing power of ruler, who could be a King or a President. In order to gain political power, adaptation or at least passive support from ruled were inevitable.
      This study suggests that alternative solution for present system as follows; first, family registration system should be renamed as a individual registration to resolve collective orientation of the system. Second, normality of family structure should be relieved for those who are not in the patriarchal system. Third, intensified control power of state against individual information should be checked and manag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근대이후 가족관계 등록제도의 변화과정을 개괄하고, 제도가 보호하고자 하는 가치를 경제, 사회, 정치적으로 분류하여 살펴봄으로써 현재 가족관계등록제도가 가진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정부수립 이전에는 조선시대, 일제 강점기, 미군정기 등으로 나누어 제도의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정부수립 이후 발생한 제도변화는 정권의 구분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신분등록제도 변화의 배경과 그 이유는 어떠한지 둘째, 제도가 보호하고자 하는 가치는 무엇인지 셋째, 이를 통해 현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신분등록제도의 변화를 추동한 것은 식민통치, 전쟁, 해방, 선거제도입, 이념갈등, 인구증가, 인구감소 등 외부적 요건이 대부분이지만, 신분등록제도를 통해 경제, 사회, 정치적 가치 등이 형성되어 내부적 변화를 보이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다양한 가치들이 신분등록제도의 변화과정에 나타나 국가와 개인의 관계를 새롭게 규정하거나 갈등을 형성하였는데, 신분등록제도가 보호하고자 한 경제적 가치로는 조세징수, 징병, 전시물자의 동원 및 구호물자의 배급, 인구정책의 수립, 신분증명을 통한 행정비용감소 등을 들 수 있다. 사회적 가치는 사회윤리의 확립, 신분질서의 유지, 신원증명을 통한 인구파악, 남녀차별 및 산아제한 또는 양성평등 등을 들 수 있다. 신분등록제도가 보호하고자 한 정치적 가치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왕권, 정권 등 권력의 정통성 확보이다. 신분제를 전제로 한 왕권의 강화(또는 유지)나 선거제를 바탕으로 한 정권의 민주적 정통성 확보(또는 재창출) 등은 지배자의 권력유지를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정치적 가치였다. 신분등록제가 형성된 이후 개인은 백성으로, 식민으로, 유권자로 관리되었으며, 정치적 피지배자의 지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현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가족관계등록제도의 명칭을 개인의 신분등록을 전제로 가족을 관계화하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가족관계등록제도의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를 희석,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족관계등록제도의 지나친 국가중심 관리통제권을 완화, 개선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근대이후 가족관계 등록제도의 변화과정을 개괄하고, 제도가 보호하고자 하는 가치를 경제, 사회, 정치적으로 분류하여 살펴봄으로써 현재 가족관계등록제도가 가진 특징과 문제...

      본 연구는 근대이후 가족관계 등록제도의 변화과정을 개괄하고, 제도가 보호하고자 하는 가치를 경제, 사회, 정치적으로 분류하여 살펴봄으로써 현재 가족관계등록제도가 가진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정부수립 이전에는 조선시대, 일제 강점기, 미군정기 등으로 나누어 제도의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정부수립 이후 발생한 제도변화는 정권의 구분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신분등록제도 변화의 배경과 그 이유는 어떠한지 둘째, 제도가 보호하고자 하는 가치는 무엇인지 셋째, 이를 통해 현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신분등록제도의 변화를 추동한 것은 식민통치, 전쟁, 해방, 선거제도입, 이념갈등, 인구증가, 인구감소 등 외부적 요건이 대부분이지만, 신분등록제도를 통해 경제, 사회, 정치적 가치 등이 형성되어 내부적 변화를 보이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다양한 가치들이 신분등록제도의 변화과정에 나타나 국가와 개인의 관계를 새롭게 규정하거나 갈등을 형성하였는데, 신분등록제도가 보호하고자 한 경제적 가치로는 조세징수, 징병, 전시물자의 동원 및 구호물자의 배급, 인구정책의 수립, 신분증명을 통한 행정비용감소 등을 들 수 있다. 사회적 가치는 사회윤리의 확립, 신분질서의 유지, 신원증명을 통한 인구파악, 남녀차별 및 산아제한 또는 양성평등 등을 들 수 있다. 신분등록제도가 보호하고자 한 정치적 가치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왕권, 정권 등 권력의 정통성 확보이다. 신분제를 전제로 한 왕권의 강화(또는 유지)나 선거제를 바탕으로 한 정권의 민주적 정통성 확보(또는 재창출) 등은 지배자의 권력유지를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정치적 가치였다. 신분등록제가 형성된 이후 개인은 백성으로, 식민으로, 유권자로 관리되었으며, 정치적 피지배자의 지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현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가족관계등록제도의 명칭을 개인의 신분등록을 전제로 가족을 관계화하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가족관계등록제도의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를 희석,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족관계등록제도의 지나친 국가중심 관리통제권을 완화, 개선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용, "호주제의 사적 전개와 폐지 그리고 가족관의 변화" 15 (15): 147-156, 2005

      2 전봉덕, "호주제도의 역사와 전망" 81 : 1982

      3 이화숙, "호주제도가 권위주의적인 국민의식과 남녀차별법에 미치는 영향" 10 (10): 17-40, 2004

      4 김상용, "호주제는 우리민족의 전통가족제도인가?" 법조협회 53 (53): 193-238, 2004

      5 권수현, "호주제는 왜 제17대 국회에서 폐지되었나? 젠더이슈・행위자・맥락의 상호작용에 의한 입법과정 분석" 국회입법조사처 7 (7): 181-218, 2015

      6 이승란, "호적제도에 관한 고찰"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3

      7 반천익, "호적제도 변동의 인구경제사적 검토: 조선시대 호구파악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3 (3): 61-90, 1997

      8 동아일보, "호적정비에의 제언"

      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호적"

      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호구"

      1 김상용, "호주제의 사적 전개와 폐지 그리고 가족관의 변화" 15 (15): 147-156, 2005

      2 전봉덕, "호주제도의 역사와 전망" 81 : 1982

      3 이화숙, "호주제도가 권위주의적인 국민의식과 남녀차별법에 미치는 영향" 10 (10): 17-40, 2004

      4 김상용, "호주제는 우리민족의 전통가족제도인가?" 법조협회 53 (53): 193-238, 2004

      5 권수현, "호주제는 왜 제17대 국회에서 폐지되었나? 젠더이슈・행위자・맥락의 상호작용에 의한 입법과정 분석" 국회입법조사처 7 (7): 181-218, 2015

      6 이승란, "호적제도에 관한 고찰"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3

      7 반천익, "호적제도 변동의 인구경제사적 검토: 조선시대 호구파악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3 (3): 61-90, 1997

      8 동아일보, "호적정비에의 제언"

      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호적"

      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호구"

      11 김영미, "해방 이후 주민등록제도의 변천과 그 성격 ―한국 주민등록증의 역사적 연원―" 한국사연구회 (136) : 287-323, 2007

      12 최홍기, "한국호적제도사 연구" 18 : 201-254, 1973

      13 Frankel, Ernest, "한국현대사연구" 이성과현실 1988

      14 최장집, "한국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 나남출판 1998

      15 장성호, "한국권위주의정권의 통치이데올로기 비교분석" 한국동북아학회 9 (9): 281-296, 2004

      16 윤상우, "한국 성장지상주의 이데올로기의 역사적 변천과 재생산" 한국사회연구소 17 (17): 3-38, 2016

      17 홍성수,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필요성: 평등기본법을 위하여" 젠더법학연구소 10 (10): 1-38, 2018

      18 매일경제, "통계업무에 막대한 지장초래"

      19 원시연, "중앙행정기구 조직개편의 정치: 보육·가족정책 담당기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07-133, 2010

      20 권내현, "조선후기 호적에 대한 이해 -논쟁과 과제-" 한국사연구회 (165) : 301-327, 2014

      21 서호철, "조선 후기의 인구와 통치- 『일성록』 ‘헌민수’ 자료의 검토" 한국사회사학회 (74) : 215-250, 2007

      22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제18대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제안 박근혜정부국정과제"

      23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7대 대통령 선거/정당정책·공약/한나라당"

      24 "제16대 대통령 당선자 노무현. “Ⅱ. 12대 국정과제 <사회 문화 여성>”"

      25 동아일보, "재론되는 가족법 내용과 문제점"

      26 경향신문, "장정누락을 일소"

      27 이승일, "일제시기 조선인의 일본국민화 연구-호적제도를 중심으로" 34 : 67-115, 2000

      28 이명종, "일제말기 조선인 징병을 위한 기류(寄留)제도의 시행 및 호적조사" 한국사회사학회 (74) : 75-106, 2007

      29 임경택, "일본식 근대호적기술의 전개과정과 이에(家) 및 이에제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18) : 167-198, 2010

      30 경향신문, "유령인구는 철저히 제거"

      3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요역"

      32 한겨레, "여성표 겨냥한 선심공약 빈축"

      33 동아일보, "여성단체등서 법개정 논의 활발 가족법에 남녀평등을"

      34 동아일보, "여성 정치참여 기회확대"

      35 도진기, "신분등록 신편제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5

      36 이정선, "식민지 조선·대만에서의 ‘家制度’의 정착 과정 - ‘戶主·家族’과 ‘戶主相續’ 개념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5) : 253-283, 2011

      37 동아일보, "시민의 신분보장 시민증 제도실시"

      38 매일경제, "시대착오.. 아들위주 가족계획에 큰 브레이크"

      39 경향신문, "부재자선고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의 공포"

      40 동아일보, "민법개정문제 남녀차별법으로 풀릴까"

      41 이정은, "미군정기 이후 ‘신분증명서’를 통한 개인의 관리와 통치" 한국사회사학회 (111) : 151-184, 2016

      42 김경희, "미국의 평등권수정(Equal Rights Amendment) 운동과 한국의 호주제폐지 운동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여성학회 24 (24): 65-99, 2008

      43 동아일보, "대선공약 허선검증 여성관련정책"

      44 김상용, "다시 호주제 폐지를 말한다" 41 (41): 347-368, 2002

      45 경향신문, "기피자 단속강화"

      46 청와대, "국정과제"

      47 경향신문, "공민증 아니라 등록표"

      48 정현수, "가족관계등록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일고" 부설법학연구소 43 : 497-527, 2014

      49 현소혜, "가족관계등록제도 시행 10년간의 성과 및 향후의 개선방안" 한국가족법학회 32 (32): 1-66, 2018

      50 이창우, "가족관계등록부와 제적부의 정정" 법조협회 61 (61): 148-206, 2012

      51 문흥안, "가족관계등록법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신분등록제도의 개편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20 (20): 301-335, 2013

      52 김익수, "韓國 戶籍制의 變遷과 家族文化" 한국사상문화학회 (37) : 285-322, 2007

      53 홍양희, "植民地時期 戶籍制度와 家族制度의 變容" 한국사학회 (79) : 167-205, 2005

      54 정현수, "戶籍制度의 변천과 새로운 身分登錄制度에 관한 고찰" 한국가족법학회 20 (20): 1-36, 2006

      55 이태섭, "6·25와 이승만의 민중통제체제의 실상" 5 (5): 127-145, 1989

      56 박광명, "5·16 군사정부의 가족계획정책 입안 배경과 논리"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2) : 411-448, 2017

      57 동아일보, "4월부터 과태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ssociation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행정사학회 -> 한국행정사학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43 0.55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