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상용, "호주제의 사적 전개와 폐지 그리고 가족관의 변화" 15 (15): 147-156, 2005
2 전봉덕, "호주제도의 역사와 전망" 81 : 1982
3 이화숙, "호주제도가 권위주의적인 국민의식과 남녀차별법에 미치는 영향" 10 (10): 17-40, 2004
4 김상용, "호주제는 우리민족의 전통가족제도인가?" 법조협회 53 (53): 193-238, 2004
5 권수현, "호주제는 왜 제17대 국회에서 폐지되었나? 젠더이슈・행위자・맥락의 상호작용에 의한 입법과정 분석" 국회입법조사처 7 (7): 181-218, 2015
6 이승란, "호적제도에 관한 고찰"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3
7 반천익, "호적제도 변동의 인구경제사적 검토: 조선시대 호구파악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3 (3): 61-90, 1997
8 동아일보, "호적정비에의 제언"
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호적"
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호구"
1 김상용, "호주제의 사적 전개와 폐지 그리고 가족관의 변화" 15 (15): 147-156, 2005
2 전봉덕, "호주제도의 역사와 전망" 81 : 1982
3 이화숙, "호주제도가 권위주의적인 국민의식과 남녀차별법에 미치는 영향" 10 (10): 17-40, 2004
4 김상용, "호주제는 우리민족의 전통가족제도인가?" 법조협회 53 (53): 193-238, 2004
5 권수현, "호주제는 왜 제17대 국회에서 폐지되었나? 젠더이슈・행위자・맥락의 상호작용에 의한 입법과정 분석" 국회입법조사처 7 (7): 181-218, 2015
6 이승란, "호적제도에 관한 고찰"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3
7 반천익, "호적제도 변동의 인구경제사적 검토: 조선시대 호구파악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3 (3): 61-90, 1997
8 동아일보, "호적정비에의 제언"
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호적"
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호구"
11 김영미, "해방 이후 주민등록제도의 변천과 그 성격 ―한국 주민등록증의 역사적 연원―" 한국사연구회 (136) : 287-323, 2007
12 최홍기, "한국호적제도사 연구" 18 : 201-254, 1973
13 Frankel, Ernest, "한국현대사연구" 이성과현실 1988
14 최장집, "한국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 나남출판 1998
15 장성호, "한국권위주의정권의 통치이데올로기 비교분석" 한국동북아학회 9 (9): 281-296, 2004
16 윤상우, "한국 성장지상주의 이데올로기의 역사적 변천과 재생산" 한국사회연구소 17 (17): 3-38, 2016
17 홍성수,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필요성: 평등기본법을 위하여" 젠더법학연구소 10 (10): 1-38, 2018
18 매일경제, "통계업무에 막대한 지장초래"
19 원시연, "중앙행정기구 조직개편의 정치: 보육·가족정책 담당기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07-133, 2010
20 권내현, "조선후기 호적에 대한 이해 -논쟁과 과제-" 한국사연구회 (165) : 301-327, 2014
21 서호철, "조선 후기의 인구와 통치- 『일성록』 ‘헌민수’ 자료의 검토" 한국사회사학회 (74) : 215-250, 2007
22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제18대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제안 박근혜정부국정과제"
23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7대 대통령 선거/정당정책·공약/한나라당"
24 "제16대 대통령 당선자 노무현. “Ⅱ. 12대 국정과제 <사회 문화 여성>”"
25 동아일보, "재론되는 가족법 내용과 문제점"
26 경향신문, "장정누락을 일소"
27 이승일, "일제시기 조선인의 일본국민화 연구-호적제도를 중심으로" 34 : 67-115, 2000
28 이명종, "일제말기 조선인 징병을 위한 기류(寄留)제도의 시행 및 호적조사" 한국사회사학회 (74) : 75-106, 2007
29 임경택, "일본식 근대호적기술의 전개과정과 이에(家) 및 이에제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18) : 167-198, 2010
30 경향신문, "유령인구는 철저히 제거"
3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요역"
32 한겨레, "여성표 겨냥한 선심공약 빈축"
33 동아일보, "여성단체등서 법개정 논의 활발 가족법에 남녀평등을"
34 동아일보, "여성 정치참여 기회확대"
35 도진기, "신분등록 신편제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5
36 이정선, "식민지 조선·대만에서의 ‘家制度’의 정착 과정 - ‘戶主·家族’과 ‘戶主相續’ 개념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5) : 253-283, 2011
37 동아일보, "시민의 신분보장 시민증 제도실시"
38 매일경제, "시대착오.. 아들위주 가족계획에 큰 브레이크"
39 경향신문, "부재자선고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의 공포"
40 동아일보, "민법개정문제 남녀차별법으로 풀릴까"
41 이정은, "미군정기 이후 ‘신분증명서’를 통한 개인의 관리와 통치" 한국사회사학회 (111) : 151-184, 2016
42 김경희, "미국의 평등권수정(Equal Rights Amendment) 운동과 한국의 호주제폐지 운동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여성학회 24 (24): 65-99, 2008
43 동아일보, "대선공약 허선검증 여성관련정책"
44 김상용, "다시 호주제 폐지를 말한다" 41 (41): 347-368, 2002
45 경향신문, "기피자 단속강화"
46 청와대, "국정과제"
47 경향신문, "공민증 아니라 등록표"
48 정현수, "가족관계등록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일고" 부설법학연구소 43 : 497-527, 2014
49 현소혜, "가족관계등록제도 시행 10년간의 성과 및 향후의 개선방안" 한국가족법학회 32 (32): 1-66, 2018
50 이창우, "가족관계등록부와 제적부의 정정" 법조협회 61 (61): 148-206, 2012
51 문흥안, "가족관계등록법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신분등록제도의 개편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20 (20): 301-335, 2013
52 김익수, "韓國 戶籍制의 變遷과 家族文化" 한국사상문화학회 (37) : 285-322, 2007
53 홍양희, "植民地時期 戶籍制度와 家族制度의 變容" 한국사학회 (79) : 167-205, 2005
54 정현수, "戶籍制度의 변천과 새로운 身分登錄制度에 관한 고찰" 한국가족법학회 20 (20): 1-36, 2006
55 이태섭, "6·25와 이승만의 민중통제체제의 실상" 5 (5): 127-145, 1989
56 박광명, "5·16 군사정부의 가족계획정책 입안 배경과 논리"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2) : 411-448, 2017
57 동아일보, "4월부터 과태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