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을 경험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인지적 정서 조절전략,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통해 재난을 경험한 청소년의 외상을 이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16185
안양 : 안양대학교, 2017
학위논문(박사) -- 안양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교육심리·상담전공 , 2017
2017
한국어
372.61 판사항(6)
371.4 판사항(23)
경기도
xii, 139 p. ; 26 cm
지도교수: 유정이
권말부록: 사전충격검사(IES-R-K)척도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CERO)척도 ; 심리적 안녕감 검사 척도
참고문헌: p. 108-12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을 경험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인지적 정서 조절전략,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통해 재난을 경험한 청소년의 외상을 이해...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을 경험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인지적 정서 조절전략,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통해 재난을 경험한 청소년의 외상을 이해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와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교육적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재난을 경험한 청소년의 외상 후 스트레스, 인지적 정서조절전 략,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재난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외상 후 스트레스, 인지적 정서 조절전략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재난을 경험한 청소년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 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 부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2014년 세월호 재난을 간접적으로 경험한 경기도 안 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인문계고등학교 및 특성화 고등학교 1, 2, 3학년 학생의 학년과 성별의 균등비율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1,200 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최종 남학생 512명, 여학생 524명 으로 총 1,036명을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11월 1일부터 11월 30 일까지 약 한 달 동안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는 사건충격검사 (IES-R-K)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CERO)검사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SPSS 21.0 Window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과 신뢰도 분석, 다 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외상에 관련되는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은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적응적인 전략(조망 확대와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초점변경, 수용, 긍정적 재평가)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적응적인 전략(자기비난 과 타인비난, 반추, 파국화)은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조망확대와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초점변경, 수용, 긍정 적 재평가와 같은 적응적 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으며, 자기비난과 타인비난, 반추, 그리고 파국화와 같은 부적응적인 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 후 스트레스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외상 후 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 적 안녕감에는 재경험과 과각성이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고, 회피 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고등학생들은 재경험이 높을 수록, 회피가 낮을수록, 과각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심리적 안녕감에는 적응적 조절전략 중 계획 다시 생 각하기와 긍정적 초점변경, 그리고 긍정적 재평가가 유의한 정(+)의 영 향을 미쳤으며, 부적응적 조절전략 중에는 자기비난과 타인비난, 그리고 반추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재난을 경험한 고등학생 들은 계획 다시 생각하기와 긍정적 초점변경, 그리고 긍정적 재평가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으며, 자기비난과 타인비난, 그리고 반추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적 응적 인지조절전략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부적응적 인지조절전략 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적응적 인지조절전략의 하위요인 인 조망확대,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초점변경, 수용, 긍정적 재평가 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고, 부적응적 조절전략 하위 요인별로는 각각 다르게 효과가 나타났다. 자기비난, 타인비난, 파국화 전략에서는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반추는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고등학생에게는 조망확대,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초점변경, 수용, 그리고 긍정적 재 평가와 같은 적응적 인지조절전략들의 개입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을 향 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에는 부적응적 인지조절전략보다는 적응적 인지조절전략을 사 용하는 것이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외상을 경험하는 청소년이 증가함에 따라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경험 할 때에는 모든 전략을 혼란스럽게 사용하기보다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적응적 인지조절전략을 교육·훈련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외상 후 스 트레스에 대응하고,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ost-traumatic str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experience of disaster. This study is of educational significance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ost-traumatic str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experience of disaster. This study is of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makes it possible to have a more perfect understanding of the trauma of adolescents with experience of disaster and provides some information on how to boos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ow to prevent and manage post-traumatic stres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are the correlations of post-traumatic str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high school students with experience of disaster? 2. What influence do their post-traumatic stres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exe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3. Do their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adaptive and maladaptive strategies) have an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00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sophomores, juniors and seniors in an academic high school and a specialized high school that were both located in the city of Ansan, Gyeonggi Province.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Sewol ferry disaster in a secondhand manner, and they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academic year and gender to ensure equal proportions of gender and academic year.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1,036 students who were 512 boys and 524 girls were analyzed. The survey was implemented for approximately a month from November 1 to 30, 2014.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K), which measures the degree of post-traumatic str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Q) and a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21, and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correlations of the major variables related to youth trauma were analyze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for the relationships of cognitive emotion strategies to psychological wellbeing, adaptive strategies that were putting into perspective, refocus on planning, positive refocusing, acceptance and positive reappraisal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ladaptive strategies that were self-blame, blaming other, rumination and catastrophiz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n other words, psychological wellbeing became better when the 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were more used such as putting into perspective, refocus on planning, positive refocusing, acceptance and positive reappraisal, and it became worse when the mal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were more used such as self-blame, blaming other, rumination and catastrophizing. Seco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teens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ost-traumatic stress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under the statistically signifiant negative influence of reexperience and hyperarousal. Avoidance affected it significantly in a positive way. Therefore it has been found that more reexperience, less avoidance and more hyperarousal led to less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high school students. Next, psychological wellbeing was under th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f refocus on planning, positive refocusing and positive reappraisal among the adaptive strategies, and that was under the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f self-blame, blaming other and rumination among the maladaptive strategies. Thu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Sewol ferry disaster was better when refocus on planning, positive refocusing and positive reappraisal were more prevailing, a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was worse when there were more self-blame, more blaming other and more rumination in them. Thir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traumatic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teens, and the adaptive strategies and the maladaptive strategies also produced partial mediating effects. As for the subareas of the adaptive strategies, putting into perspective, refocus on planning, positive refocusing, acceptance and positive reappraisal produc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case of the subareas of the maladaptive strategies, self-blame, blaming other and catastrophizing produced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s, and rumination was identified as a variable to produce no partial mediating effects. The above-mentioned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it will exercis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eens who suffer from post-traumatic stress after experiencing a disaster when intervention is provided using the 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such as perspective expansion, re-thinking of plans, positive focus shift, acceptance and positive reappraisal. Therefore the use of the 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is more likely to serve as a catalyst in promoting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at of the all kinds of negative regulation strategies when someone is under post-traumatic stress. Also, the use of particular strategies that are suitable for particular situations is more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at boos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with disaster experience than the mixed use of every strategy.
목차 (Table of Contents)
1 한규석, "사회심리 학의 이해",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2
2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2판", 서울: 학지사, 2014
3 김유숙, 박승호, "자기실현과 정신건강", 서울: 학지사, 2008
4 김혜원, 차경호,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 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2001
5 최승미,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8
6 이수원, 김재환, 구본용, 류완영, 장성수, "고독의 심리적 속성과 대처양상", 漢陽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한양대학생활연구, 8, 133-154, 1990
7 이윤주, "심리학에서의 재난위기관리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한국위기관리논집, 1(1), 85-99, 2005
8 김은영, 오혜영, 안현의, "재난피해 청소년 개입 매뉴얼개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 년 상담연구 총서 161, 1-234, 2011
9 이근배, 조현춘, "한국판 분노반추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정서ㆍ행동 장애연구, 24(1), 1-22, 2008
10 송창진,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기전과 치료”",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동국의학, 11(1), 102-112, 2004
1 한규석, "사회심리 학의 이해",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2
2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2판", 서울: 학지사, 2014
3 김유숙, 박승호, "자기실현과 정신건강", 서울: 학지사, 2008
4 김혜원, 차경호,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 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2001
5 최승미,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8
6 이수원, 김재환, 구본용, 류완영, 장성수, "고독의 심리적 속성과 대처양상", 漢陽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한양대학생활연구, 8, 133-154, 1990
7 이윤주, "심리학에서의 재난위기관리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한국위기관리논집, 1(1), 85-99, 2005
8 김은영, 오혜영, 안현의, "재난피해 청소년 개입 매뉴얼개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 년 상담연구 총서 161, 1-234, 2011
9 이근배, 조현춘, "한국판 분노반추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정서ㆍ행동 장애연구, 24(1), 1-22, 2008
10 송창진,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기전과 치료”",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동국의학, 11(1), 102-112, 2004
11 민지원, 주혜선, 안현의, 심기선, "한국판 사건관련 반추 척도 (K-EERI)의 타당화", 인지행동치료, 13(1), 149-172, 2013
12 최진원, "아동의 심리적 복지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3 최선재, "상실 경험의 의미 재구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4 고성희, 이은정, "일 농촌 지역 재가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무력감", 한국성인간호학회, 성인간호학회지, 11(1), 107-118, 1999
15 권태완, 최말례, 조수진, 이선미, 은헌정, 김태형, "한국판 사건충 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44(3), 303-310, 2005
16 임전옥(Im Jeon Og), 장성숙(Jang Seong Sug),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 韓國心理學會 相談心理 및 心理治療學會,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259-275, 2003
17 정진은, "국제 재난지원체계와 심리지원 프로그램 도입 필요성 연 구",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8 소선숙,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및 학교적응에 대한 통합모형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9 손덕순, "노인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0 강훈희, "소방공무원의 외상유형에 따른 정서경험 및 사건충격의 차이",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1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2 김민경, "대학생의 가족학대경험, 우울과 레질리언스 및 자살생각 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3), 109-127, 2011
23 현명호, 이서정,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887-905, 2008
24 김보미,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5 박성현, 성승연, "자기-초점주의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마 음챙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27-1147, 2008
26 홍주현, 심은정,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청소년의 정신건강: 정서조절곤 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1), 195-212, 2013
27 권경인, 조수연, "청소년 스트레스 감소 및 대처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1), 41-62, 2013
28 김하경, 채정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지속노출치료: 교통사고 피해자증례 보고 1례",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인지행동치료, 5(1), 1-10, 2005
29 박은주, "성인애착과 대인관계적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정신화 능 력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0 조성현,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인지적 정서조절이 갈등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1 심은진, 조현주,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감사 성향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3(1), 293, 2013
32 양은호,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3 이수연, 홍종관, 최응용, 김춘경, "대구지하철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적 위기상담의 효과", 청소년 상담연구, 12(1), 156-168, 2004
34 문현미,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 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35 김남희, 이경희, "간호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영향요인 및 인지 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2), 965-978, 2012
36 이수지, "재난현장에서 활동한 자원봉사자의 주관적 건강수준: 세 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7 한인영, 이지영, 구승신, "군 병사들이 복무 중 경험한 외상적 사건과 PTSD 증상, 우울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군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2(2), 25-51, 2009
38 신지은,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표현예술치료가 산재환자의 PTSD 증상감소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9 손승희 ( Seung Hee Sohn ), "사회적 사건에 의한 청소년의 간접외상 및 관련요인 연구: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1(10), 269-294, 2014
40 조현주, "자애명상 기반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우울경향 대학생을 중 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4), 827-846, 2012
41 김아영, 이명희, "청소년의 심리적 욕구만족, 우울경향,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구조와 학교급간 차이",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2(2), 423-441, 2008
42 강명희, 이수연,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 계에서 희망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3
43 김병직(Byung Jik Kim), 오경자 ( Kyung Ja Oh ), "대학생의 성인 애착과 우울 사이를 매개하는 변인의 탐색: 반추와 정서 억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학교심리학회지, 6(3), 357-375, 2009
44 채은희, "재난이 피해지역주민의 정신건강에 미친 장 단기적 영향 및 재난정신건강관리체계 개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06
45 곽유미, "내 외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 자기제시 동기와 인지 적 정서조절전략의 중다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05
46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7(5), 143-157, 2006
47 민정아, 채정호, 이나빈, "우울장애에서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가 희 망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차이",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우울조울병학, 9, 1-9, 2011
48 안현의,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상후 스트레스 증 상과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상담심리 및 심리치료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 치료, 17(1), 217-231, 2005
49 김지혜, 안하얀, 심지은,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이해, 32(1), 103-118, 2011
50 김현수, 송지원,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 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5
51 조용래, "한국판 외상 후 인지 검사의 요인구조와 수렴 및 변별타 당도: 외상경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인지행동치료학회지, 12(3), 369-391, 2012
52 문윤선, "대형인명사고로 인한 간접적 외상이 청소년의 부정적 정 서와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3 Peterson, K. C., Schwarz, R. A., Prout, M. 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clinician’s guide. 신응섭, 채 정민 역(1996).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통합적 접근", 서울: 하 나의학사, 1991
54 박원주, "자아탄력성이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 절과 긍정 및 부정정서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55 구훈정, 이종선, 우성범, "외상적 사건과 자해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조절의 매개효과와 적응적 인지조절의 조절효과: 성차를 중심 으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1), 173-199, 2015
56 이자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 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대구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57 정의문, "세월호 사건 매체노출이 대학생에게 미친 간접외상에 대 한 연구: 외상관련 부정적 신념과 회복탄력성을 조절변인으로", 대 구대학교 대학원 재활심리학 석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