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金官加耶 古墳 硏究 = A Study on Tombs of Geumgwan-Gay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678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금관가야 고분을 검토하여 금관가야 고분의 특징 및 고분군에 반영된 계층 구조, 정치체의 성격 그리고 금관가야의 전환기 등 고분에 반영된 금관가야 사회의 일면을 규명하는 것이 ...

      본고는 금관가야 고분을 검토하여 금관가야 고분의 특징 및 고분군에 반영된 계층 구조, 정치체의 성격 그리고 금관가야의 전환기 등 고분에 반영된 금관가야 사회의 일면을 규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전기도질토기단계 금관가야 고분의 연대는 대성동고분군의 토기를 기준으로 6단계로 설정하였고, 이곳 출토 외래계 유물을 토대로 Ⅰ단계는 3세기 4/4분기, Ⅵ단계는 5세기 1/4분기로 비정하였다. 대성동고분군은 철정과 갑주, 마구가 다량 부장되고, 금관가야의 마구들은 실용성마구로 토착화된다. 대성동고분군 출토 4세기대 중국․북방계 위세품과 왜계 위세품을 통해 중국․왜와의 교역을 금관가야 내 대성동집단이 독점했음을 알 수 있다.
      금관가야의 목곽묘는 주곽과 부곽 간 바닥의 높이차가 있는 주부곽식묘가 특징이다. 바닥에 시상석이 깔리고 꺾쇠류가 있는 경우, 목곽 내 목관이 있고, 시상석 위에는 돗자리를 깔기도 한다. 수혈식석곽묘는 목곽묘 Ⅴ단계에 금관가야에서 가장 먼저 만들었다. 초기수혈식석곽묘는 목곽묘 축조 방법을 계승하고 있으며, 돌 쌓는 기술이 발달되어 있지 못하다.
      대성동고분군은 입지의 우월성이 극대화되어 묘역 간 중복이 발생하였고, 대성동 2호부터 왕묘가 분리되어 구릉정상부에 별도로 조성되었다.
      면적/유물 유형은 A~N급, 고분군의 위계는 1~6등급으로 나뉘고, 대성동고분군이 1등급, 복천동․양동리고분군이 2등급에 해당한다. 철정과 유자이기, 궐수문도자, 판상철모, 유견철부는 높은 위계성을 지니고 있다. 4세기대의 금관가야는 대성동집단을 정점으로 하는 계층적질서가 강한 사회이고, 다른 가야 각국과의 관계에서도 최정점에 있는 초기 고대국가였다. 금관가야 중심집단들은 순장제를 공유하고 있었으며, 충전토형 순장묘는 대가야식순장묘의 원형으로 볼 수 있다.
      5세기 1/4분기에 수혈식석곽묘가 급증하고 5세기 2/4분기부터 복천동집단의 위계가 대성동집단보다 높아지는 점에서 이 시기는 금관가야의 전환기에 해당한다.
      I.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2
      • Ⅱ. 대성동고분군의 편년과 유물 13
      • 1. 대성동고분군의 편년 14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2
      • Ⅱ. 대성동고분군의 편년과 유물 13
      • 1. 대성동고분군의 편년 14
      • 2. 유물별 단계별 양상과 특징 27
      • Ⅲ. 금관가야의 주요 묘제 71
      • 1. 목곽묘 73
      • 2. 초기수혈식석곽묘 100
      • 3. 대성동고분군의 조성원리 119
      • Ⅳ. 금관가야 사회의 계층 구조와 특징 131
      • 1. 금관가야 사회의 계층 구조 131
      • 2. 금관가야 사회의 특징 157
      • Ⅴ. 금관가야의 전환기적 양상 181
      • 1. 중심고분군의 변화상 181
      • 2. 주변고분군의 변화상 185
      • Ⅵ. 결론 189
      • 참고문헌 194
      • 영문요약 20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柳昌煥, "『加耶馬具의 硏究』", 東義大學敎大學院博士學位論文, 2007

      2 林孝澤, "「良洞里遺蹟의 諸問題」", 『伽倻文化』第6號, 1993

      3 金斗喆, 金斗喆, "『韓國古代馬具의 硏究』", 東義大學敎大學院博士學位論文, 2000

      4 金秀桓, "『金官加耶의 殉葬墓硏究』", 釜山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2005

      5 金榮珉, "『金官加耶의 考古學的硏究』", 釜山大學敎大學院博士學位論文, 2007

      6 申敬澈, "「가야스케치」,『考古廣場』1", 釜山考古學硏究會, 2007

      7 李熙濬, "『4~5世紀新羅의 考古學的硏究』",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학 위논문, 1998

      8 金度憲, 金度憲, "『古代의 鐵製農具에 대한 硏究』", 釜山大學校碩士學位論文, 2001

      9 李炫姃, "『嶺南地方三國時代三繫裝飾具硏究』",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0 申敬澈, "「陶質土器의 발생과 확산」,『考古廣場』11", 釜山考古學硏究會, 2012

      1 柳昌煥, "『加耶馬具의 硏究』", 東義大學敎大學院博士學位論文, 2007

      2 林孝澤, "「良洞里遺蹟의 諸問題」", 『伽倻文化』第6號, 1993

      3 金斗喆, 金斗喆, "『韓國古代馬具의 硏究』", 東義大學敎大學院博士學位論文, 2000

      4 金秀桓, "『金官加耶의 殉葬墓硏究』", 釜山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2005

      5 金榮珉, "『金官加耶의 考古學的硏究』", 釜山大學敎大學院博士學位論文, 2007

      6 申敬澈, "「가야스케치」,『考古廣場』1", 釜山考古學硏究會, 2007

      7 李熙濬, "『4~5世紀新羅의 考古學的硏究』",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학 위논문, 1998

      8 金度憲, 金度憲, "『古代의 鐵製農具에 대한 硏究』", 釜山大學校碩士學位論文, 2001

      9 李炫姃, "『嶺南地方三國時代三繫裝飾具硏究』",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0 申敬澈, "「陶質土器의 발생과 확산」,『考古廣場』11", 釜山考古學硏究會, 2012

      11 沈載龍, "『狗邪國의 成長過程에 대한 考古學的檢討』", 釜山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2007

      12 金榮珉, 金榮珉, 金榮珉, "「嶺南地域板甲에 대한 一考察」,『古文化』46", 韓國大學博物館協會, 1995

      13 申敬澈, "「金官加耶土器의 編年」,『伽耶考古學論叢』3",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2000

      14 申敬澈, "「금관가야의 성립과 대외관계」,『가야문화5』", 가야문화연구원, 1992

      15 朴智惠, "『4~6世紀嶺南地方出土鐵鋌의 變遷과 地域性』", 慶北大學校大學院碩 士學位論文, 2013

      16 안은주, "『금관가야의 수혈식석곽묘 출현에 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7 金斗喆, 金斗喆, "「棺床과 前期加耶의 墓制」,『韓國考古學報』75", 韓國考古學會, 2010

      18 金斗喆, "「加耶轉換期의 墓制와 繼承關係」,『考古廣場』13", 釜山考古學硏究會, 2013

      19 申敬澈, "「大成洞88, 91號墳의 무렵과 의의,」『考古廣場』13", 釜山考古學硏究會, 2013

      20 金大煥, "「부산지역 금관가야설의 검토」,『嶺南考古學』33", 嶺南考古學會, 2003

      21 金宰佑, "「金官加耶의 甲冑」,『大成洞古墳群과 東亞細亞』", 金海市第16回加耶史國際學 術會議, 2010

      22 金在弘, "살포와 철서를 통해서 본 4-6세기 농업기술의 변화」", 『과기고고연구2』, 1997

      23 申敬澈, "「加耶 新羅初期馬具의 성격과 의미」, 『古文化』90", (사)한국대학박물 관협회, 2017

      24 金誠實, "『東아시아 出土晉式帶金具의 成立過程과 그 周邊』", 嶺南大學校大學院碩 士學位論文, 2012

      25 安在晧, "「金海地域瓦質土器社會의 一面」,『友情의 考古學』", 故孫明助先生追 慕論文集(진인진), 2015

      26 安在晧, "「복천동고분군의 편년」,『복천동고분군의 재조명』", 부산광역시립박물관, 1995

      27 申敬澈, "「三韓 三國時代의 釜山」,『부산의 자연환경과 역사』", 부산라이프사, 1988

      28 金訓熙, "「蕨手型有刺利器의 變遷과 意味」,『韓國考古學報81』", 韓國考古學會, 2011

      29 申敬澈, "「陶質土器와 初期須惠器」,『日韓古墳時代の年代觀』", 日本國立歷史民俗 博物館, 2006

      30 申敬澈, "「加耶出土土師器系土器의 意義」,『가야의 대외교섭』", 김해시, 1999

      31 金大煥, "「嶺南地方積石木槨墓의 時空的展開」, 『嶺南考古學』29", 嶺南考古學會, 2001

      32 申敬澈, "「新羅土器의 發生에 對하여」,『韓日古代文化의 諸問題』", (財)韓日文化 交流基金, 1986

      33 申敬澈, "「日本初期須惠器의 發現」,『東아시아 속의 韓․日關係』",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997

      34 沈載龍, "「金官加耶의 外來系威勢品受用과 意味」,『嶺南考古學』74", 嶺南考古學會, 2016

      35 金秀桓, "「金官加耶의 殉葬-金海大成洞古墳群殉葬樣相을 中心으로」", 『嶺南考古學』37, 2005

      36 姜賢淑, "「伽耶石槨墓硏究試論-구조를 중심으로」,『韓國考古學報』23", 韓國考 古學會, 1989

      37 申敬澈, "「古代의 洛東江, 榮山江, 그리고 倭」,『韓國의 前方後圓墳』", 忠南大學 校出版部, 2000

      38 沈載龍, "「良東里古墳群의 墓制變遷과 依微」,『양동리, 가야를 보다』", 국립김해박물관, 2012

      39 申敬澈, "「금관가야의 성립과 연맹의 형성」,『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혜안, 2000

      40 朴天秀, "「新羅․加耶古墳曆年代再論」,『原三國․三國時代曆年代論』", 학연문화사, 2012

      41 金斗喆, "「가야사에서 복천동고분군의 위상과 역할」,『항도부산』제37호", 부산 시시사편찬위원회, 2018

      42 林孝澤, "「김해 양동리 고분군 조사와 그 성과」,『김해양동리고분문화』", 동의대 학교박물관, 2000

      43 金宰佑, "『3․4世紀代加耶武器에 관한 一考察-낙동강하류역을 중심으로』", 경성 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4

      44 申敬澈, "「伽倻의 武具와 馬具-甲冑와 鐙子를 중심으로」,『國史館論叢』7", 國 史編纂委員會, 1989

      45 沈載龍, "「初期竪穴式石槨墓의 展開樣相」,『牛行李相吉敎授追慕論文集』", 진인진, 2015

      46 金斗喆, "「前期加耶와 新羅」,『釜山大學校考古學科創設20周年記念論文集』", 釜山大學校考古學科, 2010

      47 申敬澈, "「加耶初期馬具에 대하여」,『釜大史學』18, 閔成基敎授停年紀念論叢", 釜 山大學校史學會, 1994

      48 李盛周, "「王權에 대한 考古學的論義」,『한일지역 고대왕권과 국가의 형성』", 嶺南考古學會, 2012

      49 李陽洙, "『빗모양 장식구에 대해서-김해 대성동 88․91호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제11회 嶺南․九州考古學會合同學術發表會, 2014

      50 沈載龍, "「金海市大成洞88號墳과 91號墳의 性格」,『日韓交涉の考古學-古墳時代』", 日韓交涉の考古學-古墳時代-硏究會, 2013

      51 申敬澈, "「三韓․三國․統一新羅時代의 釜山-考古學的考察」,『釜山市史』第一 卷", 釜山直轄市史編纂委員會, 1989

      52 朴天秀, "「지역 간 병행관계로 본 가야고분의 편년」,『가야고고학의 새로운 조명』", 혜안, 2003

      53 金榮珉, 金榮珉, "「儀器性遺物로 본 福川洞古墳群의 地域性」, 『고대의 남동해안 국가형성』", 釜山福泉博物館, 2004

      54 申敬澈, "「金海大成洞 東萊福泉洞古墳群點描-金官伽倻이해의 一端」,『釜大史 學』19", 釜山大學校史學會, 1995

      55 柳昌煥, "「三燕․高句麗의 馬具와 三國時代의 馬具」,『日韓交涉の考古學-古墳時代』", 日韓交涉の考古學-古墳時代-硏究會, 2013

      56 金斗喆, "「嶺南地方騎乘文化의 受容과 發展」,『加耶古墳의 編年硏究Ⅲ-甲冑와 馬具』", 제4회 嶺南考古學會학술발표회, 1995

      57 朴天秀, "「古代東北亞細亞出土琉璃器의 移入經路와 歷史的背景」,『韓國考古學 報』101", 韓國考古學會, 2016

      58 申敬澈, "「金海禮安里160號墳에 對하여-古墳의 發生과 관련하여」,『伽倻考古學 論叢』1", 駕洛國史蹟開發硏究員, 1992

      59 沈載龍, "「유물을 통해 본 목곽묘의 연대」,『金海大成洞古墳群-추가보고 및 종합고찰』", 大成洞古墳博物館, 2017

      60 金斗喆, "「부산은 언제까지 가야였는가?!」,『부산의 정체성과 역사쟁점-부산의 고대사』", 부산박물관, 2018

      61 朴天秀, 李賢姃, "「古代韓半島出土琉球列島産貝製品이 提起하는 諸問題」, 『海洋交流의 考古學』", 제11회 嶺南․九州考古學會合同學術發表會, 2014

      62 金度憲, 金度憲, "「고고자료로 본 고대의 농경-영남지역을 중심으로」,『선사․고대의 생업 경제』", 제9회 복천동박물관 학술발표회, 2005

      63 申敬澈, "「大阪市筒加美․慶州月城路土器의 評價」,『石軒鄭澄元敎授停年退任記念 論叢』", 釜山考古學硏究會, 2004

      64 李陽洙, "「王權에 대한 考古學的論義」,『韓半島三韓․三國時代銅鏡에 관한 考古 學的硏究』", 釜山大學校大學院박사학위 논문, 2010

      65 申敬澈, "「고고학에서 본 가야의 전개와 연구 전망」,『가야문화권 조사․연구현 황과 과제』", 문화재청․국립문화재연구소[가야․나주․경주], 2017

      66 沈載龍, "「中國系遺物로 본 金官加耶와 中國東北地方」,『中國東北地域과 韓半島南 部의 交流』", 제22회 영남고고학회 학술발표회, 2013

      67 金大煥, "「한반도 국가형성론에서 ‘초기국가’의 제안」,『한일지역 고대왕권과 국 가의 형성』", 嶺南考古學會제2회 학술워크샵, 2012

      68 李熙濬, "「경주 月城路가-13호 積石木槨墓의 연대와 의의」,『碩晤尹容鎭敎授停年 退任紀念論叢』", 석오 윤용진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6

      69 沈載龍, "「前期陶質土器樣式期의 鍛造有肩鐵斧에 대하여」,『友情의 考古學-故孫明 助先生追慕論文集』", 진인진, 2015

      70 金斗喆, "「김해 예안리유적의 재검토」,『韓國古代史와 考古學』, 학산 김정학박사 송수기념논총 간행위원회", 학연문화사, 2000

      71 李盛周, "「考古學上으로 본 金官加耶의 國家的性格」,『盟主로서의 금관가야와 대가 야』,제15회 가야사학술회의", 김해시,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