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도시의 공간을 해석하고 3차원 그래픽 기반의 가상 공간에 재구성하는 과정을 다룬다. 공간을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가 무의식을 거쳐 꿈의 공간에서 재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927095
서울 :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 , 문화산업예술학과 공공미술전공 , 2021. 8
2021
한국어
서울
ⅳ,52 ; 26 cm
지도교수: 노주환
I804:11041-00000001416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도시의 공간을 해석하고 3차원 그래픽 기반의 가상 공간에 재구성하는 과정을 다룬다. 공간을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가 무의식을 거쳐 꿈의 공간에서 재현...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도시의 공간을 해석하고 3차원 그래픽 기반의 가상 공간에 재구성하는 과정을 다룬다. 공간을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가 무의식을 거쳐 꿈의 공간에서 재현되는 과정을 초현실주의적 표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도시의 건축물과 구조를 바라보고 이를 카메라를 통해 기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다시 응시하는 과정에서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푼크툼 이미지를 발견했다. 본인은 그러한 마음속 울림의 원인을 도시의 삶과 거주형태, 공간과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요인으로 파악하였다. 과거의 기억과 감정들은 무의식 안에 억압되어 있다가 꿈을 통해 해방되며 심리적 공간으로 구현되었으며, 이러한 꿈의 공간을 해석하기 위해 초현실주의자들이 주로 사용했던 자동기술법이나 데페이즈망, 그리고 살바도르 달리의 편집증적 비평 방식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공간을 해석하고 초현실적인 가상의 세계를 구축하는 과정을 작업의 동기와 제작 과정 및 표현 효과에 집중하여 크게 세 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먼저 도시의 삶 속에서 본인과 연관된 도시의 건축물과 구조를 바라보고 본인만의 장소를 발견하며 이를 기록한다. 그 과정에서 기능과 역할에 따라 제도화된 공간을 개인의 관점에서 무관심하고 낯선 시선으로 바라보며 이는 푼크툼 이미지의 발견으로 연결된다. 그러한 심리적 이미지를 발생시키는 요소들을 찾아내고 데페이즈망의 방법론에 따라 원래의 공간에서 이탈하고 변화시키며 새로운 방식으로 배치한다.
다음으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새롭게 배치된 이미지를, 가상 공간 위에 3차원 그래픽 기반의 모델링 데이터로 재구성한다. 현실의 구조와 공간은 디지털 데이터로 옮기는 과정에서 감정과 태도가 결합하여 낯설고 환상적인 꿈의 공간으로 변형된다.
마지막은 가상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현실의 물리적 조각의 형태로 재구성하는 과정이다. 가상 공간은 스크린의 프레임을 통해 제한된 이미지와 영상으로 표현되지만, 조각은 현실 공간과 관객과의 관계를 고려한 새로운 방식의 미장센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 조명에 의한 빛과 그림자의 효과를 강조하였다.
가상 공간에 구현된 초현실적 세계는 무의식의 세계를 파악하기 위해 불필요한 요소들이 제거되었으며, 낯설고 이질적인 관계들의 집합으로 구현되었다. 본인의 욕망과 감정이 투영되어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게 된 새로운 가상의 세계는, 현실이 가진 리얼리티를 덜어낸 다소 가볍고 유동적이며 불안정한 형태로 드러나며, 무의식의 탐구를 통해 현실을 대안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분석하며, 보이지 않는 도시 공간의 이야기를 표현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