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文化柳氏 嘉靖譜와 安東權氏 成化譜에 수록된 朝鮮 初期 妃嬪들 가운데 한 명인 貞顯王后 尹氏의 선대를 遡及․考察하면서 重疊된 通婚圈에 중점을 두어 조선 초기 지배층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文化柳氏 嘉靖譜와 安東權氏 成化譜에 수록된 朝鮮 初期 妃嬪들 가운데 한 명인 貞顯王后 尹氏의 선대를 遡及․考察하면서 重疊된 通婚圈에 중점을 두어 조선 초기 지배층의...
본 논문에서는 文化柳氏 嘉靖譜와 安東權氏 成化譜에 수록된 朝鮮 初期 妃嬪들 가운데 한 명인 貞顯王后 尹氏의 선대를 遡及․考察하면서 重疊된 通婚圈에 중점을 두어 조선 초기 지배층의 성향을 살펴보았다. 정현왕후의 坡平 尹氏 家門은 고려 전기 이래 門閥貴族家門으로서 忠宣王이 宣布한, 왕실과 혼인할 수 있는 「宰相之宗」가문의 반열에 올랐다. 그리고 조선 초기에 들어와서도 國婚과 기타 功臣․鉅族 家門들과의 통혼을 통해 가세를 신장시켰다. 본고에서는, 親孫 및 外孫 계열 후손에 이르기까지 대를 한정하지 않고 수록한 족보인 가정보와 성화보를 통해 당대 지배층 가문들간의 중첩된 혼인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정현왕후가 자신의 시어머니(姑)인 昭惠王后까지 포함하여, 鄭昌孫, 韓明澮 등을 비롯한 고려 후기 및 당대 여러 유명 인물들과 혈연 관계로 맺어진 人的 關係網을 발견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examined ancestors and lineage of the Jung-Hyoun Wang Hwoo(貞顯王后: 1462~1530; empress named Jung-Hyoun)-the empress of the Chosun dynasty 9th King Sung-Jong(成宗: 1457~1494), listed on the two famous genealogy, Munhwa Liu...
In this paper, we examined ancestors and lineage of the Jung-Hyoun Wang Hwoo(貞顯王后: 1462~1530; empress named Jung-Hyoun)-the empress of the Chosun dynasty 9th King Sung-Jong(成宗: 1457~1494), listed on the two famous genealogy, Munhwa Liu Ssi Jiajingbo(文化柳氏嘉靖譜: Munhua Liu Genealogy of Jiajing Era) and Andong Gwon Ssi Chenghuabo(安東權氏成化譜: Andong Gwon Genealogy of Chenghua Era). By this work,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 of ruling class in the early Chosun dynasty(朝鮮王朝) period at the point of 「marriage ties」, especially 「range of entangled marriage」. Jung-Hyoun Wang Hwoo’s clan, Pa-Pyoung Yun Ssi(Pa Pyoung Yun Clan: 坡平尹氏) belonged to the aristocracy since early period of Goryeo dynasty(高麗王朝). Moreover this clan was declared as one of the 「Families of the State Councilors(Chaesang-chijong: Families that the court could intermarry with: 宰相之宗)」by the Goryeo dynasty 26th King Ch'ung-son(忠宣王: 1275∼1325) And Pa-Pyoung Yun clan enhanced political influence through reiterated marriages with the Royal family(王室), meritorious retainers(功臣) and distinguished family(mighty clan: 鉅族) in the early Chosun period. The two representative genealogies of Korea, Munhwa Liu Ssi Gajungbo and Andong Gwon Ssi Chenghuabo contain every descendants including agnate and cognate since ancestor(progenitor). And many historical high-ranking officials throughout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14~16th century) are listed on the genealogies. By examining this genealogies, we can see many cases of the chain marriages between powerful families. Also we can discover consanguinity(blood relationship) and human network between Jung-Hyoun Wang Hwoo and many influential vassal(powerful courtier)-for example Jeong Chang-Son(鄭昌孫: 1402~1487) and Han Myoung-Hwoi(韓明澮; 1415~1487)-and even her mother-in-law, So-Hye Wang Hwoo(1437~1504).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란, "족보의 자녀 수록방식을 통해서 본 여말선초 족보의 편찬 배경 -『安東權氏成化譜』 · 『文化柳氏嘉靖譜』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25) : 117-155, 2008
2 鄭在勳, "조선초기 왕실혼과 왕실세력의 형성" 95 : 59-108, 1996
3 金範, "조선전기 院相 家門의 변천과 그 의미-勳舊勢力 파악의 한 사례연구-" 49 : 25-80, 1999
4 고혜령, "원 간섭기 성리학 수용의 일 단면-崔文度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18) : 137-171, 2005
5 鄭惠順, "여말선초 파평 윤씨 가문의 동향" 17 : 117-160, 2002
6 김경수, "세조대 단종복위운동과 정치세력의 재편" 한국사학회 (83) : 73-114, 2006
7 김인호, "고려후기 가문보존의식과 방식 -안동권씨가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25) : 31-58, 2008
8 김기덕, "고려시대 왕실 선원록의 복원시도 -『고려성원록』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43) : 141-186, 2002
9 이정완, "고려 후기~조선 초기 고성이씨 가문의 정치 활동에 대한 연구"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0 朴龍雲, "高麗社會와 門閥貴族家門" 景仁文化社 2003
1 이정란, "족보의 자녀 수록방식을 통해서 본 여말선초 족보의 편찬 배경 -『安東權氏成化譜』 · 『文化柳氏嘉靖譜』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25) : 117-155, 2008
2 鄭在勳, "조선초기 왕실혼과 왕실세력의 형성" 95 : 59-108, 1996
3 金範, "조선전기 院相 家門의 변천과 그 의미-勳舊勢力 파악의 한 사례연구-" 49 : 25-80, 1999
4 고혜령, "원 간섭기 성리학 수용의 일 단면-崔文度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18) : 137-171, 2005
5 鄭惠順, "여말선초 파평 윤씨 가문의 동향" 17 : 117-160, 2002
6 김경수, "세조대 단종복위운동과 정치세력의 재편" 한국사학회 (83) : 73-114, 2006
7 김인호, "고려후기 가문보존의식과 방식 -안동권씨가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25) : 31-58, 2008
8 김기덕, "고려시대 왕실 선원록의 복원시도 -『고려성원록』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43) : 141-186, 2002
9 이정완, "고려 후기~조선 초기 고성이씨 가문의 정치 활동에 대한 연구"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0 朴龍雲, "高麗社會와 門閥貴族家門" 景仁文化社 2003
11 "高麗史節要"
12 "高麗史"
13 柳炅來, "高麗 後期 文化 柳氏 家門의 家系와 通婚圈" 亞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14 "陽村集"
15 金龍善, "譯註 高麗墓誌銘集成" 翰林大學校 아시아文化硏究所 2001
16 "璿源八高祖圖"
17 "淸州鄭氏大同譜"
18 "朝鮮王朝實錄"
19 姜兌圭, "朝鮮前期 坡平尹氏 勳戚勢力 硏究" 國民大學校 2007
20 韓忠熙, "朝鮮初期 淸州韓氏 永矴(~1417 이전,知郡事贈領議政)系 家系硏究-歷官傾向과 通婚圈을 중심으로-" 6 : 1-47, 1995
21 李秉烋, "朝鮮初期 政局의 推移와 容軒 李原의 對應" 32 : 207-304, 2004
22 金泰永, "朝鮮 초기 世祖 王權의 專制性에 대한 一考察" 87 : 117-146, 1994
23 朴天植, "朝鮮 建國功臣의 硏究:政治勢力 규명의 일환으로" 全南大學校 1985
24 "文化柳氏嘉靖譜"
25 "彦陽金氏族譜"
26 "安東權氏成化譜"
27 "安東權氏大同世譜"
28 朴永鎭, "安東權氏 『成化譜』 硏究" 12 : 193-228, 2004
29 "坡平尹氏世譜"
30 "固城李氏世譜"
31 "原州元氏族譜"
32 "列聖王"
33 "全州崔氏諱均系郡守公諱孟溫派譜"
34 崔陽奎, "中國 宗譜와 朝鮮 族譜의 比較 硏究" 弘益大學校 2007
35 宮嶋博史, "『안동권씨성화보』를 통해서 본 한국 족보의 구조적 특성" 대동문화연구원 (62) : 201-241, 2008
36 김범, "『燃藜室記述』 인물조 주요인물의 혈연관계와 官歷 ― 朝鮮 太祖∼仁祖代 지배세력의 연속성과 그 의미" 대동문화연구원 41 : 207-277, 2002
37 李泰鎭, "15世紀 後半期의 「鉅族」과 名族意識-≪東國與地勝覽≫人物條의 分析을 통하여-" 3 : 229-323, 1976
38 Edward W. Wagner, "1476년 安東權氏族譜와 1565년 文化柳氏族譜-그 性格과 意味에 대한 考察-" 15 : 359-364, 1989
리비도 충동의 역동성 -초현실주의, 이상의 소설 <지주회시>-
빈궁으로부터의 ‘탈출’을 지향한 글쓰기 -최서해 서간체 소설의 문체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1 | 0.808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