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호-자본 시대의 주체와 시의 역할 = The Role of Poetry on the Subject in the Age of Sign-Capita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summ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financial capitalism is reorganizing the whole way of perceiving and thinking about the world.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when the language is separated from the specific context of life and abstracted into information units, numbers, and symbols. Considering that the subject is constituted by language, it is no doubt that this change in language causes the subject's crisis. Individuals are being abstracted into fragments that are isolated from emotions, desires, memories, and life energies and are easily replaced with others.
      The poetry which arises from the desire of the utterance is summoned as a way to fight against symbolic abstraction of the subject in the point of excess of the language. It is because of the belief that the poetry can recover the subjectivity of the individual who utter poetry and recover the body's sense by promoting the continuous process of semantics by the unfinished interpretation. However, the work of how to constitute subject by speaking poetry, in other words, poetry reading and poetry writing, is only discussed on the theoretical level. It is communicated only within the community that is supposed to share a common code for poetry.
      This tendency is even more serious, especially for poetry escaping from traditional lyricism, so called poetry of non-identity, such as non-personal-poetry, multiple-subject poetry. It is only communicated between insiders who shares a philosophical concept. Therefore it is failing to respond to the role of the poem that is demanded by the age of the sign-capital.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reading poetry, including poetry of anti-identity, for constructing a 'speaker' that implies a speaking person is a useful way of constructing a subject by initiating poetic utterance, and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invite ‘the others’ of the community to bring the live to the reduced subject again.
      번역하기

      The consumm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financial capitalism is reorganizing the whole way of perceiving and thinking about the world.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when the language is separated from the specific context of life and abstracted...

      The consumm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financial capitalism is reorganizing the whole way of perceiving and thinking about the world.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when the language is separated from the specific context of life and abstracted into information units, numbers, and symbols. Considering that the subject is constituted by language, it is no doubt that this change in language causes the subject's crisis. Individuals are being abstracted into fragments that are isolated from emotions, desires, memories, and life energies and are easily replaced with others.
      The poetry which arises from the desire of the utterance is summoned as a way to fight against symbolic abstraction of the subject in the point of excess of the language. It is because of the belief that the poetry can recover the subjectivity of the individual who utter poetry and recover the body's sense by promoting the continuous process of semantics by the unfinished interpretation. However, the work of how to constitute subject by speaking poetry, in other words, poetry reading and poetry writing, is only discussed on the theoretical level. It is communicated only within the community that is supposed to share a common code for poetry.
      This tendency is even more serious, especially for poetry escaping from traditional lyricism, so called poetry of non-identity, such as non-personal-poetry, multiple-subject poetry. It is only communicated between insiders who shares a philosophical concept. Therefore it is failing to respond to the role of the poem that is demanded by the age of the sign-capital.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reading poetry, including poetry of anti-identity, for constructing a 'speaker' that implies a speaking person is a useful way of constructing a subject by initiating poetic utterance, and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invite ‘the others’ of the community to bring the live to the reduced subject aga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기술과 금융자본주의의 결탁은 세계를 인식하고 사유하는 방식을 전면적으로 재편하고 있다. 이는 특히 언어를 구체적인 삶의 맥락으로부터 분리하고 정보 단위, 숫자나 기호로 추상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주체가 언어에 의해 구성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언어에 가해지는 이러한 변화가 주체의 위기를 초래한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개인은 정서나 욕망, 기억, 생의 에너지 등으로부터 절연된 채 파편화되어 교환이 용이한 부분으로 추상화되고 있다. 언표행위의 욕망하는 힘에서 발생하는 시는 언어의 과잉(초과)이라는 점에서 주체의 이와 같은 기호적 추상화에 대항할 수 있는 방편으로 소화된다. 시를 읽는 발화 행위는 종결되지 않는 해석으로 인한 지속적인 의미화 과정을 추동함으로써 시를 읽는 개인의 주체성을 회복하고 신체의 감각을 회복할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그러나 시에 재현된 주체의 양상을 파악하거나 그 의미를 논구하는 일에 비해 정작 시를 읽거나 쓰는 일 같은 언어적 실천이 주체를 구성하는데 어떻게 관여하는가에 대해서는 논의가 소홀하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전통적인 자아 동일성을 거부하는 최근의 탈주체적 시와 관련하여 더 심각한데, 이와 같은 작품들은 철학적 개념을 공유한 공동체 내부에서만 소통됨으로써, 기호-자본 시대가 시에게 기대하는 바, 주체 구성에 실제적인 역할을 하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발화하는 인격적인 존재를 함의하는 ‘화자’를 구성하는 일이 시적 발화를 개시함으로써 주체를 구성하는 유용한 방법이라는 가정 하에, 탈주체의 시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방법론이 적용가능함을 보이고, 시를 읽는 언어적 실천이 기호화되어 가는 주체에 생기를 불어 넣을 수 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번역하기

      정보기술과 금융자본주의의 결탁은 세계를 인식하고 사유하는 방식을 전면적으로 재편하고 있다. 이는 특히 언어를 구체적인 삶의 맥락으로부터 분리하고 정보 단위, 숫자나 기호로 추상화...

      정보기술과 금융자본주의의 결탁은 세계를 인식하고 사유하는 방식을 전면적으로 재편하고 있다. 이는 특히 언어를 구체적인 삶의 맥락으로부터 분리하고 정보 단위, 숫자나 기호로 추상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주체가 언어에 의해 구성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언어에 가해지는 이러한 변화가 주체의 위기를 초래한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개인은 정서나 욕망, 기억, 생의 에너지 등으로부터 절연된 채 파편화되어 교환이 용이한 부분으로 추상화되고 있다. 언표행위의 욕망하는 힘에서 발생하는 시는 언어의 과잉(초과)이라는 점에서 주체의 이와 같은 기호적 추상화에 대항할 수 있는 방편으로 소화된다. 시를 읽는 발화 행위는 종결되지 않는 해석으로 인한 지속적인 의미화 과정을 추동함으로써 시를 읽는 개인의 주체성을 회복하고 신체의 감각을 회복할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그러나 시에 재현된 주체의 양상을 파악하거나 그 의미를 논구하는 일에 비해 정작 시를 읽거나 쓰는 일 같은 언어적 실천이 주체를 구성하는데 어떻게 관여하는가에 대해서는 논의가 소홀하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전통적인 자아 동일성을 거부하는 최근의 탈주체적 시와 관련하여 더 심각한데, 이와 같은 작품들은 철학적 개념을 공유한 공동체 내부에서만 소통됨으로써, 기호-자본 시대가 시에게 기대하는 바, 주체 구성에 실제적인 역할을 하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발화하는 인격적인 존재를 함의하는 ‘화자’를 구성하는 일이 시적 발화를 개시함으로써 주체를 구성하는 유용한 방법이라는 가정 하에, 탈주체의 시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방법론이 적용가능함을 보이고, 시를 읽는 언어적 실천이 기호화되어 가는 주체에 생기를 불어 넣을 수 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숙, "현대시의 재현적 주체와 제시적 주체 - 「세한도」 시를 중심으로 -" 우리문학회 (35) : 347-380, 2012

      2 윤지영, "한국 현대시의 화자론의 기원에 대한 고찰" 한국근대문학회 2002

      3 윤지영, "한국 현대시의 주체와 담론" 태학사 2006

      4 가라타니 고진, "탐구1" 새물결 1998

      5 신형철, "이별의 능력" 문학과지성사 2007

      6 이광호, "우리들의 진화" 문학과지성사 2009

      7 케서린 헤일스,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사이버네틱스와 문학, 정보 과학의 신체들" 플래닛 2013

      8 줄리아 크레스테바,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9 허정, "시적 언어와 시적 주체의 주관성" 오늘의 문예비평 (73) : 2009

      10 윤지영, "시와 마음읽기" 신아사 2017

      1 이영숙, "현대시의 재현적 주체와 제시적 주체 - 「세한도」 시를 중심으로 -" 우리문학회 (35) : 347-380, 2012

      2 윤지영, "한국 현대시의 화자론의 기원에 대한 고찰" 한국근대문학회 2002

      3 윤지영, "한국 현대시의 주체와 담론" 태학사 2006

      4 가라타니 고진, "탐구1" 새물결 1998

      5 신형철, "이별의 능력" 문학과지성사 2007

      6 이광호, "우리들의 진화" 문학과지성사 2009

      7 케서린 헤일스,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사이버네틱스와 문학, 정보 과학의 신체들" 플래닛 2013

      8 줄리아 크레스테바,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9 허정, "시적 언어와 시적 주체의 주관성" 오늘의 문예비평 (73) : 2009

      10 윤지영, "시와 마음읽기" 신아사 2017

      11 권혁웅, "시와 공동체" 상허학회 33 : 13-32, 2011

      12 서동욱, "시소의 감정" 문학동네 2009

      13 권혁웅, "시론" 문학동네 2010

      14 줄리아 크레스테바, "새로운 영혼의 병" 시각과언어 2001

      15 고봉준, "비인칭적인 것" 산지니 2014

      16 프랑코 베라르디 [비포], "봉기: 시와 금융에 관하여" 갈무리 2012

      17 테리 이글턴, "문학이론입문" 창작과비평사 1989

      18 조재룡, "말하는 주체, 시적 주체, 주체화" 천년의시작 2013

      19 토니 마이어스,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 앨피 2003

      20 마우리치오 랏자라또, "기호와 기계: 기계적 예속 시대의 자본주의와 비기표적 기호계 주체성의 생산" 갈무리 2017

      21 노엘 맥아피, "경계에 선 줄리아 크리스테바" 앨피 2007

      22 김종훈, "‘시적 주체’에 대하여" 천년의 시작 13 (13): 2014

      23 윤지영, "‘가르치고-배우기’로서의 시 읽기의 가능성 - 대화로서의 시, 화자와 주체 개념의 검토를 통하여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1 (21): 135-157,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예비평학회 -> 한국문예비평연구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3 0.82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