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영숙, "현대시의 재현적 주체와 제시적 주체 - 「세한도」 시를 중심으로 -" 우리문학회 (35) : 347-380, 2012
2 윤지영, "한국 현대시의 화자론의 기원에 대한 고찰" 한국근대문학회 2002
3 윤지영, "한국 현대시의 주체와 담론" 태학사 2006
4 가라타니 고진, "탐구1" 새물결 1998
5 신형철, "이별의 능력" 문학과지성사 2007
6 이광호, "우리들의 진화" 문학과지성사 2009
7 케서린 헤일스,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사이버네틱스와 문학, 정보 과학의 신체들" 플래닛 2013
8 줄리아 크레스테바,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9 허정, "시적 언어와 시적 주체의 주관성" 오늘의 문예비평 (73) : 2009
10 윤지영, "시와 마음읽기" 신아사 2017
1 이영숙, "현대시의 재현적 주체와 제시적 주체 - 「세한도」 시를 중심으로 -" 우리문학회 (35) : 347-380, 2012
2 윤지영, "한국 현대시의 화자론의 기원에 대한 고찰" 한국근대문학회 2002
3 윤지영, "한국 현대시의 주체와 담론" 태학사 2006
4 가라타니 고진, "탐구1" 새물결 1998
5 신형철, "이별의 능력" 문학과지성사 2007
6 이광호, "우리들의 진화" 문학과지성사 2009
7 케서린 헤일스,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사이버네틱스와 문학, 정보 과학의 신체들" 플래닛 2013
8 줄리아 크레스테바,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9 허정, "시적 언어와 시적 주체의 주관성" 오늘의 문예비평 (73) : 2009
10 윤지영, "시와 마음읽기" 신아사 2017
11 권혁웅, "시와 공동체" 상허학회 33 : 13-32, 2011
12 서동욱, "시소의 감정" 문학동네 2009
13 권혁웅, "시론" 문학동네 2010
14 줄리아 크레스테바, "새로운 영혼의 병" 시각과언어 2001
15 고봉준, "비인칭적인 것" 산지니 2014
16 프랑코 베라르디 [비포], "봉기: 시와 금융에 관하여" 갈무리 2012
17 테리 이글턴, "문학이론입문" 창작과비평사 1989
18 조재룡, "말하는 주체, 시적 주체, 주체화" 천년의시작 2013
19 토니 마이어스,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 앨피 2003
20 마우리치오 랏자라또, "기호와 기계: 기계적 예속 시대의 자본주의와 비기표적 기호계 주체성의 생산" 갈무리 2017
21 노엘 맥아피, "경계에 선 줄리아 크리스테바" 앨피 2007
22 김종훈, "‘시적 주체’에 대하여" 천년의 시작 13 (13): 2014
23 윤지영, "‘가르치고-배우기’로서의 시 읽기의 가능성 - 대화로서의 시, 화자와 주체 개념의 검토를 통하여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1 (21): 135-157, 2017